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동어 한자음을 보통화 및 한국 한자음과 비교하여 중고음 성모에 맟추어 수록했다.
- 견모(見母, /k/), 계모(溪母, /kʰ/), 갑모(匣母, /ɣ/), 효모(曉母, /x/) 사이에 혼란이 있다. 이와 똑같은 현상이 한국에도 있지만 그 과정은 다르다.
- 광동어에서는 중고음에 따라 성조가 달라진다. 제4,5성은 무기음 성모인 /b-/, /d-/, /g-/, /z-/와 절대 결합할 수 없고 오로지 유기음 성모인 /p-/, /t-/, /k-/, /c-/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중고음으로부터 세월이 천 년 이상 흘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참고만 할 수 있을 뿐이다.
1. 순음
1.1. 방모(幫母)
- 幫母 : 한국어에서 /p/는 /p/, /pʰ/로 나뉘어 수렴한다. 광동어에서도 대부분 /b-/의 제1,2,3성으로 수렴한다.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巴 | ba1 | baa1 | 뱀 파 |
八 | ba1 | baat3 | 여덟 팔 |
把 | ba3 | baa2 | 잡을 파 |
霸 | ba4 | baa3 | 으뜸 패 |
擺 | bai3 | baai2 | 벌일 파 |
百 | bai3 | baak3 | 일백 백 |
拜 | bai4 | baai3 | 절 배 |
班 | ban1 | baan1 | 나눌 반 |
板 | ban3 | baan2 | 널빤지 판 |
扮 | ban4 | baan3 | 꾸밀 분 |
半 | ban4 | bun3 | 절반 반 |
幫 | bang1 | bong1 | 도울 방 |
綁 | bang3 | bong3 | 도울 방 |
包 | bao1 | baau1 | 쌀 포 |
飽 | bao3 | baau2 | 배부를 포 |
報 | bao4 | bou3 | 갚을 보 |
卑 | bei1 | bei1 | 낮을 비 |
北 | bei1 | bak1 | 북녘 북 |
奔 | ben1 | ban1 | 달릴 분 |
本 | ben3 | bun2 | 근본 본 |
崩 | beng1 | bang1 | 무너질 붕 |
逼 | bi1 | bik1 | 핍박할 핍 |
比 | bi3 | bei2 | 견줄 비 |
必 | bi4 | bit1 | 반드시 필 |
畢 | bi4 | bat1 | 마칠 필 |
邊 | bian1 | bin1 | 가 변 |
編 | bian1 | pin1 | 엮을 편 |
扁 | bian3 | bin2 | 작을 편 |
變 | bian4 | bin3 | 변할 변 |
遍 | bian4 | pin3 | 두루 편 |
憋 | bie1 | bit3 | 참을 별 |
彆 | bie4 | bit3 | 활 뒤틀릴 별 |
賓 | bin1 | ban1 | 손 빈 |
彬 | bin1 | ban1 | 빛날 빈 |
殯 | bin4 | ban3 | 염할 빈 |
鬢 | bin4 | ban3 | 살쩍 빈 |
兵 | bing1 | bing1 | 군사 병 |
丙 | bing3 | bing2 | 남녘 병 |
餠 | bing3 | beng2 | 떡 병 |
倂 | bing4 | bing3 | 아우를 병 |
波 | bo1 | bo1 | 물결 파 |
博 | bo2 | bok3 | 넓을 박 |
伯 | bo2 | baak3 | 맏 백 |
柏 | bo2[1] | paak3 | 잣나무 백 |
跛 | bo3 | bai1 | 절뚝거릴 파 |
播 | bo1[2] | bo3 | 뿌릴 파 |
補 | bu3 | bou2 | 기울 보 |
捕 | bu3 | bou2 | 잡을 포 |
不 | bu4 | bat1 | 아니 불 |
1.2. 방모(滂母)
- 滂母 : 한국어에서 /pʰ/는 /p/, /pʰ/로 나뉘어 수렴한다. 광동어에서도 대부분 /p-/의 제1,2,3성으로 수렴한다.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怕 | pa4 | paa3 | 두려워할 파 |
拍 | pai1 | paak3 | 손뼉칠 박 |
派 | pai4 | paai1 | 물갈래 파 |
潘 | pan1 | pun1 | 뜨물 반 |
攀 | pan1 | paan1 | 기어오를 반 |
判 | pan4 | pun3 | 가를 판 |
滂 | pang1 | pong4 | 비 퍼부을 방 |
配 | pei4 | pui3 | 나눌 배 |
佩 | pei4 | pui3 | 찰 패 |
噴 | pen1 | pan1 | 뿜을 분 |
烹 | peng1 | paang1 | 삶을 팽 |
抨 | peng1 | ping1 | 탄핵할 평 |
碰 | peng4 | pung3 | 부딪칠 팽 |
批 | pi1 | pai1 | 비평할 비 |
僻 | pi1 | pik1 | 버릇 벽 |
匹 | pi3 | pat1 | 짝 필 |
癖 | pi3 | pik1 | 버릇 벽 |
偏 | pian1 | pin1 | 치우칠 편 |
篇 | pian4 | pin3 | 책 편 |
片 | pian4 | pin4 | 조각 편 |
瞥 | pie1 | pit3 | 언뜻 볼 별 |
撇 | pie3 | pit3 | 삐칠 별 |
拼 | pin1 | ping3 | 물리칠 평 |
聘 | pin4 | ping3 | 부를 빙 |
坡 | po1 | bo1 | 비탈 파 |
潑 | po1 | put3 | 물 뿌릴 발 |
破 | po4 | po3 | 깨뜨릴 파 |
仆 | pu1 | puk1 | 넘어질 복 |
普 | pu2 | pou2 | 두루 보 |
浦 | pu2 | pou2 | 물가 포 |
朴 | pu2 | pok3 | 순박할 박 |
鋪 | pu3 | pou3 | 가게 포 |
1.3. 병모(並母)
- 並母 : 한국어에서 /b/는 /p/, /pʰ/로 나뉘어 수렴한다. 광동어에서도 대부분 /b-/의 제6성과 /p-/의 제4,5성으로 수렴한다.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爸 | ba4 | baa6 | 아비 파 |
