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중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대전글꽃중학교 | 대전대문중학교 | 대전대성중학교 | 대전동산중학교 | 대전문화여자중학교 | |
대전신일중학교 | 대전여자중학교 | 대전중앙중학교 | 대전중학교 | <colbgcolor=#fff,#1c1d1f> 대전태평중학교 | |
동명중학교 | 청란여자중학교 | 충남여자중학교 | 호수돈여자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대전대문중학교 大田大文中學校 Deajeon Daemun Middle School |
|
개교 | 1995년 3월 4일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운영형태 | 공립 |
성별 | 남녀공학 |
교장 | 장희식 |
교훈 |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 |
상징 |
교목:
소나무 교화: 장미 |
학생 수 | 131명[기준] |
교직원 수 | 20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중구 송리로 33 (문화2동 760)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대전대문중학교는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일반계 공립 남녀공학 중학교이다.2. 학교 연혁
1994. 3. 28. 대전대문중학교 설립 인가(24학급)1995. 3. 1. 초대 전기호 교장 취임
1995. 3. 4. 대전대문중학교 개교 및 입학식(381명)
1996. 3. 5. 1996학년도 신입생 입학식
1997. 12. 1. 교지 창간호 '대문' 발간
1998. 2. 10. 제 1회 졸업식(399명)
1999. 1. 23. 학급 배정 변경 인가(27학급)
1999. 2. 10. 제 2회 졸업식(397명)
2003. 1. 22. 학급 배정 변경 인가(29학급)
2004. 4. 8. 대전광역시 지정 '자원봉사협력학교' 운영
2004. 12. 1. 도서관 '슬기나루' 개관
2004. 12. 31. 학교평가 '교사영역' 우수교 동부교육장
2005. 1. 11. 학급 배정 변경 인가(30학급)
2005. 12. 30. 교육행정서비스 헌장 우수기관 선정(시)
2006. 1. 4. 학급 배정 변경 인가(31학급)
2006. 3. 1. 진로지도 시범학교 지정(2년간)
2007. 1. 23. 학급 배정 변경 인가(28학급)
2007. 12. 24. 2007학년도 학교평가 최우수교 선정 부총리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 표창
2008. 10. 31. '청솔관' 급식실 준공
2011. 12. 20. 교원능력개발평가 우수사례 공모전 최우수학교 선정
2012. 2. 9. 강당 준공식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4. 교훈
3.5. 교가
4. 학교 특징
- 설립 초기엔 4층 건물이었으나 2002년경 5층을 증축하였고 운동장도 천연잔디를 까는 사업을 하며 2003년 봄에 천연잔디 운동장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당시 중학생의 특성상 점심시간, 쉬는시간, 체육시간, 방과후에 너나 할 것 없이 운동장에서 축구를 즐겼으며 주민들에게도 학교 운동장은 오픈된 형태로 운영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관리가 불가능했다. 간혹 운동장 출입을 막고 잔디를 지키는(?) 노력을 기울였지만 결국 양쪽 축구 골대 페널티 박스를 기점으로 모레밭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2003년 가을에는 운동장의 모서리 부분 말고는 잔디가 사라졌으며 결국 2004년에는 흔적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2003년 당시 교사들 중 일부는 완성 전부터 이 사태를 예견하기도 했다.
-
개교 후 2003년까지는 남녀
합반이었고 2004년부터 남녀
분반으로 바뀌어 운영하다가
10회 입학생들 지못미...2014년 20회 입학생들부터 다시 남녀합반으로 바뀌었는데 학생 수 급감으로 남녀분반을 할 수 없게 된 사정이 작용한 탓이 컸다. -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00년대 중반만 해도 1,000명이 넘는 학생이 재학했었지만 2006년과 2007년에 주변 중학교들이 나란히 개교하면서 대문중학교의 학생 수가 직격탄을 맞게 되었는데 문화동/산성동 일대의 초등학생들이 글꽃중학교로 대거 지원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학생 수가 급감하게 되었다.[3] 그 결과 2017년 23회 입학생의 학급 수가 고작 1학급으로 줄어드는 초유의 사태까지 이르렀을 정도로 신입생 수가 참담해졌다.[4] 안 그래도 2017년 기준 2~3학년도 2학급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위태로워진 상황인데 학생 수가 더 줄었으니 이 정도면 거의 폐교대상 학교에 들어가는 상황이며 당장 내후년에 폐교되어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
점심시간에도 학교가 상당히 조용하다. - 급식실 청솔관이 지어지기 전까지는 건물 뒷편의 1층짜리의 긴 건물이 급식실이었다. 이 당시에는 4~5층이 쓰는 학년은 1년 내내 급식실에서 급식을 먹었으며 2~3층을 쓰는 두 학년이 1, 2학기 교대로 교실로 가져가서 먹었다. 하지만 2006년 하반기부터 전 학년이 급식실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것도 옛말이 되었다.
