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0:34:08

니콜라이 스코모로호프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
소비에트 연방군
병과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병원수
Маршалы артиллерии
파일:소련 포병원수 계급장(견장).png
육군 <colcolor=#000,#ddd>
제2차 세계 대전기

니콜라이 야코블레프 | 미하일 치스탸코프
냉전기

바실리 카자코프 | 콘스탄틴 카자코프 | 파벨 쿨레쇼프 | 게오르기 페레델스키 | 예핌 보이추크 | 블라디미르 미할킨 | 게오르기 오딘초프
기갑원수
Маршалы бронетанковых войск
파일:소련군 기갑원수 계급장(견장).png
육군
제2차 세계 대전기

야코프 페도렌코 | 세묜 보그다노프 | 파벨 리발코
냉전기

미하일 카투코프 | 파벨 폴루보야로프 | 올레크 로시크
통신원수
Маршалы войск связи
파일:소련군 통신원수 계급장(견장).png
육군
제2차 세계 대전기

이반 페레십킨
냉전기

알렉세이 레오노프 | 안드레이 벨로프 | 니콜라이 알렉세예프
공병원수
Маршалы инженерных войск
파일:소련군 공병원수 계급장(견장).png
육군
제2차 세계 대전기

미하일 보로비요프
냉전기

알렉세이 프로실랴코프 | 빅토르 하르첸코 | 아르칠 겔로바니 | 세르게이 아가노프 | 니콜라이 셰스토팔로프
항공원수
Маршалы авиации
파일:소련군 항공원수 계급장(견장).png
공군
제2차 세계 대전기

표도르 아스타호프 | 그리고리 보로젤리킨 | 니콜라이 스크립코 | 표도르 팔랄레예프 | 세르게이 후댜코프 | 세묜 자보론코프
냉전기

세르게이 루덴코 | 블라디미르 수데츠 | 스테판 크라솝스키 | 예브게니 사비츠키 | 필리프 아갈초프 | 예브게니 로기노프 | 이반 보르조프 | 알렉산드르 포크리시킨 | 게오르기 지민 | 알렉산드르 예피모프 | 이반 프스티고 | 알렉산드르 실란티예프 | 그리고리 스코리코프 | 니콜라이 스코모로호프 | 표트르 키르사노프 | 아나톨리 콘스탄티노프 | 이반 코제두브 | 알렉산드르 볼코프 | 예브게니 샤포시니코프
비고 ※ 진급시기 기준 세분, 2차 대전기는 전간기부터 1945년 8월까지 해당.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9대 제17공군 사령관
니콜라이 스코모로호프
Никола́й Скоморо́хов | Nikolai Skomorokhov
파일:Nikolai_Skomorokhov.jpg
본명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스코모로호프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Скоморо́хов
Nikolai Mikhailovich Skomorokhov
출생 1920년 5월 19일
러시아 SR 사라토프현 카미신구 라폿
(現 러시아 볼가 연방관구 사라토프주 크라스노아르메이스크군 벨로고르스코예)
사망 1994년 10월 14일 (향년 74세)
러시아 모스크바주 숄코보군 모니노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주 숄코보 지구 모니노)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 제9대 제17공군 사령관
1968년 4월 ~ 1973년 8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학력 바타이스크 항공사관학교
M.V.,프룬제 사관학교
소비에트 연방군 총참모부 사관학교
복무 노농적군 공군
1940년 12월 ~ 1946년
소비에트 공군
1946년 ~ 1992년
최종 계급 항공원수 (소비에트 공군)
주요 참전 독소전쟁
주요 서훈 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
레닌훈장 1회
적기훈장 5회
격추 이력 47기[1] }}}}}}}}}

1. 개요2. 생애
2.1. 독소전쟁2.2. 전쟁 이후2.3. 말년

[Clearfix]

1. 개요

소련의 군인이자 독소전쟁 당시 활약한 에이스 파일럿.

2. 생애

1920년 사라토프현 카미신구 라폿 마을에서 농부 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1930년 아스트라한으로 이사하여 1935년까지 중학교를 과정을 마치고 공장 견습학교를 졸업한 후 제3인터내셔널 아스트라한 공장에서 견습공과 선방공으로 일했고 도서관 기술학교를 졸업했다. 1939년부터는 항공학교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1940년 12월에는 붉은 군대에 자진입대하였고 1942년 3월에는 세로프 바타이스크 항공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사관학교 졸업하고 후 자캅카스 군관구 예비 항공연대에서 후반기 교육을 받았다.

2.1. 독소전쟁

1942년 6월 22일, 독일의 침공으로 전쟁이 발발하였고, 스코모로호프는 같은 해 12월 제295전투비행사단 제164전투비행연대 소속의 중사 계급으로 첫 실전에 참전하였다.

1943년 2월 2일에 독일 정찰기인 포케불프 Fw-189를 격추하여 첫 격추기록을 남겼고 2월 22일에는 이어서 U-87 폭격기를 격추시켰다. 그리고 제164전투비행연대 소속 파일럿으로서 남서부전선군과 제3우크라이나전선군을 지원하면서 싸웠다.

1944년 3월에는 제3우크라이나전선군 소속 제17공군 산하 제131전투비행연대로 배속되었고 주로 LaGG-3, La-5, La-7으로 공중전을 벌였다.

그렇게 캅카스 전투, 우크라이나, 몰도바, 루마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왕국, 체코슬로바키아와 오스트리아의 대공세에도 참전하였다.

부다페스트 공방전에서는 다이아몬드 대형으로 비행하던 루프트바페 전투기 2기를 격추했고, 한 번의 공중전에서 2-3기를 연속적으로 격추시켰다.

1945년 1월 16일 하루동안 세 번의 공중전에서 적기 3기를 격추했고 1945년 4월 25일 오스트리아 상공에서 1기를 격추한 것이 2차대전 당시 스코모로호프의 마지막 격추 기록이었으며, 종전 무렵에는 소령으로 진급되어 있었다.

전쟁 기간 스코모로호프의 격추 기록은 공중전에서 적기 44기 격추, 3기 공동격추, 지상에 대기 중이던 폭격기 3기 격파였으며 공중전 내내 부상을 입은 적도 없었고 자신의 비행기도 생채기 하나 없었다고 한다, 오죽하면 루프트바페에서 존재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위협이라고 경고했을 정도.

2.2. 전쟁 이후

전쟁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공군에 남았으며 1946년에는 M.V.프룬제 사관학교를 졸업했다.

1949년 11월에는 근위제111전투비행연대의 연대장으로 임명됐으며 1954년 1월부터는 자바이칼 군관구 산하 제246전투비행사단장을 맡았다.

1958년에는 소비에트 연방군 총참모장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61년 2월부터 제71전투비행단장을 역임했다.

1962년부터 1974년까지 소련 최고회의 연방평의회 부의장을 역임하였고 1968년 4월부터 1973년 8월까지 키예프 군관구 산하 제69공군[2]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1973년 8월부터는 가가린 공군사관학교 교장직을 역임하였다.

2.3. 말년

1985년 승전 4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승리의 깃발을[3] 들고 행진하는 명예를 안게 됐으며 1988년부터 1992년까지 소련 국방부 감찰단 고문을 역임하다가 1992년 5월에 전역과 함께 완전히 군에서 은퇴하게 된다.

1994년 10월 14일 교통사고로 생을 달리했으며 유해는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1] 공동격추 3기 포함. [2] 1972년에 제17공군으로 개칭. [3] 제105이드리츠카야사단의 사단기로 소련-러시아에서는 일명 승리의 깃발로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