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20:03:50

수제천


1. 개요2. 상세
2.1. 설명2.2. 진행

1. 개요

수제천()은 국악의 한 곡으로 향악에 속하는 대표적인 정악곡이다.

2. 상세

2.1. 설명

'수제천'은 아명으로, 원래 이름은 ' 정읍(井邑)'이다.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백제가요인 정읍사를 노래하던 음악이었으나(연대는 남북국시대) 지금은 가사가 없는 관악합주로 연주한다.

또 다른 이름으로 빗가락 정읍(횡지정읍, 橫指井邑)이라고도 한다. '횡지(빗가락)'은 악학궤범에 나오는 조(調)의 이름으로 南이 기음(으뜸음)이 되는 계면조(단조)선율을 뜻한다. 따라서 악곡의 음계는 㑲-黃-太-姑-林의 남려계면조이다.[1] 장단은 6/3/3/6의 18박 장단으로 되어 있는데, 1분 30정간으로 박속이 느리고 박자의 길이도 신축성 있게 연주하기 때문에 리듬보다는 선율에 중점을 둔 악곡이다.(박자가 불규칙하다) 또 그만큼 연주자들의 호흡이 잘 맞아야 하는 곡이다.

특히 정악곡의 유명한 형식 중 하나인 연음 형식[2]으로 되어 있어서 중학교 고등학교 음악책에도 자주 소개된다.

편성은 관악 편성으로 향 피리, 대금, 해금을 비롯하여 아쟁, 소금이 복수 편성되고 좌고 장구, 을 갖춘다.

같은 '정읍'이란 이름을 가진 음악으로 ' 동동(動動)'이라는 곡이 있는데, 수제천의 경우 횡지(빗가락)정읍으로 남려계면조인 반면 동동은 세가락 정읍(삼지정읍, 三指井邑)이라고 불린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고.

2.2. 진행

수제천은 총 4개의 장으로 이루어져있고, 장구 또는 박의 신호로 곡을 시작한다.

1장에서 남려 계면조의 악조로 시작하며, 피리가 주 선율을 제시하고, 피리가 쉴 때 대금, 해금, 아쟁 등의 악기가 이어서 연주하는 연음 형식이 잘 드러나있다. 연음을 하기 전에 피리가 종종 반음을 길게 끌어올렸다가 다시 빠르게 두번 밀어올리는 부분(겹요성)이 존재하는데, 이는 곡 전체에서 볼 수 있는 주법이다.

2장은 첫번째 각을 제외하면 1장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실제 연주시에는 주로 생략된다.

3장에서는 중려, 이칙 등의 음이 출현하는데, 대부분 요성 중간에 잠시 거쳐가는 경과음으로서 사용되어 주 음계라고 볼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3장 또한 실제 연주시에는 2장과 같이 생략되곤 한다.

4장은 가장 짧은 장이며, 연주 시에 주로 1장과 같이 붙어 연주된다. 종지음은 임종이며, 마지막 부분에서 연음 없이 모든 악기가 연주하고, 음이 서서히 사라지며 곡이 끝난다.

한 장이 끝날 때마다 유독 연음을 길게 하는데, 이것으로 수제천의 장 수를 파악할 수 있다.

[1] 黃은 경과음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 대부분이 㑲 太 姑 林의 4음음계로 많이 본다. [2] 피리가 음을 끌거나 쉬는 동안에 나머지 악기가 장식음을 넣는 형식. 자세한 사항은 국악 관련 정보 문서 참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