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5:52:10

구상나무

구상나무
Korean fir
파일:external/blog.joins.com/%EA%B5%AC%EC%83%81%EB%82%98%EB%AC%B48514%20266.jpg
학명: Abies koreana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겉씨식물군(Gymnospermae)
구과식물문 (Pinophyta)
구과식물강 (Pinopsida)
구과목(Pinales)
소나무과(Pinaceae)
전나무속(Abies)
구상나무(A. korean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기.svg

1. 개요2. 상세3. 외국으로의 반출 및 개량4. 지구 온난화로 인한 멸종 위기5. 여담

[clearfix]

1. 개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 전나무[1]와 사촌지간이다.

2. 상세

파일:구상나무 꽃.jpg
구상나무 꽃

한국 특산종으로 해발고도 500~2000m인 한라산, 지리산, 무등산, 덕유산 등에서 자생한다. 나무의 높이는 10~18m정도까지 자라며, 회갈색의 수피는 거칠다. 잎은 선형이고 가지나 줄기에 돌려나며, 어린가지에 난 잎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5~6월에 잎 끝에 솔방울 같은 꽃이 피는데 빛깔이 노란색·분홍색·자주색·검은색 등 갖가지 색을 나타내며, 가을에 익는 열매도 여러 가지 색이다. 암수한그루이며, 꽃의 색이 자주빛인 것은 구상나무, 검은빛이 강한 것은 검구상, 붉은빛이 도는 것은 붉은구상, 녹색인 것은 푸른구상이라고도 부른다. 열매는 원통형의 구과이고 9~10월에 성숙한다.

구상나무는 제주도 방언인 성게를 뜻하는 '쿠살'과 나무를 뜻하는 '낭'의 합성어로 잎이 성게가시처럼 생겼다고 해서 쿠살낭(성게나무)이라고 부르던 것을 정태현 외 3인(1937)이 조선식물향명집에 '구상나무'로 옮겼다.

꽃말은 '기개'.

3. 외국으로의 반출 및 개량

구상나무는 한국 고유종이다. 구상나무가 알려지게 된 것은 가톨릭 신부이자 식물학자 에밀 조제프 타케(Émile Joseph Taquet, 1873 ~ 1952)가 1907년에 프랑스 가톨릭 신부이자 식물학자인 위르뱅 장 포리(Urbain Jean Faurie, 1847 ~ 1915) 신부와 함께 한라산에서 채집한 뒤[2][3]에 미국 하버드대에 있는 아널드 식물원에 보냈다. 1915년에 영국 출신 식물학자 어니스트 윌슨이 기존의 분비나무와 다른 것으로 보고 새로운 종으로 구분하여 '아비스 코리아나(Abies Koreana)라고 명명하였다. 구상나무의 '모식표본'은 현재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후 구상나무는 유럽에서 종자를 개량하여, 서구권에 고급 크리스마스트리로 보급되면서 알려졌다. 서구에서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소나무과의 전나무류와 가문비류를 주로 활용하는데, 구상나무는 키가 1~2m에 불과한 어린 나무에서도 원추형의 멋진 모양을 보여주고 있어서, 실내에 놓아 장식을 달기에 딱 좋기 때문이다.

4. 지구 온난화로 인한 멸종 위기

파일:한라산 구상나무 숲 고사.jpg

구상나무는 연중 강수량이 일정해야 잘 자라는데,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겨울철 강수량의 급감으로 인해 집단으로 고사하여 멸종위기에 처했다. # 한라산에서는 해발 1700m에서 1800m까지에 있는 구상나무의 80% 이상이 고사했다. # 지리산에 있는 1만 5천 그루의 구상나무 군락도 기후변화로 인해 점차 말라가고 있어서 대책이 시급하다고 한다. #

2021년부터 구상나무 복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광양 백운산, 소백산 등의 자생지에서 기후 스트레스를 덜 받고 상대적으로 건강한 구상나무의 열매를 수집·채취해서 6년 동안 양묘장에서 기른 다음, 건강한 묘목으로 자란 구상나무는 경남 금원산과 월봉산, 전북 민주지산 등에 심어져 복원되고 있다. #

5. 여담



[1] 구상나무는 같은 전나무 섹션에 속하는 분비나무와 매우 닮았다. [2] 근거1: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B0%80_%ED%83%80%EC%BC%80 [3] 근거2: https://www.youtube.com/watch?v=lUMedJO0IxY&list=PLpB9z9SOeZQde_LrQybfYuNBmmtxZvSaT&index=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