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1:49:50

스키(인명)


1. 개요2. 특징3. 사례4. 여성의 경우5. 여담

1. 개요

-ский / -ський / -ski

러시아와 폴란드를 비롯한 슬라브어권 국가 출신의 성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접미사이다.

2. 특징

어원적으로는 슬라브조어 *-ьskъ에서 유래하며 통상적으로 형용사 어휘임을 나타낸다.

서양의 성씨는 대체로 Y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여럿 있을 때 이를 구분하기 위해 'X 지역의 Y' 혹은 'X의 아들·딸 Y' 식으로 불리던 것이 정착한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X 지역' 혹은 'X의 아들·딸'을 형용사 형태로 만들어주는 것이 -ский / -ski이다.

스키 외에도 스코이(러시아어로 -ской), 즈키(우크라이나어로 -дський),[1] 츠키(러시아어로 -дский 또는 -цкий, 폴란드어로 -dzki 또는 -cki), 치키(세르보크로아트어로 -čki) 형태로도 활용된다. 러시아어권의 도시 지명에서는 스크(-ск)나 츠크(-дск 또는 -цк) 형태로 활용된다.

세간에 알려진 러시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외에도 -스키 성씨를 주로 사용하는 국가로는 몰도바,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체코가 있다.
아슈케나즈 유대인에 대한 멸칭 중에 '카이크'(kike)라는 단어가 있는데, 동유럽 출신이 상당수인 이들 특성상 성씨가 -ki 또는 -ky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붙은 멸칭이라는 설이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설로, 해당 단어의 실제 어원에 대해서는 말이 많다. 가장 유명한 설은 이디시어로 원(circle)을 의미하는 단어 "카이클"(קײַקל)에서 유래했다는 설이고[2] 그 외 영국에서 유래된 유대인에 대한 멸칭 아이키(Ikey)의 미국식 변형인 아이키-카이키(Ikey-Kikey)[3]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3. 사례

대표적인 예로 러시아의 대문호 도스토옙스키, 러시아의 작곡가 차이콥스키, 폴란드의 축구선수 레반도프스키가 있다. 물론 슬라브계 미국인도 -스키 성씨를 쓰는데, 대표적으로 NC 다이노스의 야구선수 드류 루친스키가 있다. 그리고 러사아나 폴란드 외에도 과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역이었던 리투아니아[4],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도 이렇게 -스키로 끝나는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존재한다.

사실 해당 성씨는 폴란드어권에서 더 보편적으로 쓰이는 성씨인데, 알 수 없는 이유로 한국에서는 러시아인들의 성씨가 죄다 -스키로 끝난다는 정체 불명의 낭설이 퍼져 있다. 실제 정통 러시아인의 성씨는 (남성 명사의 복수 생격 곡용에서 잘 보이는 접미사인) -오프(-ов)[5], -예프(-ев)[6], -요프(-ёв)[7], -인(-ин / -ын)[8] 형태로 끝나는 경우가 더 많고, -스키로 끝나는 성씨가 없지는 않으나 -오프스키(-овский), -예프스키(-евский), -요프스키(-ёвский) 형태가 더 보편적이다.[9]

일부 튀르크계 국가가 소련의 영향을 받으면서 성씨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튀르크계 어근에 러시아식의 접미사가 차용되기도 했다. 카자흐스탄 초대 대통령 나자르바예프(Назарба'ев'), 아제르바이잔 제4대 대통령 알리예프(Əli'yev'), 우즈베키스탄 초대 대통령 카리모프(Карим'ов'/Karim'ov'), 투르크메니스탄 초대 대통령 니야조프(Nyýaz'ow') 등이 있다.

4. 여성의 경우

여성형의 경우에는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에서 큰 차이가 있다. 폴란드에서는 -스카(-ska)로 바뀌며,[10] 러시아에서는 여자는 성이 여성형인 -스카야(-ская)로 바뀐다. 예를 들어 차이콥스키 가문의 남자는 성이 차이콥스키, 여자는 차이콥스카야이다. 우크라이나어로는 여성형이 -스카(-ська), 벨라루스어로는 -스카야(-ская)이다.

그러나 이들이 외국에 나가 정착해서 살게 되면 딸의 성을 굳이 '-스카야'라는 여성형으로 바꾸기보다는 그냥 '-스키'라는 성으로 계속 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예로 여배우 나스타샤 킨스키가 있고, 각종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이런 현상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5. 여담

한국에서는 대략 러시아 사람처럼 보이고 싶다면 성 뒤에 그냥 막 갖다붙이는 단어 중 하나. 이반 시발노무스키 돌아이스키 3세라든가… 발레리NO의 등장인물들 이름도 연기한 개그맨 이름+스키(ex.성광스키)로 되어 있다.

ex)배틀스키( 황금용자 골드란 17화에 나오는 우르잭 공화국 소속 무술가.), 킨토레스키(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오레스키(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스키와 더불어 슬라브어권 성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접사로는 비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폴란드어권과 세르보크로아트어권에서 더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1]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무성음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스코로파즈키(Скоропадський)가 대표적이다. [2] 과거 영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는 아슈케나즈 유대인들이 미국으로 대거 이민을 오던 시절에서 유래했다. 입국 과정에서 서류에 서명을 해야 하는데, 서양에서는 전통적으로 문맹이나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들이 서명을 할 자리에 X자를 치는 관습이 있었다. 그러나 유대인 입장에서 X는 십자가를 떠올리는 글자다 보니 심리적인 거부감이 느껴졌고, 그러다 보니 X 대신 동그라미로 갈음했다고 전해진다. [3] 뒤의 '카이키'는 별 뜻 없이 운율을 맞추기 위해 붙은 단어인데, 영어에서는 이렇게 원래 단어 뒤에 운율이 같지만 의미는 없는 단어를 붙이는 일이 드물지 않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시간이 지나며 변형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실제 의미가 있는 앞의 단어가 탈락해 소멸되고 오히려 의미가 없는 뒤의 단어가 살아남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해당 설에 따르면) 카이크가 그 예시. [4] 이쪽은 정말로 폴란드계 혈통이라서 그런 경우도 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절에 조상이 폴란드화되어 폴란드식 성씨를 쓰게 된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주로 조상이 리투아니아 대공국 귀족이었던 경우가 많다. [5] 예시: 전 소련 외무장관 몰로토프(Молотов)) [6] 예시: 전 러시아 대통령 메드베데프(Медведев) [7] 예시: 소련의 음악가 바실라초프(Башлачёв) [8] 예시: 소련의 우주비행사 가가린(Гагарин), 소련의 전설적(?) 파일럿 리시친(Лисицын) [9] 위에서 설명한 '차이코프스키'와 '도스토예프스키'가 바로 그 예시이다. [10] 예: 마리아 스크워도프스카 - 폴란드의 그 퀴리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