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의 투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좌투 | 양투 | 우투 | ||||||||||||||||
좌타 | 양타 | 우타 | 좌타 | 양타 | 우타 | 좌타 | 양타 | 우타 | |||||||||||
타자 | 좌투좌타 | 좌투양타 | 좌투우타 | 양투좌타 | 양투양타 | 양투우타 | 우투좌타 | 우투양타 | 우투우타 | ||||||||||
오버핸드 스로 | |||||||||||||||||||
스리쿼터 스로 | |||||||||||||||||||
사이드암 스로 | 좌사좌타 | - | - | - | - | - | 우사좌타 | - | 우사우타 | ||||||||||
언더핸드 스로 | 좌언좌타 | - | - | - | - | - | 우언좌타 | - | 우언우타 |
스위치 투수인 최우석 | |
우투 | 좌투 |
1. 개요
Switch Pitcher[1]실전에서 왼손, 오른손 모두 투구가 가능한 투수를 일컫는 표현. 프로 투수로는 거의 없다. 보통 투수들은 불펜투구에서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2]가 있지만, 이는 한쪽 방향으로 던지다 보면 몸의 밸런스가 무너지기 때문에 이를 맞춰주기 위함이라고 한다. 실전에서는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만 던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스위치 투수 사례가 드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꼽는다.
- 선택과 집중: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성장시키는 것이 극히 어렵기 때문에, 애매하게 키우는 것 보다는 훨씬 싹수가 있어보이는 하나를 골라서 키우는 것이 이득이기 때문이다.
- 부상의 우려: 투구 매커니즘은 신체에 큰 부담을 준다고 한다. 이 때문에 최소 10구 이상 던지는 투수가 타자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왼쪽으로 던졌다가 오른쪽으로 던졌다가를 반복하는 것은 부상의 위험을 한 층 더 키우는 요소로 보고 있다.[3]
- 지금까지 프로에서 성공한 사례가 없어 전문코치가 없기에, 관리를 하기 어렵다.
오타니 이전에도 투타겸업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는 점이 줄곧 제기되었듯, 스위치 투수 역시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투타겸업은 사용하는 근육의 중첩으로 인해 부상의 위험이 늘지만 스위치 투수는 근육을 균형있게 사용하므로 밸런스 유지에 오히려 이득인 점 또한 있다.[4] 하지만 투타겸업과는 달리 고교-대학의 야구에서도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실현은 먼 미래의 일일 것 같다.
2. 사례
2.1. 해외
최초로 공식 경기에서 양손투구를 한 사례는 물 건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1882년 토니 멀런(Tony Mullane)이 최초이며, 그것도 경기 중에 한 번 시도했던 정도이다. 그 외에 1888년 엘튼 체임벌린(Elton Chamberlain), 1884년 래리 코코런(Larry Corcoran)이 경기 중에 양손 투구를 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현대 야구에서는 1995년 그레그 해리스(Greg A. Harris)의 사례가 있었는데 원래 우완투수이지만 좌타자가 많은 이닝에 왼손으로 던진다는 식으로 양손투구를 하였다. 다만 부상이 우려되는 관계로 구단의 허락을 받은 경우에만 했다고 한다.그리고 풀타임으로 양손투구를 하는 선수는 2015년 6월 5일 메이저리그로 콜업된 팻 벤디티(Pat Venditte)가 유일하다. 콜업된 날 경기 상대는 보스턴 레드삭스였으며 2이닝을 1탈삼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 선수의 경우에는 진정한 의미의 스위치 투수로 불리고 있는데, 바로 좌타자를 상대로는 좌완투수, 우타자를 상대로는 우완투수로 뛰고 있기 때문이다. 그 덕분에 스위치 히터와 함께 서로 실랑이를 벌이다가 심판이 나서서 타자의 타격방향을 결정하고, 투수에게 투구방향을 결정하도록 한 후에야 승부를 벌인 동영상이 떠돌기도 하였다.
영상
결국 이 사건으로 인해 '벤디티 룰(Venditte Rule)'이 탄생하였다.[5] 간단히 스위치 투수와 스위치 타자가 서로 대결할 때, 투수가 먼저 자신의 투구 방향을 결정하여 마운드에 올라야 하고, 그 후에 타자가 자신의 타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6] 결정이 모두 완료되었으면 해당 타석에서는 결정한 방향으로만 투구해야 한다. 투수는 동일 타자를 해당 타석에서 상대하는 동안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수 없다.[7][8] 단, 투수가 타석 도중 부상당한 경우에는 투구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투수는 이후 해당 경기가 끝날 때까지 투구 방향을 바꾸지 못한다.[9]
그리고 2023년을 기준으로 미국 대학야구에 양손투구를 하는 투수가 등장하였다. 주인공은 미시시피 불독스에서 뛰고 있는 주란젤로 세인자(Jurrangelo Cijntje)[10]. 우완으로 97마일, 좌완으로 92마일[11]의 최고구속이 나온다는 점에서 벤디티보다 구속면에서 훨씬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밀워키 브루어스의 지명을 포기하고 대학교에 진학해서 좀 더 단련하는 단계라 이러한 피칭 스타일을 프로 무대까지 가져갈 수 있을지는 두고봐야한다. 2024년 MLB 드래프트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에 1라운드 지명을 받았다.
