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북부 |
[[니더작센| |
|||
동부 |
[[베를린| |
||||
서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
남부 |
[[바덴뷔르템베르크| |
||||
FR : 프랑스 소재 |
베를린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BVG · DB · VBB | |
도시 교통 | U-Bahn · Bus · Tram · Ferry | |
근교 교통 | S-Bahn · RegionalExpress · RegionalBahn | |
장거리 철도역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동역 · 게준트브루넨역 · 쥐트크로이츠역 · 오스트크로이츠역 · 슈판다우역 | |
장거리 버스 터미널 | ZOB · 알렉산더플라츠 | |
공항 | 베를린-브란덴부르크 |
베를린 테겔 공항 Flughafen Berlin-Tegel Berlin-Tegel International Airport |
|
|
|
IATA: |
|
개요 | |
국가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위치 | Saatwinkler Damm, 13405, Berlin |
종류 | 민간공항 |
소유 | 베를린시 |
운영 | Flughafen Berlin Brandenburg GmbH |
운영시간 | 04시-24시 |
개항 | 1948년 |
폐쇄 | 2020년 11월 8일 |
활주로 |
08L/26R 08R/26L |
고도 | 37m (122ft) |
좌표 |
북위 52도 33분 35초 동경 13도 17분 16초 |
웹사이트 | http://www.berlin-airport.de |
지도 | |
[clearfix]
1. 개요
공식 명칭은 인간 비행 연구의 선구자 오토 릴리엔탈의 이름을 붙인 '베를린 테겔 오토 릴리엔탈 국제공항'(Flughafen Berlin-Tegel „Otto Lilienthal“)이다.
고립된 서베를린의 서방을 향한 창구에서 독일 통일 후에는 수도의 관문까지 지난한 역사를 가진 공항으로,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이 기공식 한지 14년 만에 개항함에 따라 2020년 11월 8일 폐쇄되었다.
에어 베를린의 허브였으나 파산 후에는 베를린의 슬롯을 이지젯이 대량으로 사 갔다. 루프트한자의 포커스 시티였다.
2. 역사
테겔 공항 부지는 19세기부터 독일 항공 우주 산업과 밀접하게 연결되던 유서 깊은 곳이었다. 사실 그 이전부터 당시 유럽 최대 강군으로 불리던 프로이센 육군의 퍼레이드 필드 등으로 쓰이던 곳이었다. 육군이 이전한 후 1900년대 초 독일의 비행선 선착장과 격납고가 이 곳에 지어졌고, 제1차 세계대전 때까지 운용되었다. 하지만 전쟁에서 패하면서 베르사유 조약에서 독일은 비행선과 공군이 금지되었고, 이곳의 비행선 운영은 중단되었다. 이후 1930년대 들어서는 이곳에 로켓 발사 시험장이 들어섰고, 로켓의 아버지인 베르너 폰 브라운도 한 때 이곳에서 로켓 실험을 했지만 이후 나치 정권이 들어섰고, 로켓 개발은 국가 기밀이 되어 1936년 페네뮌데로 이전하게 되었다. 이후에는 독일 공군(루프트바페)이 대공포 시험장으로 활용했다.1948년 소련이 서베를린을 봉쇄하며 전쟁 직전 상황까지 몰리자 미국을 위시한 서방 국가들은 서베를린에 대규모 공수작전을 전개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서베를린의 관문 공항이었던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은 당시로서는 유럽에서 매우 규모가 큰 공항이었지만 일일 최대 1000소티를 넘는 어마어마한 수송량을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합국 측은 프랑스 점렴 지역에 있던 이 넓은 부지에 새로운 비행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그리하여 베를린 봉쇄가 시작된 바로 다음달에 비행장 공사가 시작되었고, 연합군과 서베를린 시민들의 신속한 작업 덕분에 석달만에 활주로와 가건물을 올려 11월부터 비행기 뜨고 내리기 시작했고 12월 중순부터 정상 운영하게 되었다. 덕분에 템펠호프 공항으로만 몰리던 물동량이 분산되어 1948년 1월부터 서베를린 시민들의 소비량을 훨씬 상회하는 물자를 수송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보고 경악한 소련은 결국 5월 GG를 치고 봉쇄를 풀고 말았다.
