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7:05:52

다다익선

램다익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의 작품에 대한 내용은 다다익선(백남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사성어
많을 많을 더할 착할

1. 개요2. 원문3. 여담

[clearfix]

1. 개요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다는 의미의 고사성어.[1] 사마천의 『 사기』 회음후열전에 나온다. 유방 한신에게 서로의 군사적 능력을 묻는 과정에서, 한신이 자신은 병사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다"고 말한데서 비롯되었다.

2. 원문

上常従容與信言諸將能不, 各有差. 上問曰:「如我能將幾何?」信曰:「陛下不過能將十萬.」上曰:「於君何如?」曰:「臣多多益善耳.」上笑曰:「多多益善, 何為為我禽?」信曰:「陛下不能將兵, 而善將將, 此乃言之所以為陛下禽也. 且陛下所謂天授, 非人力也.」
유방은 일찍이 조용히 한신과 더불어 여러 장수들의 능력에 대해 각기 그 차이를 말한 적이 있었다. 유방이 “나와 같은 사람은 얼마나 되는 군대를 거느릴 수 있겠소?”라고 물었다. 한신이 “폐하는 그저 10만을 거느릴 수 있을 뿐입니다.”고 말했다. 유방이 “그대는 어떻소?”라고 물었다. 한신이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을 따름입니다.”고 대답했다.

유방이 웃으면서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면서, 어째서 나에게 사로잡혔소?”라고 묻자, 한신은 “폐하께서 병사를 거느릴 수는 없으시지만, 장수는 잘 거느리십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폐하께 사로잡힌 까닭입니다. 또 폐하는 이른바 하늘이 주신 것이지 사람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고 했다.
사기』 「회음후열전」
한신은 여러 행적으로 인해[2] 항우의 죽음 후 유방에게 대원수 지휘권과 왕의 직위에서 초왕으로 전봉했다.[3] 그러다가 나중에 모반을 모의한 죄로 초왕 직위도 뺏기면서 회음후로 재차 강등되었고, 당연히 한신 유방간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었다. 이 시기의 유방과 한신의 미묘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마천은 사기에서 이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언뜻 보면 그저 서로를 칭찬하며 나름대로 좋게 끝난 것 같지만, 실상은 욕만 오가지 않았을 뿐, 군주와 신하 간의 설전에 가깝다. 사마천이 유방과 한신의 갈등을 서술하고 있다가 갑자기 과거에 벌어졌던 이 일화를 소개하며 말하는 것부터가 의도성이 느껴지며, 더군다나 이 일화를 번쾌를 모욕한 일화와 한신이 처형되는 일화 사이에 넣은 점을 생각해보면 사마천이 결코 좋은 의도로 한 이야기는 아님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사마천은 「회음후열전」의 마지막에서 한신이 교만하고 겸손하지 못했다고 평가한다.

3. 여담


[1] 영어의 'the more, the better(the merrier)'와 같다. [2] 자세한건 한신/생애 문서 참조. [3] 좌천에 가까운 인사였다. 물론 초나라가 5군 89성으로 제나라 4군 73성보다 더 컸지만 당시 초나라는 여러 제후국에 둘러싸여 있고, 반란 조짐도 같이 보이고 있어 유방이 권력을 견제하려 초왕으로 앉혔다. [4] 참고로 퉁구스카에서 태공망이 밝힌 바로는 그냥 기계가 아니라 호랑이 머리 부분이 생체인 일종의 사이보그 마수라고 한다. 그래서 코얀이 다다익선도 수집해서 자신의 꼬리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