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2 22:04:29

노출면

배틀필드 2042의 전장
노출면
Exposure
파일:KIN_S1_Screenshot_07_VistaExposure01_3840x2160_NoLogo-dbacecefc95e0d40171c.webp
캐나다, 블랙 릿지
캐나다 로키산맥으로 이동해 극한의 수직 지형을 횡단하세요. 지대공 전투와 팽팽한 보병전이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기후 효과 없음
Levolution 없음
거점 정보
128인 A 섹터 B 섹터 C 섹터 D 섹터 E 섹터 F 섹터
A1, A2 B1 C1 D1 E1, E2 F1, F2
[레이아웃 보기]
파일:KIN_S1_DeployScreen_Exposure_Gen5-87c24c6d81fff1e45b31.webp
64인 A 섹터 B 섹터 C 섹터 D 섹터
A1 B1, B2 C1 D1
[레이아웃 보기]
파일:bf2042_exposure_layout_small.png

1. 개요2. 모드 및 공략
2.1. 컨퀘스트2.2. 브레이크스루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배틀필드 2042 로고 (8).jpg    노출면 맵 미리보기
블랙 릿지 군사 기지는 다른 기지와 마찬가지로 체계적이고 안전해 보였고, 외딴 곳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북쪽 만에 위치한 이 기지는 평범한 시설처럼 보였지만, 사실 세상을 파괴시킨 치명적 실수를 숨기고 있었습니다. 블랫 릿지 아래에서는 북미 군사 연구원들이 자신들의 실수로 블랫아웃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수년간 비밀리에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변함없는 피난처 작전은 기후 악화로부터 미국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때 이른 실험이 실패로 돌아가며 재앙이 일어났습니다. 그 피해는 말로 다 할 수 없을 정도였지만 블랫 릿지의 연구는 얼마 지나지 않아 재개되었습니다. 시작한 일을 기어코 끝내고 말겠다는 고위 군 장교와 정부 기관의 압력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그 목표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었습니다.

2042년 12월 블랙 릿지 시설에 재앙이 닥쳤습니다.큰 폭발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하며 비밀 연구소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난 것이었습니다. 변함없는 피난처 기술을 얻어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 했던 오즈가 이 폭발을 일으켰다는 사실은 나중에야 밝혀졌습니다.

기지가 노출되자 미군 부대가 즉시 파견되어 은폐를 시도하고 있지만, 블랙 릿지에 감춰진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적도 그만큼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인게임 코덱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블랙 릿지.

이전에는 외딴 캐나다 공군 기지라고 여겨졌던 블랙릿지 캐나다 군 기지의 진짜 정체가 산사태 이후 숨겨진 미국 시설로 밝하졌습니다. 일부는 기상조작 기지라고 주장하고, 다른 일부는 더 사악한 진실이 숨어 있다고 믿는 등, 음모가 파다합니다.

현장은 노출된 정보를 서둘러 회수하려는 미군부대의 개미집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역에 러시아 주둔군이 늘어나고 있어 지정학적 불씨를 끄기엔 너무 늦었을지도 모릅니다.
플레이어 카드 이미지 '노출' 설명문

배틀필드 2042 전장.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를 배경으로 한다.

맵 스토리는 미국의 연구 시설을 배경으로 지진으로 인해 시설이 노출되어 이를 발견한 러시아군이 해당 시설을 점령하기 위해 병력을 보냈으며, 미군은 이를 막기 위해 병력을 보냈다는 것이 스토리이다. 배틀필드 1의 몬테 그라파 맵처럼 고저차가 심한 맵이며, 거대한 절벽이란 점에선 배틀필드 3의 맵 다마반드 정상이, 그리고 절벽 내부의 폐쇄적인 거대연구시설이란 점에선 격납고 21이 연상된다.

