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4:49:05

석회

, Lime

칼슘이 포함된 무기 화합물을 이르는 말로, 주로 산화 칼슘 수산화 칼슘을 말한다. 탄산 칼슘을 이르기도 한다. 석회암(다른 말로 석회석, limestone)을 태워 얻을 수 있으며, 각종 산업에 사용된다.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지역에는 석회동굴이 생기기도 하고 상당수의 물이 석회가 녹은 석회수인데, 이를 과다섭취하면 담석증에 걸릴 수 있다. 동의어로 백회(白灰), 칼크(kalk)[1], 회(灰)가 있다.

보통 일상생활에서는 생석회, 소석회 두 단어가 많이 쓰인다. 생석회(quicklime)는 산화칼슘(CaO)을 가리키며, 소석회는 산화칼슘을 물에 반응시킨 수산화칼슘 (Ca(OH)2)이고, 소석회가 물에 녹은 것이 석회수다. 유럽에는 석회암 지대가 많아서 물이 석회수의 형태로 많이 존재한다. 석회수는 맛이 없고 건강에 좋지 않아 술이 발달했으며, 이산화탄소가 접촉하면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이 되어 침전하여서 비교적 깨끗해지므로 이러한 탄산수 또한 인기가 있었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지금도 탄산수를 굉장히 많이 판다.

생석회인 산화칼슘이 물과 반응하면 열이 발생하면서 소석회가 나온다. CaO + H2O → Ca(OH)2. 발열량은 1몰 (몰 질량 56g)당 63.7 kJ (15.2 kcal)이며 온도는 개방환경에서 80~90도, 밀폐용기 내에서는 300도까지도 올라간다. 쌓아둔 석회에 고양이가 오줌을 싸서 화재가 일어난 사례도 있으며, 보관시에는 건조한 실외에 보관해야 한다.

발열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구제역 당시 가축을 매장할 때 소독제로 사용하였다. 구제역 바이러스가 열에 약하므로 사체를 매장하면서 석회가루를 뿌려서 발열 현상을 이용해 소독하는 것. 조선 시대에 유행한 회곽묘는 보호용으로 석회를 두껍게 덮는데, 여기서 발열이 일어나 관내가 건조해지고 세균이 가열소독되어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시신이 미라화되기도 한다. 전투식량의 발열팩에도 생석회가 사용된다.

농사에도 쓰인다. 토양의 산성도가 높을수록 농사가 잘 안 되는데, 석회비료는 토양을 약산성(6.5) 정도로 낮출 수 있다. 한국은 산성 토양이어서 석회를 농사 전에 먼저 뿌린다. 너무 자주 뿌리면 석회 때문에 토양이 망가질 수 있다. 보통 석회비료를 땅에 뿌릴 때는 3년을 주기로 한다.

석회 가루가 피부에 묻거나 눈에 들어가면 수분에 반응하여 매우 따갑고 화상을 입을 수 있다.

과거에는 공성전처럼 고지를 차지한 병사들이 석회 가루 (혹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잿가루)를 들고 다니다가 올라오는 적들에게 뿌려 화학전을 시도하기도 했고. 아예 생석회탄이라고 포탄에 석회를 장전해서 쏴버리기도 했다.

무기로도 썼을정도로 위험하기 때문에 뿌릴 때 안전장구를 착용하고 바람방향에 주의해야 한다. 상술하였듯 보관할 때는 건조한 실외에 보관한다.


[1] Calcium과 어원이 같다. calc라고도 불릴 법 하지만 정작 이쪽은 calculator의 약어로 쓰이는 게 대부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