- 2010년 경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는데 일반 학생들은 사용이 제한되어 있고 주로 교직원과 무거운 물건 등을 나르거나 몸이 다친 학생들에 한해 사용이 가능하다.
- 화장실은 예전에는 5층을 제외하고는 시설이 그닥 좋지 못한 편에 냄새가 진동하였지만 2010년 이후로는 그나마 시설이 많이 개선된 편이다. 남자화장실은 학교 중앙 계단을 기준으로 좌측, 여자화장실은 우측에 위치해 있다. 특히 남녀 분반으로 운영하던 시절에는 여자화장실이 남자반 앞에 있는 경우도 있던 탓에 여학생들이 상당히 불편해했었다.[5] 다만 전반적인 학교 시설은 약간 노후된 편.
- 특이하게도 학교 종소리가 다른 학교들과 차별성을 두었는지 상당히 익숙한 곡인데 무려 김광민 - 학교 가는 길을 사용했었다! 예전에는 다른 곡이 사용되었는데 2010년 경부터 현재의 곡으로 변경된 것. 다만 2017년부터는 이전에 썼던 종소리와 같이 쓰다가 하반기부터 아예 다른 종소리로 변경시켰다.
5. 학교 시설
5.1. 본관 1층
가사실, 과학실, 등사실, 당직실, 전산실, 행정실, 기록물 관리실, 청운 공부방, 도서관(슬기나루)이 있다. 도서관은 이전까지는 학생들의 하교 시간까지 계속 열려 있었지만 현재는 오히려 굳게 닫혀있는 시간이 훨씬 많다(...) 출입 현관은 좌/우, 중앙 현관이 있으나 현재는 중앙 현관 및 계단만 사용 중이며 좌/우 현관은 아예 폐쇄되었다. 위에서 설명되어 있듯 학생 수 감소로 인한 조치로 보여진다.5.2. 본관 2층
본부 교무실, 교장실, 보건실, 방송실, 운영위원실, 진로 활동실, 학습도움실[특수학급], 교육복지실, 교사 휴게실 등이 위치해 있다. 이전에는 교장실과 방송실이 1층에 있었고 현재 교장실은 과거에 컴퓨터실이었다.5.3. 본관 3층
학급 교실이 있는 유일한 층으로 전 학급의 교실이 있으며 상담실, 교무실, 사료실[7]이 위치해 있고 3층 우측으로 청솔관과 연결되어 있다.5.4. 본관 4층
남/여 탈의실과 컴퓨터실[8], 수학/영어 교과교실, 그 외 여러 교과교실이 위치해 있다.5.5. 본관 5층
국악관현악실, 생활지도실, 기술실, 미술실, 음악실, 동아리실, 체육실, 과학실, 라이브밴드실이 위치해 있다.5.6. 별관
본관 뒷편에 있는 1층짜리 건물인데 청솔관이 지어지기 전까지 급식실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2008년 청솔관이 지어진 이후로는 특별한 용도가 없으며 주로 학교 축제 때 사용된다. 그 외 선거일 투표소로도 간혹 쓰이는 편이다.5.7. 청솔관
과거 테니스장이 있던 곳으로 2008년 테니스장을 철거하고 준공된 시설이다. 본관 3층과 연결되어 있고 1층에는 급식실이 있으며 2층에 강당이 있다. 강당은 주로 체육 시간이나 입학식, 졸업식 때 이용된다.5.8. 운동장
체육 교과 시간, 체육 대회 등 여러 활동을 할 때 사용되는 운동장. 2000년대 초반에는 상술했듯 한때 천연잔디가 깔려 있었지만 잔디 관리에 한계를 드러내 2년만에 다시 평범한 모래가 깔린 운동장으로 바뀌었으며, 청솔관이 지어지기 전에는 테니스장이 위치해 있었다. 축구 골대와 농구 골대, 평행봉 등이 있으며 조회대 아래에는 체육용품을 보관하는 창고가 있다. 2017년에는 명상 숲 조성 사업을 실시하여 정문 쪽의 농구 골대와 씨름판을 철거하고 명상 숲 산책로를 준공하였다.[9]6. 학교 생활
<colbgcolor=white,#191919> ~ 8 : 20 | 등교 |
8 : 30 ~ 8 : 40 | 아침조회 |
8 : 50 ~ 9 : 35 | 1교시 |
9 : 45 ~ 10 : 30 | 2교시 |
10 : 40 ~ 11 : 25 | 3교시 |
11 : 35 ~ 12 : 20 | 4교시 |
12 : 20 ~ 13 : 20 | 점심시간 |
13 : 20 ~ 14 : 05 | 5교시 |
14 : 15 ~ 15 : 00 | 6교시 |
15 : 10 ~ 15 : 55 | 7교시 |
6.1. 주요 행사
대문 한가족축제- 보통 이틀에 걸쳐 체육대회와 같이 진행되며 학생 수가 많았던 시절에는 한밭도서관 강당에서 진행했던 적도 있다. [10] 2004년까지는 각 학급에서 컨셉을 잡아 꾸미고 각종 대회들을 학교 내 장소에서 시간별로 진행하는 형식이었다. 예를 들어 음악실에서는 음악교사가 심사하는 노래 대회가 열렸고 수상자에게는 소정의 상품과 상장이 지급되었다. 도서관으로 옮겨간 계기는 2003~2004년에 학생회와 학생들 측에서 강하게 요구했기 때문이다. 축제 다운 축제(?)를 즐기려는 욕망이 강했고 주변 중/고등학교들이 큰 강당을 이용한 공연식 축제를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박탈감이 심했기 때문이다.