미국의 경우 양손투구를 하는 사람들을 위한 전용 글러브도 존재한다고 한다. 아래는 팻 벤디티의 글러브.[12]
2.2. 국내
국내에서는 2007년 당시 장호연의 아들인 휘문고 1학년 장영빈이 스위치 피처로 활동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온적 있다. 당시 오른손으로는 130km 초반, 왼손으로는 120km 후반 정도의 직구를 던졌다. 다만 이후 언론에 언급된 적은 없으며, 실제로 공식 경기에 등판한 적은 한 차례도 없었다. 그나마 2학년 말 돌연 경북고로 전학한 후에는 타자로만 뛰었으며 대학 진학도 실패.현재 프로 선수들 중에서는 정찬헌이 그나마 가능성이 있다. 왼손 투구를 지속적으로 연습하고 있으며, 기회가 된다면 이벤트성으로 던질 의향은 있다고. 그 외에도 좌투좌타 前 투수 現 외야수인 나성범은 내야수 대비를 위해 오른손으로도 던질 수 있다고 한다. # 2019년 KIA 타이거즈에 지명된 좌완투수 김기훈도 처음 야구를 시작했을 때는 우투수였던지라 양손을 자유자재로 던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화 이글스의 2012년 신인선수인 최우석이 스위치 투수에 도전하겠다는 의향을 밝혔다. 본래는 좌완투수였는데, 팔꿈치 수술을 받으면서 재활을 함과 동시에 우완투수로 전향했는데, 성공을 거두어 프로에까지 지명받은 경력이 있다. 하지만 지금도 왼손으로 130km대의 공을 던질 수 있기 때문에, 당장은 힘들어도 스위치 투수가 되려고 하는 중. 정민철 투수 코치도 딱히 말리진 않았다고 한다. 만약 정말로 스위치 투수가 되어 기아의 서동욱과 같은 스위치 타자와 승부하게 되면 이 선수의 이름을 딴 룰이 만들어질 지도 모르는 일. 그리고 2015년 연습경기에서 실제로 스위치 투수로 던졌다. # 그리하여 KBO에서 메이저리그의 벤디트 룰과 비슷한 '최우석 룰'[13]을 만들었다. 그러나 많은 기대를 받았음에도 2012년처럼 15년도에도 사생활 문제를 일으켰고 끝내 방출되고 말았다...
2016년 영선고등학교의 전태준은 양투양타로 오른팔로는 144km, 왼팔로는 130km 후반을 기록하며, 이 때문에 단독 기사가 뜨기도. 기사가 뜬 이후 2017 신인드래프트에서 두산 베어스에 2차 6라운드로 지명되었다. 하지만 두산 베어스와 선수 본인이 모두 우투좌타로 고정하여 훈련하기로 함으로서 아쉽게도 무산되었다.
3. 타석에 따른 분류
3.1. 양투우타
3.2. 양투좌타
- 최우석[14]
- 팻 벤디트
-
손광민[15] - 치카다 토요토시(近田豊年): 1965년 생.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짧게 활동했던 일본 프로야구 선수. 특이하게 좌투일 때는 오버핸드로, 우투일 때는 언더핸드로 던졌다.
3.3. 양투양타
4. 관련 문서
[1]
공식 규정에서는 양손잡이 투수, 영어로는 Ambidextrous Pitcher라고 칭한다.
[2]
실제
박찬호나
다르빗슈 유 선수도
불펜에서는 가끔씩 왼손으로 던진다고 한다.
[3]
현장 지도자들의 감각으로 이럴 것이라는 추측이 있긴 하지만, 좌우 양 손을 충분히 많이 사용한 프로 투수가 없기 때문에 과학적인 결론은 아니다.
[4]
다만, 무릎과 허리는 양 손의 투구에서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그 부분의 부상 위험은 올라갈 수 있다. kt wiz의 협력병원인 바로본병원의 데이터에 따르면 투수의 부상 비율은 하지가 17%, 허리가 10.3%였다. 이중적으로 혹사시킨다면 그 위험성은 2배 이상으로 올라갈 것이다.
[5]
첫 영상 1분 43초부터
[6]
원칙은 이렇지만 초구를 던지지 않은 상황이면 심판에게 요청 후 심판 재량하에 결정 절차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첫 영상 2분 53초부터
[7]
따라서 타자 아웃, 안타, 볼넷, 공수교대, 대타일 때 투수는 투구할 손을 변경할 수 있다.
[8]
타자는 이러한 제약이 없기에 '원칙적으론' 매 투구마다 타격 방향을 바꿀 수 있다.
[9]
KBO 야구규칙 5.07 (f) 참조
[10]
퀴라소 혈통으로, 고향으로 따지면 본토
네덜란드 출신이다.
[11]
각각 156Km, 148Km
[12]
출처
[13]
야구규칙 8.01 '정규의 투구' (f) 스위치 투수 관련 : 투수는 동일 타자를 상대하는 동안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수 없다. 단, 타자 아웃, 타자가 주자가 될 경우, 공수교대가 될 경우, 대타가 나올 경우, 투수가 부상당할 경우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수 있다. 투수가 부상으로 동일 타자의 타격 중에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경우, 그 투수는 이 후 경기에서 물러날 때까지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수 없다. 투수가 이닝 도중 투구하는 손을 변경할 경우 투수는 연습투구를 할 수 없으며, 글러브를 교체할 수 없다. 단, 양손글러브는 허용한다.
[14]
단 1군 정규경기에서 스위치 투구기록은 없다.
[15]
現
손아섭. 아마추어 시절에 스위치 투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