여담으로 배틀필드 2042 세계관에 대한 진실이 밝혀진 맵인데, 미 해병대 사령부의 내레이션에서 '시설의 중요성을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다'거나 '러시아가 부당한 주장을 하고 있다'는 등, 자신들이 고용한 비송환자 군인들에게도 무언가 숨기는 모습을 보인다. 내부에 대규모 서버 시설[1]과 가변식 3D 지도 테이블과 홀로그래픽 조명이 있는 회의실이 있어서 여러모로 수상한 배경을 지닌 맵이었으나,[2] 시즌 4 이스터 에그에서 밝혀진 진실은 미국이 세운 기상 조작 위성인 '시어워터'의 통제 기지였으며, 오즈는 미국의 이 추악한 진실을 폭로 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지진 산사태를 일으켜 시설을 의도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맵 한쪽에 차량용 엘리베이터가 있어 절벽 위아래로 이동이 가능하다. 공개 이후 오리지널 맵과 달리 수직적 밀집도가 높으며 거점 구성도 제대로 이루어져 드디어 128인 규모에 알맞은 맵이라고 반응이 있을 정도로 호평 받는다. 다만 거의 8개월이 지나고 나서 추가된 신규 맵인데도 불구하고 레볼루션과 기후 효과가 전혀 없는 점과 탑승장비 수가 너무 적은 것에는 혹평 받는다.[3]

2. 모드 및 공략

2.1. 컨퀘스트

브리티시컬럼비아의 지진 활동으로 캐나다-미국 연구 시설 기지가 피해를 보았다. 산사태로 인해 내부가 노출되었으며 주변 지역이 훼손되었다.
러시아군은 이로써 군사 무기가 드러났다고 부당한 주장을 하고 있으며,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캐나다 영토에 병력을 배치하고 있다.
누가 죽어도 된다고 했나?
러시아 놈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라.
컨퀘스트 미 해병대 사령부 나레이션
캐나다 로키산맥의 산사태로 블랙 릿지 시설의 내부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발견한 건 직접적인 위협이 될 무기로, 계속 작동하게 놔둬선 안 된다.
오늘의 긴급 임무다. 동맹군과 함께 기지로 이동한 후, 현장에 있는 모든 섹터를 확보한다.
우리가 상황을 바로잡을 것이다.
수송기가 기다리고 있다.
컨퀘스트 러시아 육군 사령부 나레이션
A와 E, F 섹터는 주로 장비가 활약하지만 맵이 전체적으로 수직이라 헬기의 활약이 매우 높은 편이다. 그래서 수송 헬기, 공헬 및 스텔스 헬기의 파일럿 역량에 따라 승패가 갈릴 정도. 주로 헬기를 활용해 A, F 섹터를 노릴 수 있다. B, C, D 섹터는 터널 및 비밀 기지가 위치한 곳이라 주로 보병전이 벌어지는 섹터들이다. 참고로 화물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이걸 활용해서 전차 같은 탑승장비가 터널 안쪽으로 올 수도 있다. 우려되었던 개활지역은 대부분 교전이 집중되지 않는 구역이고, 주요 교전 구역은 거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서 대책 없는 마라톤은 잘 나오지 않는다.

