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5:39:28

사학 12도

1. 개요2. 특징3. 목록

1. 개요

사학 12도(私學十二徒), 십이공도(十二公徒)는 고려 시대 사학으로 고려 문종 시기부터 공양왕 재위기인 1391년 6월까지 존속했다.

2. 특징

고려시대의 과거 제도 국학( 국자감, 성균관, 학당[1], 향교)의 학생이 아니더라도 응시 기회를 제공했다. 당시 과거 제도의 관례로 좌주(座主, 스승이자 시험관)와 문생(文生, 학생이자 과거 응시자)의 관계가 밀접했던 점은 사학의 유지에도 기여했을 것이다. 문벌귀족들은 사학을 적극 이용해 스승인 시험관이 뽑아주는 것으로 중앙 관직에 나아갔으며 그들 자신이 또 시험관이 돼 다른 문벌귀족들을 중앙으로 진출시켰다. 합격자들은 부모가 살아있더라도 반드시 좌주를 먼저 찾아뵙는 것이 예법이었으며 사학은 청탁이 오가거나[2] 당파를 이루게 되는 기반이 되기도 했다.

고려 중기 국학의 필요에 의문을 가지며 국고의 낭비만 가져오는 국자감을 폐지하자는 재상 소태보의 상소로 국학과 사학의 관계를 살필 수 있다. 숙종같이 왕권 강화에 힘쓴 왕들은 국학을 적극 밀어줬으며 이후 무신정권의 득세로 주춤했지만 고려 후기에도 사학과 연관된 관례는 마찬가지로 유지됐다. 공민왕 시기 진사 이색은 국학의 생도가 아니면 과거 응시 기회를 주지 말자는 상소를 올리기도 한다.[3] 이색은 성인을 만들기 위한 유학이 벼슬하기 위한 학문으로 변질된 것을 안타까워하며 12도를 나온 학생들 모두 다시 성균관을 통해 관직에 나갈 수 있도록 교육 제도를 바꿀 것을 건의했다.[4]

성리학 이념과 맞지 않다고 여겨진 사학은 신진 사대부들이 권력을 잡은 뒤 전면 폐지된다.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서원이 하나둘씩 세워지기 전까지 한국 교육사에서는 사학이 주춤하는 모습을 보인다.

3. 목록

명칭 창립자 상세
문헌공도
(文憲公徒)
시중 최충 사학의 근본으로 고려시대 사학은 최충으로부터 시작한다. '시중최공도'라고도 부른다. 가장 번성한 사학으로 아래 9재(九齋)의 학당이 있었으며 대부분 과거 응시자들이 9재의 명부에 이름을 올린다.
홍문공도
(弘文公徒)
시중 정배걸 '웅천도(熊川徒)'라고도 부른다. 창립자 정배걸은 현종 시기 장원 급제했다. 무신정권 시기 급제자 임득후가 홍문공도의 선성당(宣聖堂)을 김준에게 팔아버린다. 학생들이 최충헌에게 이를 고발하니 임득후는 투옥된다. [5]
광헌공도
(匡憲公徒)
참지정사 노단
남산도
(南山徒)
좨주 김상빈 좨주는 대사성 바로 아래 관직이니 국학의 고위 관료 출신이 세운 사학이 된다. 권정평이 남산도 강신재(講信齋)에서 수학한 뒤 합격했으며, 그 묘지명을 지은 오세공도 같은 재의 후생이다.
서원도
(西園徒)
복야 김무체 창립자 김무체는 최충의 문생으로 장원 급제했다.
문충공도
(文忠公徒)
시중 은정
양신공도
(良愼公徒)
평장사 김의진[6]
정경공도
(貞敬公徒)
평장사 황영
충평공도
(忠平公徒)
유감
정헌공도
(貞憲公徒)
시중 문정 창립자 문정은 문종 초에 과거에 급제한다.
서시랑도
(徐侍郞徒)
서석
구산도
(龜山徒)
(불명) 고려도경에 따르면 개경 대화북문 인근에 구산사(龜山寺)가 있었는데, 아마도 그 근처에 위치한 사학이었을 것이다.

대부분 사학이 창립자의 시호에서 유래한 이름이 붙었으며, 그 외 남산(南山), 서원(西園), 구산(龜山) 등은 사학이 위치한 개경 인근의 지명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1] 고려 말, 지방의 향교에 대응하는 중앙 교육기관. [2] 청탁의 일례로, 좌주 김부식이 권력을 잡은 뒤 문생 대부분이 높은 관직에 오른다. 그러나 집안이 가난했던 문생 오인정이 한미한 관직에서 머무르니, 김부식은 탐라의 지방관직을 주고 문생을 제주도로 보낸다. [3] 『고려사』 권74, 선거 2, 학교. [4] 『고려사』 권115, 이색 열전. [5] 그래서 '웅천(熊川)'은 마음이 들뜨고 허황된 사람을 놀리는 말이 됐다. [6] 또는 낭중 박명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