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각 군부대장의 주관으로 군대에서 생활하는 것을 체험하는 것.남녀 상관없이 다양한 연령대와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군대에 복무할 수 없는 장애인을 대상으로도 진행된다. 주로 훈련 체험, 군용장비 체험, 병영 내에서 식사하는 것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평화주의자, 진보인사,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극기훈련 문화가 전쟁을 정당화하고 똥군기를 전파하는데 쓰인다고 달갑지 않게 여긴다. 특히 어린이/청소년 병영체험은 UN 아동권리협약 6조 및 38조에 위배된다는 주장이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2013년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참사가 발생한 이후 이러한 비판이 더욱 많아졌다.
2. 장애인 병영체험
설명한 것처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병영체험도 있는데, 주로 특수학교에 다니고 있는 장애학생인 경우가 많다. 포털 사이트에서 장애인 병영체험만 검색해도 찾을 수 있으며, 특수학교를 다니는 학생 중에서도 가장 알려져 있는 학생인 지적장애,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학생들이 병영체험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3. 종류
- 특전캠프: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에서 운영하는 캠프로 2003년도부터 전국에 있는 특수전사령부 예하 공수특전여단에서 민간인들을 상대로 캠프를 매년 동계, 하계마다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동계 캠프를 없애고 하계만 운영 중이다.
- 해병대 캠프: 병영캠프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캠프로 1997년도부터 매년 동계, 하계마다 4박5일 과정으로 정기적인 캠프를 진행하고 있다. 정식 해병대 캠프와 사설 해병대 캠프가 있는데, 정식 해병대 캠프는 제1해병사단 캠프에서만 운영한다. 해병대 캠프에 입소하면 실제 해병대원들처럼 IBS기초훈련, 유격기초훈련, 공수기초훈련, 제식훈련 등을 받는다.[1]
- 해군특수전캠프: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에서 개최하는 병영캠프로 일반적으로 다른 병영캠프보다 상당히 체력적으로 힘들기로 알려져 있다. 4박5일 과정이며 캠프지만 상대적으로 고된 군대 캠프이기 때문에 특수전캠프에선 민간인 지원자를 받을때 여성지원자는 받지 않는다. 꼭 이런 여성지원자 제한이 아니더라도 실제로 특수전캠프에 입소한 남성지원자들 중 대략적으로 1/3의 입소인원이 4박5일 캠프일정 중에 탈락한다.(체력부족이나 스스로 포기 등)
- 해군해난구조대캠프: 해군 해난구조전대(SSU)에서 열리는 병영캠프로 위의 해군특수전캠프처럼 고되기로 알려져 있다. 4박5일 과정이며, 위의 해군특수전캠프와는 달리 민간인 여성지원자들도 받는다. 캠프에 입소하면 압력체험, 맨몸수영, 구조술, SSU 특수체조, IBS 훈련, 마스크 클리닝, 스쿠버 훈련 등을 받는다.
- 항공우주캠프: 공군사관학교에서 운영하는 캠프이며, 사관생도들의 군사학 교육과정을 축약한 방식으로 훈련이 실시된다. 주로 조종사 양성과정을 축약했다고 보면 되며, 차수에 따라 공정통제사[2] 및 제6탐색구조비행전대[3] 장병들이 받는 훈련 중 일부를 받기도 한다. 여기에 드론 체험, 천문대 관측 등 몇몇 레크레이션 과정이 추가된다.
- 하늘사랑 병영캠프: MBC경남과 공군교육사령부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병영체험 캠프.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및 부사관후보생 과정을 축약했다고 보면 된다. 기본적인 건 육군 병영캠프와 다를 바 없고, 공군사관학교와의 차이점은 항공기 정비 및 항공관제에 대한 내용을 주로 가르친다. 항공정비사와 항공관제사 양성 과정을 축약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4. 관련 문서
[1]
물론 실제 해병대원들이 받는 훈련강도에 비해선 많이 하향되어 체험형식으로 진행한다.
[2]
공수기초훈련이 해당된다. 공정통제사들은
김해
공항에 주둔하지만 관련 양성 훈련들은 공군사관학교 근처에 있는
공군행정학교 정보교육대대에서 받기 때문이다.
[3]
수중생환훈련 및 스쿠버 훈련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