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21:08:54

스타트렉 온라인/에피소드

1. 개요2. 배경3. 진행 순서4. 스타플릿 전용 미션5. 클링온 방위군 전용 미션
5.1. 튜토리얼: 감시의 끝5.2. 제국 (Empire)5.3. 전쟁터 (Warzone)5.4. 경계 (Vigilance)5.5. 페키리의 귀환 (Fek'Ihri Return)5.6. 로뮬란 미스터리 (Romulan Mystery)
6. 로뮬란 공화국 전용 미션
6.1. 튜토리얼: 농장에서의 하루6.2. 잿더미로부터 (From the Ashes)6.3. 동맹 (Alliance)6.4. 그림자 속에서 (In the Shadows)6.5. 볼모지 (Wasteland)6.6. 복수 (Vengeance)6.7. 자유 (Freedom)
7. TOS 스타플릿 전용 미션8. 도미니온 전용 미션
8.1. 전쟁을 위해 설계되다 (Engineered for War)
9. 디스커버리 스타플릿 전용 미션10. 공통 미션
10.1. 카대시안의 몸부림 (Cardassian Struggle)10.2. 보그의 진격 (Borg Advance)10.3. 뉴 로뮬루스 (New Romulus)10.4. 솔라네 다이슨 스피어 (Solanae Dyson Sphere)10.5. 델타 사분면 (Delta Quadrant)10.6. 아이코니언 전쟁 (Iconian War)10.7. 어제의 전쟁 (Yesterday's War)10.8. 미래 교정 (Future Proof)10.9. 새로운 개척지10.10. 감마 사분면10.11. 디스커버리의 시대10.12. 자울라의 발견 (J'Ula's Discovery)10.13. 클링온 내전 (Klingon Civil War)10.14. 테란의 수10.15. 왕과 여왕
11. 사이드 스토리
11.1. 망령11.2. 불모지11.3. 로스트 도미니언("2800척의 함대")11.4. 냉전11.5. 코발리 위기
12. 이벤트
12.1. Q의 겨울 동화나라

1. 개요

스타 트렉 온라인의 임무(Mission) 및 에피소드(Story Arc)를 설명하는 문서.

2. 배경

2387년 로뮬란 행성계의 모항성이 초신성으로 폭발하며 로뮬란 제국이 붕괴되었고 같은 해에 스팍은 켈빈 타임라인으로 넘어갔다.

최고 회의의 의장이 된 젬포크는 경쟁 상대인 로뮬란이 사라지자 전쟁을 벌여 일부 세력을 클링온 제국에 흡수했으며 행성 연방과 전쟁중이다. 게다가 도미니온은 군대를 재정비하고 있고, 보그는 알파 분면과 베타 분면을 재침공하고 있다.

거기에 8472종(언딘)의 위협과 로뮬란의 내분, 거울 우주의 프라임 우주 침공 등 우리 은하의 상황은 막장으로 치닫는다.

3. 진행 순서

선택한 파벌에 따라서 배경 스토리가 다르고 이후 진행 방식이 달라딘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스토리라인을 따르기에 카대시안 투쟁부터는 모든 파벌의 스토리라인이 비슷해진다. 디스커버리 스타플릿이랑 도미니온은 메인 스토리를 배경 스토리로 쓰기 때문에 진행 중에 배경 스토리로 진행한 메인 스토리는 건너뛴다.

4. 스타플릿 전용 미션

4.1. 튜토리얼: 졸업식 날

2021년 5월 10일(미국 태평양 시간) 시즌 26 패치로 리마스터되었다.

