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12-23 20:11:33

생명과학Ⅰ


1. 개요2.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Ⅰ'
2.1. 생명 과학의 이해2.2. 사람의 물질대사2.3. 항상성과 몸의 조절2.4. 유전2.5. 생태계와 상호 작용
3. 2009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Ⅰ'
3.1. 생명 과학의 이해3.2.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3.3. 항상성과 건강3.4. 자연 속의 인간
4. 7차 교육과정 '생물Ⅰ'
4.1. 생명 현상의 특성4.2. 영양소와 소화4.3. 순환4.4. 호흡4.5. 배설4.6. 자극과 반응4.7. 생식과 발생4.8. 유전4.9. 생명 과학과 인간의 생활
5. 6차 교육과정 '생물Ⅰ'
5.1. 생물의 특성5.2. 인체의 이해5.3. 환경과 인간5.4. 생물학의 발달과 인간
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고등학교 과학 교과 생명과학Ⅰ 또는 생물Ⅰ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이다. 이 교과 내용에 기반하여 출제되는 과학탐구 영역에 대해 다루는 문서는 본 문서와 성격이 구분되므로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생명과학Ⅰ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2.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Ⅰ'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18~ 高1)
공통 과목
선택 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및 실험 과목은 과학 계열 전문 교과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조).
※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관련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조).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2020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조 바람.
2021학년도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정치와 법 · 경제 · 사회·문화최대 택 2
과학탐구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최대 택 2
2022학년도 ~ 사회탐구 · 과학탐구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경제 · 정치와 법 · 사회·문화 ·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최대 택 2
}}}}}}}}} ||
이 문서는 교과 문서입니다. 교과는 단순히 시험 상의 선택 과목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는 문항 관련 트렌드나 콘텐츠( EBSi 연계 교재 등)에 대해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생명과학Ⅰ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해당 문단 편집 시 유의 바랍니다.
*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가장 변화가 적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8C00; font-size: 0.9em"
생명과학Ⅰ}}} →
생명과학Ⅱ
: 세포소기관에 대한 상세한 내용( 생화학)[1],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 관련 내용

2.1. 생명 과학의 이해

2.2. 사람의 물질대사

2.3. 항상성과 몸의 조절

2.4. 유전

2.5. 생태계와 상호 작용

3. 2009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Ⅰ'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11'~17' 高1)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생명과학Ⅰ/2009 개정 교육과정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3.1. 생명 과학의 이해

3.2.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

3.3. 항상성과 건강

3.4. 자연 속의 인간

4. 7차 교육과정 '생물Ⅰ'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02~'10 高1)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생물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생명 현상의 특성

4.2. 영양소와 소화

4.3. 순환

4.4. 호흡

4.5. 배설

4.6. 자극과 반응

4.7. 생식과 발생

4.8. 유전

4.9. 생명 과학과 인간의 생활

5. 6차 교육과정 '생물Ⅰ'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96~'01 高1)
공통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5.1. 생물의 특성

5.2. 인체의 이해

5.3. 환경과 인간

5.4. 생물학의 발달과 인간

6. 여담

교과서 표지의 정식 명칭은 '생명과학'이지만, '생물'이라는 명칭또한 섞어서 자주 사용된다. 개정전의 명칭이 생물이기도했고 교과서 내부에도 지속적으로 생물이라는 단어가 등장할뿐더러 길게 생명과학이라고 계속쓰기도 불편해서 그런듯.[2] 학생들 사이에서도 생물이라하면 다 알아먹는다. 사실 진짜 귀찮은 이들은 생물이라고도 안하고 그냥 생1 내지는 생(...)이라고 한다.
15개정 생명과학1은
비유전(1,2,3,5 단원) 과 유전(4단원)으로 나눠지며 상위권일 수록 4단원에 더욱 힘을 쏟아야한다.. 1년 동안 공부해도 유전을 못풀 수 있으며 그 덕에 N제 시장이 수학다음으로 크다. 또한, 유전 단원에서 N제 퀄리티가 EBS 보다 좋은 경우가 많은데... 이는 생명과학 N제를 대부분 수능 때 생1을 친 의대생 들이 만들거나 관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7. 관련 문서


[1]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학Ⅰ에 내려왔다가 이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학Ⅱ로 다시 올라갔다. [2] 실제로 대학에가면 생명과학이라는 명칭을 쓰지않고 생물학, 생물교육과 등의 명칭을 쓴다. 이러한점을 따르지않는과목은 지구과학밖에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