건설 과정에서 꽤 후덜덜한 일화가 있는데, 테겔 비행장 진입 위치에 소련군의 송신탑이 하나 있었고, 이 탑 때문에 비행기 접근이 애매하게 되어버렸다. 그래서 미군과 프랑스군 군정 사령부가 계속 이전을 요구했지만 소련군은 그냥 무시로 일관했다. 베를린 공수 당시 3분에 한대 꼴로 착륙하는 엄청난 트래픽을 감당해야 했고 착륙에 실패한 수송기는 다음 수송기들이 착륙해야 했기에 서독으로 그냥 회항해야 하는 사태가 발생했을 정도였으니 이 송신탑의 존재는 공수작전 수행에 큰 장애물이 될게 뻔했고, 실제로 개항 직후 며칠간 공항을 운영해 보니 이 송신탑이 엄청나게 걸리적 거렸다. 결국 공항이 오픈한지 사흘만인 12월 17일 열받은 프랑스군이 소련군 점령지로 쳐들어가서 송신탑을 냅다 다이너마이트로 날려 버렸다. 이 사태에 뒷목을 잡은 소련군 사령관이 프랑스군 사령관한테 "대체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느냐?"고 따지자 프랑스군 장군이 한 답이 걸작이다. "오, 물론 다이너마이트로 했지요, 친구." 베를린 공수작전 당시 28만회가 넘는 비행 중 몇대의 수송기가 추락했고 수십명의 인원이 사망했는데, 이 송신탑이 제거되지 않았다면 연합군 희생자 규모는 훨씬 커졌을 것이다.
일단 베를린 봉쇄 당시 비상 공수작전을 위해 급하게 건설된 비행장인 만큼 베를린 봉쇄가 풀리고 나서는 주로 프랑스군의 군용 공항으로 쓰이며 다시 한산해졌다. 그런데 서베를린의 관문 공항이었던 템펠호프 공항은 항공 산업이 발달하던 초기인 1920년대초에 설계된 공항이어서 1940년대까지는 세계 최대의 공항 중 하나였지만, 1950년대 제트기 민항기가 급속도로 발달하면서(50년대 말에는 보잉 707 같은 대형 항공기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최신 대형 항공기가 이착륙하기에는 활주로가 짧았고 활주로의 추가적인 확장도 어려웠다. 팬암이 템펠호프 공항에 보잉 747을 운항하기도 했지만 장기적으로는 보다 긴 활주로의 공항이 필요했던 상황이었다. 그런데 테겔 비행장은 베를린 공수 작전 당시 많은 수송기들이 빠른 속도로 이착륙할 수 있도록 활주로를 매우 길게 만들어 당시 유럽에서 가장 긴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이었다. 결국 50년대 후반 테겔 비행장을 대대적으로 확장 개보수하여 1960년 1월 2일부터 민간 항공기가 취항했고, 그해 11월 1일에 테겔 공항으로 정식 (재)개장했다. 이후 민항기 취항이 템펠호프 공항에서 테겔 공항으로 차츰 이전했고, 60년말 민항기 취항이 테겔 공항으로 완전히 이전하여 테겔 공항이 템펠호프 공항을 대신하여 서베를린의 관문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다만 1981년부터 템펠호프 공항에도 다시 민항기 취항이 재개되었다.
1960년 1월 2일 테겔 공항에 착륙한 첫 민항 여객기가 독일 국적기인 루프트한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은 에어프랑스 비행기였다. 냉전 당시 서베를린이 동독 영토 한가운데에 고립되어 있다는 문제 때문에 테겔 공항에는 2차대전에서 승전한 연합국 중 베를린의 서방(서베를린) 정렴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국적의 비행기만 이착륙할 수 있었고 승무원들도 역시 연합국 국적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래서 서독 국적기인 루프트한자는 서베를린에서 이착륙이 불가능했고, 이는 1990년 10월 3일 독일 통일이 되어서야 해제되었다. 1970년대에 베를린을 허브로 개업한 에어 베를린은 사실은 미국 기업이며, 에어 베를린 역시 미국 국적 항공사로 등록되었다. 그렇다고 에어 베를린이 베를린과 무관한 완전 미국 자본 기업은 아니었는데, 에어 베를린의 창업주가 베를린 출신 미국 이민자였기 때문이다. 사실 에어 베를린은 서류상 미국 회사일 뿐 본사도 베를린에 있고 직원들도 대부분 독일사람들이라 미국 항공사라는 인식은 거의 없었다.