- 체육대회는 축제 다음날에 진행되었으며 운동장의 크기는 꽤 여유 있었기 때문에 전 학년이 모두 동시 참여할 수 있었다. 여느 학교처럼 축제 기간 전에 각종 종목의 예선전을 치르고 본선을 체육대회 당일 치르는 형식이었다. 또한 총 점수를 따져 1~3등에 해당되는 반에게 상품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05년 한밭도서관으로 옮기고 난 후에는 무대에 설 팀들을 미리 심사한 뒤 러닝타임 2시간 가량으로 만들어 공연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강당 수용 인원이 전교생에 비해 턱없이 모자랐기 때문에 2타임으로 나누어 오전, 오후 두 번 공연하고 전교생을 반으로 나누어 관람하는 형식으로 운영하였다. 무대 팀들은 아침부터 리허설을 진행하며 하루 종일 강당에 머물렀고 나머지 학생들은 학교 내에서 테마 학급을 진행하다가 시간에 맞춰 축제 장소로 이동해 관람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축제, 체육대회를 보내고 보통 다음날에 꿈돌이랜드[11] 혹은 대전동물원[12]으로 소풍을 갔다.[13] 3일 연속으로 이벤트가 있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꽤나 즐거워했다. 거기에 축제와 체육대회 예선 준비를 학교에서 우호적으로 배려했기 때문에 수업 시간에 교사와의 합의에 따라 운동장에서 체육대회 연습, 축제 연습을 하는 장면이 몇 주간 많이 나왔다. 따라서 2주 남짓한 이 기간 동안 축제 분위기를 계속해서 느낄 수 있었음으로 대부분 학생들이 시즌을 손꼽아 기다렸고 마지막 소풍 날에는 아쉬워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철도
7.2. 버스
8. 출신 인물
9. 기타
[기준]
2023학년도
[기준]
[3]
사실 이것은 문화동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대문중학교를 기피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이유도 있다.
[4]
사실 대문중만 이런게 아니라 중구-동구 구도심의 중학교들은 전부 학생수가 많이 줄어든 편이다.
[5]
남녀 분반 시절 여자반은 우측 복도, 남자반은 좌측 복도에 있었는데 당시 여자반이 적게는 2반, 많게는 4반 정도로 적었던 탓에 간혹 남자반도 우측 복도에 있던 적이 있었다.
[특수학급]
[7]
과거엔 이 곳이 생활지도실이었다.
[8]
컴퓨터실은 과거에 2, 3, 4층 세 곳이 있었으나 현재는 학생 수 감소로 4층만 남기고 2층은 교장실, 3층은 영어교과교실로 바뀌었다.
[9]
운동장의 농구 골대가 철거되면서 이젠 농구를 하려면 청솔관에서 해야 한다.
[10]
전교생은 2000년대 초중반이 모두 비슷했지만 2005년부터 한밭도서관에서 축제를 했다.
[11]
엑스포과학공원의 재정난 문제와 적자문제로 2012년 폐업 크리를 맞았다.
[12]
2009년에 대전 오월드로 변경되었다. 다만 기존의 동물원과 놀이기구 시설 등은 여전히 건재하다.
[13]
다만 소풍은 춘계와 추계 두 번에 걸쳐서 갔으며 3학년은 졸업사진을 찍기 위한 목적으로 소풍을 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