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clearfix]
1. 개요
ストロー効果 / ストロー現象고속철도나 고속도로, 항만, 공항 등 교통 인프라가 확충된 대도시가 근린 지역・위성 도시의 인구와 후생(경제력)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른다. 차별적 효과(Differential Effect)의 일종이다.
컵에 담긴 음료를 빨대로 마실 때 음료를 빨아들이듯 대도시가 중소 도시의 인구와 후생을 빨아들여 대도시는 과밀화되고 변두리는 삭막해지는 불균형이 나타나는 사회문제이다. 역세권 등 교통의 입지가 좋은 곳은 이를 통해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매우 수월하므로, 생활과 여가, 비즈니스 등 모든 방면에서 이러한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인기를 얻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런 식의 편향된 인구 이동이 만연해지면 지역 간 격차는 갈수록 심해진다.
2. 어원
일본에 신칸센이 처음 도입될 무렵인 1960년대 도쿄나 오사카 등 대도시 중심의 인구 불균형 현상이 나타나자, 일본 정부는 신칸센의 도입으로 불균형 현상이 완화되며 분산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오히려 신칸센을 이용해 지방의 인적·물적자원이 모두 대도시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나타나며, 대도시 주변의 공동화 현상을 일으키는 촉매가 되었다. 빨대 효과라는 개념은 이러한 현상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빨대 효과'라는 말 자체는 일본의 혼슈와 시코쿠를 잇는 세토 대교가 개통할 즈음 오노 고로(小野五郎) 당시 시코쿠 통산국(四国通産局)[2] 총무부장이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을 이야기하면서 "세토 대교가 개통하면 경제권이 작은 쪽(시코쿠)의 메리트가 큰 쪽(혼슈)에 빨려들어가니 미리 시코쿠 내부 교통망을 정비해서 물류거점 정비를 도모해야 한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한다. 그는 이 때 자신을 혼슈에 빗대고 아이스 커피를 시코쿠에 빗대면서 빨대로 아이스커피를 빨아들이고는 "이렇게 맛잇는 부분은 빨려들어가고 얼음만 남는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는데, 이 에피소드에서 용어가 유래했다고 한다.[3]
오늘날에는 나아가 지정학적 용어에서 벗어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를 지적할 때 사용하는 등, 일반적인 경제학적 용어로도 쓰이고 있다.
3. 원인
빨대효과는 두말할 것도 없이 인프라 불균형에서 나온다.교통수단이 생기기 이전에는 대도시 인프라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거나, 있다 해도 인프라 혜택을 받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이를 상쇄하기에 지방 사람들이 굳이 대도시에 갈 이유까진 없었다. 그렇기에 지방에서 난 자본은 대부분 지방 내에서 소비되어 순환되었고, 그렇기에 빨대 효과 같은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오늘날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대표되는 지역화폐가 바로 지방 내 경제 순환을 위해 탄생한 것이다.)
하지만 대도시에 원활하게(보다 적은 시간 내에) 접근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 생긴 이후로는 보다 많은 지방 사람들이 대도시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지방 내에서 순환되어야 할 자본이 이런저런 이유로 대도시로 빨려들어가게 되면서 지방의 경제 순환이 서서히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지방의 경제는 고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자리를 원하는 젊은층 인구의 유출은 가속화되면서 도시 공동화가 발생하게 된다. 인구 수가 많은 대도시 지역이 인구 수가 적은 지역을 흡수하는, 일종의 삼투 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4. 관련 문서
[1]
군위군
대구광역시 편입 및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전의 지도이다.
[2]
현
경제산업성 시코쿠경제산업국
[3]
정작 세토 대교 개통 40년을 바라보는 현재, 세토 대교는 빨대 현상을 일으키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세토 대교의 양쪽 끝에 있는
오카야마와
다카마쓰의 규모가 큰 차이가 나지 않다보니, 한 쪽이 다른 쪽의 경제력을 빨아들이는 일 없이 서로 간 교류가 증대되어 윈윈했다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