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22:18:31

노다지(드라마)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 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 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 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 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 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 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 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 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 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 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 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 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KBS 1TV 대하드라마
노다지 (1986~1987)
Windfall
파일:노다지.png
<colbgcolor=#6f3d05><colcolor=white>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일요일 / 20:00
방송 기간 1986년 10월 25일 ~ 1987년 5월 31일
방송 횟수 61부작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채널 KBS 1TV
제작진 <colbgcolor=#6f3d05><colcolor=white> 기획 김홍종
연출 이종수
극본 박병우
조연출 홍성덕, 문정수
기술감독 최창근
조명감독 김태섭
미술감독 최연호
음악 서근식
카메라 김성진 外 다수
촬영 심량섭, 김영주
편집 김현우, 신현무, 한만웅
고증 박정식
원작 선우휘 저,
소설 《노다지》
출연 한혜숙, 김진태, 박혜숙, 하희라, 임성민, 김영철, 최재성, 배종옥, 김인태, 임병기, 조민수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4. 평가5. 여담

[clearfix]

1. 개요

1986년에 방영된 6번째 KBS 대하드라마.

새벽의 후속으로, 1986년 10월 25일부터 1987년 5월 31일까지 매주 토, 일요일에 방영되었다.[1] 방영 4달 전에 작고한 소설가 선우휘가 1978년부터 4년간 <주간조선>에 연재한 동명의 장편소설이 원작이며 극본은 박병우[2], 연출은 이종수 PD, 조연출은 홍성덕과 문정수 PD 등이 맡았고, 타이틀 글씨는 서예가 평보 서희환(1934~1995), 고증은 박정식 등이 맡았다.

2. 줄거리

평안북도 정주시 남산골을 배경으로 구한말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 김도흡[3]과 그의 집안 및 애국지사 임중섭과 최실단[4]의 사이에서 태어난 성희[5]의 삶을 보여주는 작품. 김도흡 역을 김진태[6], 최실단과 성희 모녀를 한혜숙이 1인 2역으로 맡았다.[7] 2부의 주인공인 김도흡의 두 아들 역은 임성민 최재성 등이 각각 맡아 열연했다. 김도흡의 첫 연인인 웃간네 역은 신인 하희라[8]가 연기했는데,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으로 1부 후반부에서 중도하차하였고, 이어서 후처 역할은 박혜숙이 담당했다.

3. 등장인물

4. 평가

이 드라마는 1986년에 총 20회의 1부가 방영됐는데, 87년 초까지 방영될 예정이던 동시간대의 MBC 인기 주말극 ' 풀잎마다 이슬'에 강세를 보이며 결국 동년 말에 조기종영시킬 정도로 중년의 지식인층은 물론 대학생 등 젊은층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다만 풀잎마다 이슬은 원래 20부작으로 기획된 드라마인데 인기를 끌어 60회 이상으로 무리한 연장을 하다보니 줄거리를 억지로 늘려 재미가 확 떨어졌다는 점도 컸었다. 결국,이러다보니 이 노다지에 밀려 42회로 끝내면서 결말을 억지로 내버렸기에 비난을 많이 받았다. 그래놓고 MBC는 사랑과 진실 이후 김수현 작가를 주말극에 재투입하는데, 이 드라마가 80년대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87년 드라마 사랑과 야망이다.

5. 여담



[1] 본방은 5월 23일에 끝났으며 5월 30, 31일에는 지난 줄거리를 총정리한 총집편으로 방영되었다. [2] 1979-80년에 방영된 KBS-TV(Ch 9)의 주간 대하드라마 토지 등을 각색했다. [3] 가난한 농민이었으나 금광에서 일하면서 몰래 금을 빼돌려 그걸 밑천으로 성공하게 된다. [4] 김도흡과 최실단은 한 마을에서 서로 좋아하며 장래를 약속했던 사이였으나 청일전쟁 때 최실단이 청나라 병사들에게 윤간을 당하면서 둘은 좋아하면서도 같이 할 수 없게 된다. 이때문에 김도흡에게 민며느리로 들어온 사람(배역명 : 웃간네)은 김도흡을 좋아하면서도 둘의 사이를 늘 의심하며, 결국 그 와중에 죽음을 맞이하는 비극이 초래된다. [5] 드라마 속에서 일제강점기 엘리트 여대생이었으나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비극적 인생을 살게 된다. [6] 김진태는 이 드라마로 TV탤런트로서 이름을 알리게 된다. [7] 1970년에 데뷔•71년부터 KBS에서 활동한 한혜숙은 이 드라마로 30대 중반의 나이임에도 당당히 주연으로 재기에 성공했고, 87년 한국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연기상•한국방송대상 여자연기자상•KBS 연기대상 특별상을 받는 등 대중과 평단에게서 단순한 미녀배우가 아니라 연기력까지 갖추었음을 인정받았다. [8] 고교생 일기로 얼굴을 알린 하희라는 이 드라마로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9] 크레딧상 '유한종'으로 표기. [10] 김도흡 집 하녀. [11] 사진 수집가 정성길이 세운 홍보전시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2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