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18 22:30:02

라진항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동해안 라진항 · 선봉항 · 원산항 · 단천항 · 신포항 · 흥남항 · 김책항 · 청진항
서해안 남포항 · 신의주항 · 해주항 · 송림항
}}}}}}}}}
파일:북한 국기.svg 라선시 항구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라진항
羅津港
Rajin Port
}}} ||
파일:라진항.jpg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설립 1935년
기능 무역항
부두수 3개
주소

라진항
( 라선시 라진구역 창평동)
1. 개요2. 상세3. 해상 요충지4. 북한 치하5. 통일 이후

[clearfix]

1. 개요

북한 라선시 항구로 중국 및 러시아와의 해상 무역의 요충지로서 북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구이다. 인접한 육지로는 중국의 훈춘과 러시아 하산과 매우 가까우며, 해상으로는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와 더 나아가 일본과 연결된다.

2. 상세

라선시가 경제특구로서 제역할을 하게 해주는 중추적인 존재이기도 하다. 지리적 위치 덕분에 중국, 러시아 그리고 몽골도 항만 임차권에 관심이 매우 많다. 외화가 필요한 북한에게는 가히 황금알을 낳는 거위같은 존재라고 볼 수 있다.

3. 해상 요충지

대한민국과 일본 그리고 대만에게 해상으로 가로막혀 있는 중국에게는 이러한 항만 임차를 통해서 동해로 나아갈 수 있는 통로이다. 그리고 러시아에게는 블라디보스토크를 제외한 얼지 않은 또다른 부동항으로서의 통로이기에, 더 나아가 태평양으로 가는 길목인 셈이다. 몽골에게는 저렴한 가격으로 기존의 러시아 및 중국에게 항만 임차권을 빌리지 않고 북한에게 바로 투자하여 대외 무역 및 물류를 확장시킬 수 있다.

4. 북한 치하

라진항의 이러한 지리적 입지 덕분에 북한은 경제적 제재에도 불구하고 외화벌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북한의 외화벌이 및 밀무역이 지속되는 장소이기에, 앞으로도 북한이 중국 및 러시아와의 경제 조약 체결 및 항만 임대에 큰 관심을 보일 것으로 추측된다.

5. 통일 이후

현재 부산항이 남부의 물류허브라고 볼 수 있다면, 라진항은 향후 북부의 허브가 될 수 있을 것이다.[1]
[1] 항만시설이 변변찮은 중국 동북부나 연해주 발착 물량을 소화할 수 있는 항구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 다만 원산이 훨씬 남쪽에 서울과 거리가 부산보다도 가까울 정도로 압도적인 위치라 허브 까지는 통일 후 지켜봐야 알 수 있을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