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21:38:47

모리셔스 크레올어/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모리셔스 크레올어

1. 개요

모리셔스 크레올어의 문법에 대한 문서이다.

크레올어의 특성상 여러 언어의 어휘를 차용했기에 단어 및 예문엔 단어의 어원을 달았다.

2. 명사

프랑스어의 어휘에서 차용한 것이 많고 다른 언어의 차용어도 있다.

경제적이지 못한 문법적 성의 개념이 사라졌다.

그러나 일부 명사는 프랑스어 정관사를 명사에 반영하여 le/la-로 시작한다.[1]
예) latet[2](머리), lisien[3](개), lane[4](연年)

독특한 차용어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kourpa(달팽이)는 프랑스어 escargot(달팽이)가 아닌 courir pas(뛰지 않다)에서 유래하였다. 이러한 어휘들의 일부는 세이셸 크레올어와 공유한다.

2.1. 대명사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Mo[5]
너/당신 To[6]/ Ou[7]
[8] Li[9]
우리 Nou[10]
너희 Zot[11]
그들 Zot, Bann-la[12]
"~을/를", "~에게"라는 뜻을 추가하고 싶다면,
1인칭 단수(나)는 mwa[13], 2인칭 단수(너/당신)는 twa[14]를 쓰면 되고 나머지는 그냥 똑같이 위와 같이 쓰면 된다.

3. 관사

체계적인 관사 구조를 가진 프랑스어와 달리 관사의 개념이 거의 사라졌다. 그래서 부정관사의 경우 명사만 쓰거나 하나임을 강조하기 위해 enn[15]을 붙인다. 정관사는 독특하게도 명사 뒤에 la를 붙인다.[16]

복수형은 bann[17]를 명사 앞에 붙인다.

4. 동사

4.1. 장동사&단동사

레위니옹 크레올어과 유사하게 장동사(long form)와 단동사(short form)가 존재한다. 이 문서에서 장동사는 lV, 단동사는 sV로 표기한다.

장동사는 동사가 목적어를 가지지 않고 문장의 마지막에 위치할 때 쓰인다. 동사의 어두 뒤에 e를 붙인 형태이다.[18]

단동사는 동사의 뒤에 목적어나 다른 단어들이 존재할때 쓰인다. 어두만 남긴 형태이다.

4.2. 부정문

부정문의 형태는 동사 뒤에 pa[19]가 오는 것이다. 프랑스어의 "ne"가 생략된 부정문과 같은 형태.

4.3. 의문문

의문사를 동사 앞에 붙이면 의문문이 성립한다.

단, "이것이 무엇인가?"라는 의문문은 의문사 ki가 아닌 eski[20]를 쓴다.

4.3.1. 의문사

의문사는 다음과 같다
무엇 ki[21]
누구 ki sann-la
어디 kot
언제 kan[22]
얼마나 komie
어떻게 kouma[23]
kifer

4.4. 시제

시제는 다음과 같다.
현재 V
현재진행 pe + V
과거 ti + V
미래 pou + V

5. 참고자료

Korek! A BIGINNERS GUIDE TO MAURITIAN CREOLE
[1] 이는 베르베르어의 일부 아랍어차용 명사가 아랍어 정관사 ال(al)을 명사에 반영하여 ⵍ(l-)로 시작하는 현상과 유사하다. [2] la + tête [3] le + chien [4] l'année [5] 프랑스어 moi에서 유래했다. [6] 프랑스어 tu에서 유래했다. [7] 프랑스어 vous에서 유래했다. [8] 그/그녀/그것을 모두 통칭하는 뜻에서의 "그"이다. [9] 프랑스어 il, la에서 유래했다. [10] 프랑스어 nous에서 유래했다. [11] 프랑스어 les autres에서 유래했다. [12] 프랑스어 bande와 la의 합성어이다. [13] 프랑스어 moi에서 유래했다. [14] 프랑스어 toi에서 유래했다. [15] 프랑스어 un에서 유래했다. [16] 아무래도 다수의 명사 어휘가 프랑스어 관사까지 반영하였기 때문에 혼동을 줄이기 위해 명사 뒤에 관사를 쓰는 걸로 추정된다. [17] 프랑스어 bande에서 유래했다. [18] 이때 e는 원칙상 ay로 읽어야 하지만 현지 사람들도 그냥 e나 e의 장음으로 발음한다. [19] 프랑스어 pas에서 유래했다. [20] 프랑스어 est-ce que에서 유래했다. [21] 프랑스어 que에서 유래했다. [22] 프랑스어 quand에서 유래했다. [23] 프랑스어 comment에서 유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