4.2. 클링온 전쟁

4.3. 로뮬란 미스터리

5. 클링온 방위군 전용 미션

5.1. 튜토리얼: 감시의 끝

5.2. 제국 (Empire)

5.3. 전쟁터 (Warzone)

5.4. 경계 (Vigilance)

5.5. 페키리의 귀환 (Fek'Ihri Return)

5.6. 로뮬란 미스터리 (Romulan Mystery)

6. 로뮬란 공화국 전용 미션

6.1. 튜토리얼: 농장에서의 하루

6.2. 잿더미로부터 (From the Ashes)

6.3. 동맹 (Alliance)

6.4. 그림자 속에서 (In the Shadows)

6.5. 볼모지 (Wasteland)

6.6. 복수 (Vengeance)

6.7. 자유 (Freedom)

7. TOS 스타플릿 전용 미션

7.1. 튜토리얼: 나는 군가를 부른다

7.2. 어제의 요원

8. 도미니온 전용 미션

8.1. 전쟁을 위해 설계되다 (Engineered for War)

9. 디스커버리 스타플릿 전용 미션

9.1. 튜토리얼: 졸업식 날

10. 공통 미션

10.1. 카대시안의 몸부림 (Cardassian Struggle)

10.2. 보그의 진격 (Borg Advance)

10.3. 뉴 로뮬루스 (New Romulus)

10.4. 솔라네 다이슨 스피어 (Solanae Dyson Sphere)

10.5. 델타 사분면 (Delta Quadrant)

10.6. 아이코니언 전쟁 (Iconian War)

10.7. 어제의 전쟁 (Yesterday's War)

10.8. 미래 교정 (Future Proof)

10.9. 새로운 개척지

10.10. 감마 사분면

10.11. 디스커버리의 시대

10.12. 자울라의 발견 (J'Ula's Discovery)

10.13. 클링온 내전 (Klingon Civil War)

10.14. 테란의 수

10.15. 왕과 여왕

2023년 5월 9일(태평양 기준시)에 시즌 29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11. 사이드 스토리

11.1. 망령

11.2. 불모지

11.3. 로스트 도미니언("2800척의 함대")

11.4. 냉전

11.5. 코발리 위기

12. 이벤트

12.1. Q의 겨울 동화나라

자세한 것은 Q의 겨울 동화나라 문서 참조. 매년 12월에서 다음 해의 1월까지 열리는 이벤트로, 20일 동안 이벤트를 플레이해 일일 진척도를 모아 티어 6 함선을 받을 수 있다.


[1] 여기서 스타 트렉: 피카드와 설정 차이가 생긴다. 피카드 시리즈에서는 로뮬란 제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로뮬란 자유국이 이를 계승한다. 제작진이 설정 미스를 반영할지는 지켜봐야 한다. 이미 제작진들이 2385년 화성 공격 사태를 온라인 시간대의 설정에 반영했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있다. [2] Smash and Grab. 진열장을 부수고 고가의 물건을 훔치는 행위를 말한다. 쉽게 말해서 강도짓. [3] Cloak and Dagger. 첩보물을 의미하기도 한다. [4] Lukari Concordium [5] 자세한 내용은 2371년을 주 배경으로 하는 스타 트렉 영화 시리즈의 7번째 영화인 '넥서스 트랙'을 참고하면 알 수 있다. [6] 우리 우주에서 돌고래자리 베타(Beta Delphini)별에 대응하는 이름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100 광년이며, F5형 거성과 F5형 준거성으로 구성된 쌍성계이다. 공전하는 행성은 없다. [7] Scylla and Charybdis(스킬라와 카리브디스) [8] Tenebris Torquent; 라틴어로 "어둠이 비틀다"라는 뜻. [9] 첫 번째 모행성은 스타 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 시즌3 에피소드1에서 나오는 오마리온 성운 전투(Battle of Omarion Nebula) 때 초토화가 되었다. [10]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대비하라(si vis pacem, para bellum)를 비튼 것으로 보인다. [11] 이전에는 이클립스급. 콘수는 이집트 신화에서 등장하는 초기의 달의 신이다. 이클립스(Eclipse)가 태양이나 달 등의 식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적절한 작명이였다. [12] 스타 트렉: 더 모션 픽처(Star Trek: The Motion Picture, 영화 1편)에서 등장한 델타족 장교. [13] 다른 접두어는 없고 단지 "연합"으로 불린다. [14] 어떤 물건을 팔기 위해 예고 없이 전화를 하거나 방문하는 것을 말하며, 세일즈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