1960년 활주로를 추가 확장하는 등 공항을 확충하고 민항기의 운행이 시작된 후에도 공항의 운용 및 관제는 프랑스 공군이 파견되어 담당했으며, 1990년 독일 통일 이후에 독일 측에 인계하고 철수했다. 미군과 영국군의 섹터에 있던 공항들도 마찬가지여서 관제 업무는 연합군 군대가 담당했는데, 베를린 봉쇄의 영향이 컸다.
원래 계획은 두 개의 육각형 모양 터미널을 대칭형으로 짓고 가운데에 순환 도로를 집어넣는 것이었다. 하지만 독일 통일 이후 베를린의 고질적인 예산 문제와 신공항 계획이 뜨면서 두 번째 터미널은 결국 지어지지 않았다. 2001년 터미널 A의 남쪽에 현재 터미널 D가 들어섰고, 그래도 공간이 부족해서 2007년 제2터미널(대칭형 육각형 터미널) 예정지에 터미널 C와 주차장이 들어섰다. 폐쇄 전 모습 1974년에 개업한 터미널 A는 파리 샤를 드골 공항 1터미널에서 영감을 얻어, 심플한 텍스쳐의 육각형으로 디자인 되었다. 또한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정문에서 어느 방향으로 가더라도 빠르게 탑승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중구난방으로 확장된 공항 터미널과 300만명이 넘는 베를린 인구 + 통일 이후 베를린으로 들어오는 승객(특히 서구권 승객을 테겔 공항에서 감당)이 늘어난 까닭에, 공항이 수용할 수 있는 승객 용량을 아득히 넘어서면서 굉장히 붐볐다. 특히나 수하물 보낼때는 그 줄이 엄청 길어질 때도 많았고, 당연히 일처리 속도도 심각하게 느렸다.
게다가 전술했던 공간 문제는 더 심각했다. 대략 70평 정도의 공간에 카운터, 출국심사, 보안검색 및 게이트를 전부 몰아넣었는데, 당연히 관광객들의 불편함은 말할 것도 없었고. 이를 반영하는지 테겔의 구글 지도 평점은 무려 2.7점(...)이다.[1]
2017년 9월의 독일 총선에서 신공항의 티스푼 공사에 지친(...) 베를린 시민들은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완공 이후에도 테겔을 존속시킬지 여부를 놓고 주민투표를 했으며, 결국 폐쇄하지 않기로 결론이 났다.
그러나 공항의 소유자인 베를린주[2]와 브란덴부르크주는 테겔의 존속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투표 후에도 테겔을 폐쇄한다는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 특히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으로 항공 수송량이 급감함에 따라 아예 신공항 개항에 상관없이 6월 1일에 공항을 일시 폐쇄한다는 입장까지 내놓았다.
와중에 코로나-19를 뚫고 드디어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개항일자가 잡히면서 드디어 테겔 공항도 문을 닫고 브란덴부르크 공항으로 통합하게 되었다.
공항 폐쇄 후에는 A터미널과 관제탑만 남기고, 산업 및 연구단지로 재개발될 예정이라고 한다. # 코로나19 백신이 보급되었던 2021년부터 2022년 6월까지는 접종 센터가 설치되었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난민 수용소로 사용되었다.
