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6:44:17

민투위 강도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상세3. 이후
3.1. 미화
4. 관련 문서

1. 개요

1978년 12월부터 1979년 4월까지 남조선민족해방전선(남민전)의 전위 조직인 민투위가 남민전의 활동 자금을 모으기 위해서 서울 강남구 일대에서 벌인 연쇄강도 사건.

이 사건이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일명 남민전 사건으로 연결되면서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2. 상세

1978년 12월부터 강남 일대 부유층들의 집에 잇달아 강도가 드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이 이들을 잡으려고 애썼지만 잡지 못한 가운데 1979년 4월 27일, 이 강도들은 동아그룹 최원석 회장의 자택으로 쳐들어가 최 회장의 일가를 흉기로 협박해 현금과 패물 등을 훔쳐 달아났다.

1979년 4월 27일자 동아일보 당시 기사 에 의하면

“27일 오전 10시반경 서울 강남구 반포동 최씨 집에 3인조 강도가 들어 이 집 경비원 K 씨의 왼쪽 옆구리를 과도로 찔러 중태에 빠뜨리고 금품을 털기 위해 집안으로 들어가려다 신고를 받고 달려온 관악경찰서 방배파출소 홍의종 순경과 격투 끝에 주범은 붙잡히고 나머지 범인 2명은 그대로 달아났다. 범인들은 최 씨 집의 대문 벨을 누른 뒤 경비원 김 씨가 어디서 왔느냐고 묻자 심부름 왔다고 대답, 김씨가 문을 열자 갑자기 김 씨의 왼쪽 옆구리를 과도로 찌르고 반항하는 김 씨와 10여분간 싸움을 벌였다.”

같은 날짜 경향신문에서는 “범인들은 이날 최씨 집 대문의 초인종을 누르고 선물을 가져왔다며 마당으로 들어와 경비원 김 씨를 20cm의 등산 칼로 위협, 김 씨가 ‘강도야’ 하고 소리치자 김씨의 왼쪽 옆구리 등을 마구 찔러 중태에 빠뜨렸다.”고 싣고 있다.

당시 수사관 중에는 '얼굴 없는 고문기술자'로 알려진 이근안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근안은 최 회장의 일가들에게서 중요한 진술을 듣게 된다. 강도들이 혁명 군자금 운운했다는 것이다. 그러자 이근안은 강남 일대에서 일어난 일련의 강도 사건이 단순 강도 사건이 아니라 비밀 조직의 소행일 것이라고 판단하고 비밀 조직의 뒤를 캐기 시작했다.

결국 이근안의 추적으로 이 사건은 남민전의 전위 조직인 민투위의 소행임이 밝혀졌다. 그 후 지하 비밀 조직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이 포착되었고 나머지 조직원들도 체포되었다.

3. 이후


대한뉴스 <남조선 민족해방전선 간첩 관련자 검거> 보도.

남민전 사건으로 체포된 인사들 중에는 시인 김남주,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임헌영 등이 있는데 이 중 김남주는 이 강도 사건 현장에 있었다고 하며 이들은 2006년 남민전 사건으로 민주화 운동 유공자로 선정되었다. 이에 대해 우파측에선 공산혁명을 하려고 한 살인미수 강도들을 민주화 유공자로 만들었느냐며 노무현 정권을 비판했다.

사실 논란은 '남민전이 공산혁명을 시도했는가' 아니면 ' 박정희 정권이 재야와 민주화 운동 세력을 탄압하려고 한 사건이었는가'라는 점인데 여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다. 2006년 과거사 진실규명 위원회는 이에 대해서 애매한 판결을 내린바 있고, 남민전 사건으로 처벌을 받은 33명 가운데서 민주화 운동자로 인정받은 이들은 29명으로, 이재문, 신향식 등 4명에 대해서는 이전의 판결이 유지되었다. 4명의 경우는 반국가단체 결성 관련 부분[1]이 인정되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논란이 이어졌다. 남민전 주도자였던 이재문은 1981년 옥사, 신향식은 1982년 사형당했다.

그리고 이 사건의 가담자였던 이학영은 이 사건으로 5년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으며 나중에 민주화 유공자로 선정된 이후 2012년부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지내고 있다. 홍세화도 이 사건에 연루되어 20년을 조국에 오지 못하고 프랑스에서 지내야 했다.

현대사학자 한홍구 교수의 분석에 의하면 남민전 사건은 뜻하지 않게 유신정권 내부 권력투쟁을 불러왔는데, 원래 해당 사건은 중앙정보부가 맡아야 될 사안이었으나 중정의 치밀한 정보력에도 불구하고 남민전을 쉽게 추적하지 못했다. 그런 남민전을 경찰이 잡아들이자 차지철 대통령경호실장이 김재규 중정부장의 무능을 질타했고, 이로써 김 부장은 박정희의 신임을 잃게 된다. ( 참고 자료)

3.1. 미화

이후 수십년간 좌파 진영에서는 이 범죄를 '민주화 운동 자금 모금'이라는둥 '의로운 행동'이라며 미화해왔다. 이학영은 총선 때 선거 공보물에 이런 글을 실으며 자신의 범죄를 미화했다.
이학영은 강도입니다. 독재 권력에 맞서 민주주의를 되찾아오려 했던 강도입니다. 이학영은 도둑입니다. 가난하고 힘든 시민들의 마음에서 근심을 훔쳐간 도둑입니다. 피로 얼룩진 그의 민주화 투쟁에 대한민국은 민주화 유공자 자격을 수여했습니다.[2]

당시 공범이었던 차성환의 인터뷰 발언들과 그걸 실은 한겨레의 기사 논조를 봐도 이학영을 가리켜 '시민운동가'로 지칭하고, 자신들의 강도 행위를 "남민전 사건이 터지기 전에 재벌 2세들의 여러가지 오만하고 일탈적인 행동이 많았던 상황이었다. 재벌 2세들이 칠공자니 하면서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국민들의 분노가 컸다", "그래서 남민전에서는 재벌 2세들의 문제를 부각시키기 위해 그리고 이들을 손봐줄 생각으로 당시 재벌 2세였던 한 대기업 회장의 집을 털자는 계획을 세웠다", "당시 남민전은 물론 반독재활동을 펴던 단체들의 경우 경찰에 쫓기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들을 안전하게 피신시키려면 자금이 필요하기도 했었다"라며 합리화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

4. 관련 문서


[1] 간첩단 관련 부분은 부정되었다. [2] 실제로 노무현 정권은 이들을 "민주화" 유공자로 둔갑시켰고 이 일은 지금까지도 두고두고 비판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