2.2. 브레이크스루

적 분대가 캐나다 영공에 침입하는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다. 놈들은 이곳, 로키산맥에 있는 미국/캐나다 공동 연구 시설로 이동 중인 모양이다.
이 시설의 중요성은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다. 무슨 수를 써서든 섹터를 지키고 사수하라. 이 자치령을 반드시 방어해야 한다.
사령부 통신 종료.
브레이크스루 미 해병대 사령부 나레이션
미군과 캐나다 동맹이 불법 기술을 개발해 온 사실이 발각됐다.
기지의 섹터를 하나씩 확보하라. 병력은 한정적이고, 미군은 교전을 장기전으로 끌고 가려고 할 것이다.
결정적인 타격을 날리면 이 세계적인 위험을 러시아가 통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브레이크스루 러시아 육군 사령부 나레이션
브레이크스루의 경우 64인화와 함께 시즌 2 중반부 이루어진 동선 리워크 때문에 칼레이도스코프에 버금가는 우주방어 맵으로 평가받는다. A섹터는 그다지 엄폐물이 없는 평야 위주이므로 공격이 무난하게 뚫지만, B섹터부터는 절벽 아래의 지하기지 동선으로 진행되는데 B1 거점은 방어팀이 대놓고 탑승장비를 기지 실내에 처넣을 수 있다. M1A5 주력 전차[4], 와일드캣/RAM, 30mm 리콘 지프와 같은 고화력 장비들이 방어팀에 들어오므로 안 그래도 화력 밀집도가 높은 실내전인데 방어팀 장비들은 실내에서 안전하게 보호받으므로[5] 대전차화기로 건드리기는 커녕 판 내내 손도 못 대고 끝나기 일쑤에, 그 탑승장비들이 몰고오는 화력 우세로 방어가 굉장히 유리하다. 공격팀 탑승장비는 게다가 실내 진입루트가 아예 없어서 병풍이 되어버린다. 어거지로 절벽측 입구로 MAV나 탱크가 고개를 들이밀어도 방어측 탱크에 얻어맞고 들어가지조차 못한다. 그렇게 사기적이라는 수송헬기 하인드조차 이 B1섹터 실내 거점에서는 사격각이 잘 나오질 않으니 영 힘을 못 쓴다.

B섹터 메타에서는 방어팀은 대개 실외거점인 B2를 버리고 B1 실내에만 죽치고 앉아있기에 공격이 실외를 점령한들 아무 의미도 없다. 설령 방어측 전차가 실내 기지 밖에서 놀더라도 이런 경우 대부분 터널에 짱박혀서 공격팀의 우회침투 시도를 막아버리는 플레이를 하는지라 답이 없다.

어떻게 선댄스로 기습침투해서 전차/RAM을 부수고 B섹터를 밀어낸다고 한들 다음 거점인 C섹터 또한 또 실내 거점을 포함하기에 공격측 피로도가 더욱 높아진다. B를 뚫더라도 티켓 출혈이 막대하므로 여전히 방어가 유리하다.


[1] 일반 서버 허브 규모가 아닌 2층 건물 높이와 넓은 규모에, 서버 전체가 온통 빨간빛을 내고 있다. [2] 다음 시즌 '마스터 오브 암즈' 트레일러에서 스페셜리스트인 크로포드가 말하길 "오즈에게 블랙 릿지는 시작일 뿐이었어."라는 말로 보아 정황상 오즈가 그곳에 인공 지진과 산사태를 일으켜 시설을 드러내어 의도적으로 러시아가 그곳을 공격하도록 정보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 [3] 탑승장비 배치 수가 적은 것은 노출면 맵만 아닌 2042 맵 자체의 새로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발매 초기 호버크래프트와 볼테의 악명, 항공기들의 사기성을 보여주자 개발진이 장비 밸런싱을 진행하면서 장비 배치 수도 함께 줄어버렸다. 결국 현재는 모든 맵에서 지상 경량 차량을 제외한 기갑, 항공기, 수송 전부 많아봐야 최대 2개, 기본 1개 밖에 배치할 수 없다. 이전 시리즈는 64인 규모에 장비 배치 수를 생각해보면 본작의 128인 규모인데도 얼마나 심각하게 장비 수가 줄어들었는지 알 수 있다. [4] 헬리패드에 공수투입 호출 후 실내로 넣을 수 있다. 후진으로 엔진부터 넣으면서 포탑을 이리저리 돌려대며 비비다보면 들어간다. [5] 전차의 경우 정면 절벽쪽 진입로엔 대놓고 헐다운하기 좋은 계단턱까지 주어지므로 그 쪽으로 적 전차나 MAV가 들이밀고 들어오더라도 일단 압도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선점하고 싸운다. 적 장비는 일단 절벽 턱에 비비면서 올라와야 하고 기동로까지 협소해서 고개를 들이밀 때 무조건 한 대 먼저 맞고 시작하는 반면 실내는 공간이 널찍하고, 숨을 엄폐물까지 있으니..

3.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0
, 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