3. 시설
공항의 세 터미널 및 면세 구역은 서로 에어사이드에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를 잘 보고 들어가야 한다. 사실 터미널 A만 놓고 보면 걷는 거리를 최소화한 효율적인 구조다. 체크인 카운터가 게이트 바로 앞에 달려 있고, 옆으로 가서 보안 검색을 통과하면 바로 보딩 브릿지가 나온다. 게이트별로 에어사이드가 나뉘어 있기 때문에 면세점도 게이트별로 나뉘어서 달려 있고, 규모도 거의 구멍가게 수준이다. 도착하는 경우에도 보딩 브릿지를 통과하면 곧바로 게이트별 입국 심사대와 수하물 찾는 곳이 나온다. 하지만 사람이 적은 늦은 밤이나 이른 아침 비행기라면 이 구조가 효율적이지만, 안 그런 경우가 더 많은 게 문제다. 만약 여기에서 환승한다면 무조건 게이트를 빠져 나갔다 다시 들어와야 한다. 공항이 개업할 당시에는 운항할 수 있는 항공사도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런 것을 고려해서 지었을 리가 없다.[3]보딩 브릿지가 터미널 A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터미널 B, C나 D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한다면 무조건 버스를 타고 이동해야 한다. 이 터미널 구조는 평범하지만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과 거기에 몰리는 사람 때문에 붐비는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나마 위안인 점은 터미널 A처럼 에어사이드가 나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게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지만 여전히 다른 공항에 비하면 초라하다. 보안 검색은 경찰이 하며, 출입국 도장도 경찰이 하는데 이건 독일의 모든 공항이 동일하다. 이용해 보면 세상에 선진국에도 이런 '국제' 공항도 있다는 걸 느끼게 된다.
공항 전망대나 창문쪽으로 보면 북쪽에 국가 원수 전용 터미널이 있었다. 모든 여객 터미널이 공항 남쪽에 모여 있는 반면, VIP용 터미널은 공항 북쪽에 붙어 있다. 진입로도 북쪽 시가지의 민가 쪽으로 개설되어 있어서 눈에 쉽게 띄지 않는다. 프랑스군이 서베를린에 진주하고 있었던 때에는 프랑스 공군 수송기가 서베를린과 프랑스 본토를 연결했고, 1994년 프랑스군 철군 이후에는 독일 공군에서 넘겨받아서 VIP용 터미널로 관리하고 있다. 위기 상황 시에는 군용기가 사용할 수 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독일을 방문했을 때 이 터미널을 사용했다.
터미널 A에 공항을 360도로 돌아볼수 있었던 전망대 하나가 있었다.
4. 가는 방법
시내버스 109번을 이용하여 갈 수 있다.5. 연계 교통
테겔 공항 폐항 이후에는 급행 버스인 TXL과 X9는 운행을 중단하고, 시내버스 128번은 노선이 단축된다. 시내버스 109번은 계속 운행할 예정이나 과거 공항 부지로는 차가 더 뜸하게 들어간다.지하철의 경우는 폐항 때까지 안 들어왔다. 사실 계획되었으나 폐항으로 인해 무산된 노선은 있었다. 베를린 지하철 5호선이 그것인데, 알렉산더플라츠부터 연장을 시작해 시청, 훔볼트 대학, 브란덴부르크 문, 연방 의회 의사당, 베를린 중앙역을 거쳐 이곳에서 종착하는게 계획이었으니 공항의 폐항이 확정되면서 베를린 중앙역이 종착역이 되었다.
6. 기타
공항 폐쇄 이전 슈판다우구 북쪽 및 라이니켄도르프구 남쪽의 주민들은 오전 6시부터 거의 10-15분마다 비행기 이/착륙 소음을 들을 수 있었다. Streitstraße 18에 위치한 에데카 근처, 쿠르트 슈마허 플라츠역 인근의 경우 비행기가 착륙을 위하여 매우 낮은 고도로 날았기 때문에 특히 소음이 심하였다.7. 미디어에서
2005년작 플라이트 플랜에서 비행기가 출발한 장소로 묘사된다. 다만 실제 촬영지는 이 공항이 아닌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등장한 라이프치히-할레 국제공항에서 진행되었다고 한다.8. 관련 문서
[1]
정말 사족이지만, 베를린의 공항들은 죄다 구글 지도 평점이 엉망이다.
쇠네펠트는 테겔보다도 더 낮은 2.6점이고
브란덴부르크는 3.2점이다. 그나마
템펠호프 혼자 4.5점으로 선방.
[2]
도시 한개가 주와 동일한 포지션인 도시주로, 서울처럼 특별시라고 보면 된다.
[3]
전세계적으로 1970년대 이전에 건설된 터미널들은 지금처럼 수송량이 많지도, 보안 절차가 복잡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설계의 주안점은 승객이 자동차에서 내려서 가장 짧은 거리로 체크인과 탑승을 마치는 데 주어졌다. 특히 테겔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합국(프랑스, 미국, 영국) 항공사만 사용하는 비행장이었기 때문에 1990년까지는 환승 등 허브 운용을 가정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