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0 13:59:56

동양미래대학교/동아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양미래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서울캠퍼스
학교 정보
상징 학부 동아리 학교법인 }}}}}}}}}

1. 동아리2. PD Lab (전공동아리)
2.1. 기계공학부2.2. 로봇자동화공학부2.3. 전기전자통신공학부2.4. 컴퓨터공학부2.5. 생활환경공학부2.6. 경영학부
3. C.I.Lab (취미동아리)

1. 동아리

취미동아리들은 4호관 6층에 포진되어 있고, 전공동아리들은 보통 학과사무실에 있는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학과마다 전공동아리가 존재하는데 가입하는 걸 추천한다. 전문대라는 특성상 선배와 교류할 기회가 거의 없는데, 동아리의 경우 그러한 특성을 깰 수 있으며, 동아리에서 주관하는 튜터링을 통해 학습능력을 신장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경진대회같은거나 공모전을 나갈때 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특히 공학 및 인문계열에서 전공동아리를 통해 대외적으로 수상하는 경우가 많으며, 세계대회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거두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취업 때 이력서에 스펙 한 줄이라도 더 적고 싶다면 동아리를 통해 활동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전공동아리의 특징으로, 40년 정도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졸업작품전[1]을 시행하고 있는데, 80~90년도부터 해마다 대외 전시회에 참여를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국내 최대 전자 전시회인 한국전자전에 출품을 하고 있다. 한국전자전 내에서도 유일한 대학 자체 부스이며 삼성, LG 다음으로 부스 규모가 크다. 전공동아리들의 졸업작품 결과물중 학교에서 선정하여 전시를 하게 되는데, 참여하는 팀의 경우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금을 받을수 있다. 2024년부로 창업교과가 신설됨에 따라 해당 과정을 지원하면, 프로젝트 진행을 하면서 학점을 얻을수 있게 되었다.

2. PD Lab (전공동아리)

2024년 전공동아리 목록

전공동아리는 전공과 관련된 활동을 기획한 동아리를 각 학과 사무실에서 인준하여 승인하는 동아리이다.
지도교수는 각 관련 학과 교수가 지정되며 관리운영비를 지원한다.
매년 갱신을 해야하며 아래는 24학년도 기준이다.

전공동아리 중 최근 3년간 졸업작품전 및 교내외 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낼 경우, PD Lab STAR 와 PD Lab Pre-STAR로 선정이 되어, 각각 학기 당 작품제작비로 팀별 지원금을 200만, 100만원의 추가 지원을 받는다. PD Lab STAR의 경우 5호관에 별도 공간인 동아리 연구실 (PD Lab)을 사용할 수 있다.
2023 PD Lab STAR
학부 동아리명
로봇자동화공학부 MCA, MoAS, SMART
전기전자통신공학부 누리나래, 작품연구회[2]
생활환경공학부 FOOD_ING
2023 PD Lab Pre-STAR
학부 동아리명
기계공학부 메카니카
컴퓨터공학부 Carpe DM, EL
생활환경공학부 BIOCHEM, SPC

2.1. 기계공학부

2.2. 로봇자동화공학부

2.3. 전기전자통신공학부


2.4. 컴퓨터공학부

2.5. 생활환경공학부

2.6. 경영학부

3. C.I.Lab (취미동아리)

Competency Improving Lab 동아리로 매년 신청을 통해 인증한 동아리는 활동지원금 지원 등 혜택이 주어진다.
목록에 없는 취미동아리가 있다면 사이비이거나 미인증 동아리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동양미래EXPO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KAIST와 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개최하는 '캔위성 경연대회'에서 항공우주연구원장상(장려상)을 수상. (나머지 수상 대학 : 충남대, 연세대, KAIST, 서울대, 제주대), 학부생 논문 경진대회(한국전자파학회 2022 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수상 수상.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