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23:00:21

축척

소축척지도에서 넘어옴
1. 개요2. 종류
2.1. 대축척지도2.2. 소축척지도

1. 개요

축척()은 일반적으로 지도 상의 축소 비율을 의미한다. 지도상의 거리 a, b와 이것에 대응하는 현지의 거리 A, B와의 비를 말한다. 4학년 1학기 사회 시간에 배우며, 중1 때 또 나온다. 단 중1 때는 6학년 때 비율을 배웠다는 전제 하에서 새로 정의되어 나온다. 지리 문제의 보스격 요소.[1]

분자를 1로 하는 분수(예 1 : 1만)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도 상의 거리와 현지의 거리의 비로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1inch 지도( 영국의 구제도, 1mile을 1inch로 나타내는 1 : 6만 3,360), 2㎝ 지도(독일, 1㎞를 2㎝로 표시하는 1 : 5만), 500m 지도(소련, 500m를 1㎝로 표시하는 1 : 5만) 등이 그 예이다. 또 구판의 해도에서는 그 지도의 중앙위도에서 위도 1′ 1 해리를 1inch, 2inch 등으로 표시한 것, 예를 들면 1해리를 2inch로 한 것(1 : 3만 6,480)외에 메르카토르의 경우에는 기준위도(基準緯度, latitude of reference)에서 경도 10′에 상당하는 수, 예를 들면 10′를 7.8inch로 한 것(1 : 9만 3,479) 등이 있다.

축척을 분수 또는 비로 표시하는 것(1/25,000, 1 : 25,000)을 특히 축척분수라 하고, 이 분모를 축척분모라 한다. 또 1을 분자로 하는 분수에서 축척을 표시하는 경우, 축척 분모의 수가 작은 것이 대축척지도, 큰것이 소축척지도이다.

종종 축적이라 잘못 쓰는데, ' 척도' 할 때 쓰는 척을 써야 한다. 1척, 2척 등의 단위로 쓰는 '자 척' 자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69조 제6항에는 도면에 사용할 수 있는 법정축척을 명시해 놓았다.

-지적도면의 축척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1. 지적도: 1/500, 1/600, 1/1000, 1/1200, 1/2400, 1/3000, 1/6000

2. 임야도: 1/3000, 1/6000

2. 종류

2.1. 대축척지도

축척 분모의 수가 작은 축적지도. 좁은 지역을 그린 지도.

2.2. 소축척지도

축척 분모의 수가 큰 축적지도. 우리나라 전도, 세계 지도가 예.


[1] 일례로 수능에서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가르치고 있는 이기상 강사조차 가끔씩 본인조차 헷갈릴 때가 있다고 과거에 강의 중 발언한 바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