伴 | ban4 | bun6 | 사귈 반 |
傍 | bang4 | bong6 | 기댈 방 |
便 | bian4 | bin6 | 편할 편 |
並 | bing4 | bing6 | 나란히 병 |
病 | bing4 | beng6 | 병들 병 |
爬 | pa2 | paa4 | 기어오를 파 |
琶 | pa2 | paa4 | 비파 파 |
排 | pai2 | paai4 | 물리칠 배 |
牌 | pai2 | paai4 | 호패 패 |
盤 | pan2 | pun4 | 쟁반 반 |
旁 | pang2 | pong4 | 곁 방 |
陪 | pei2 | pui4 | 모실 배 |
盆 | pen2 | pun4 | 동이 분 |
朋 | peng2 | pang4 | 벗 붕 |
琵 | pi2 | pei4 | 비파 비 |
貧 | pin2 | pan4 | 가난할 빈 |
頻 | pin2 | pan4 | 자주 빈 |
瓶 | ping2 | ping4 | 단지 병 |
僕 | pu2 | buk6 | 종 복 |
葡 | pu2 | pou4 | 포도 포 |
1.4. 명모(明母)
- 明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1.5. 비모(非母)
- 非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1.6. 부모(敷母)
- 敷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1.7. 봉모(奉母)
- 奉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1.8. 미모(微母)
- 微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 설음
2.1. 단모(端母)
- 端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2. 투모(透母)
- 透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3. 정모(定母)
- 定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4. 니모(泥母)
- 泥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5. 지모(知母)
- 知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6. 철모(徹母)
- 撤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7. 징모(澄母)
- 澄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2.8. 낭모(娘母)
- 娘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 치음
3.1. 정모(精母)
- 精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2. 청모(淸母)
- 淸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3. 종모(從母)
- 從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4. 심모(心母)
- 心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5. 사모(邪母)
- 邪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6. 조모(照母)
- 照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7. 천모(穿母)
- 穿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8. 상모(牀母)
- 牀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9. 심모(審母)
- 審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3.10. 선모(禪母)
- 禪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4. 아음
4.1. 견모(見母)
-
見母 : 한국어에서 /k/, /kʰ/ 음소 일부는 /h/가 되기도 하였다.
한자 보통화 광동어 한국어 훈음
該 gai1 goi1 갖출 해
改 gai3 goi2 고칠 개
概 gai4 koi3 대개 개
溉 gai4 koi3 물 댈 개
蓋 gai4 koi3 덮을 개
丐 gai4 koi3 빌 개
甘 gan1 gam1 달 감
干 gan1 gon1 방패 간
感 gan3 gam2 느낄 감
趕 gan3 gon2 달릴 간
鋼 gang1 gong1 강철 강
港 gang3 gong2 항구 항
高 gao1 gou1 높을 고
告 gao4 gou3 알릴 고
哥 ge1 go1 형 가
戈 ge1 gwo1 창 과
鴿 ge1 gap3 비둘기 합
割 ge1 got3 나눌 할
革 ge2 gaak3 가죽 혁
格 ge2 gaak3 격식 격
各 ge4 gok3 각각 각
根 gen1 gan1 뿌리 근
耕 geng1 gaang1 밭갈 경
狗 gou3 gau2 개 구
溝 gou1 kau1 도랑 구
構 gou4 kau3[3] 얽을 구
購 gou4 kau3[4] 살 구
古 gu3 gu2 옛 고
谷 gu3 gu3 골짜기 곡
瓜 gua1 gua1 오이 과
觀 guan1 gun1 볼 관
光 guang1 gwong1 빛 광
郭 guo1 gwok1 둘레 곽
國 guo2 gwok3 나라 국
規 gui1 kwai1 법 규
貴 gui4 gwai3 귀할 귀
基 ji1 gei1 터 기
姬 ji1 gei1 계집 희
激 ji1 gik1 물결 부딪칠 격
擊 ji1[5] gik1 칠 격
急 ji2 gap1 급할 급
給 ji3 kap1 줄 급
既 ji4 gei3 이미 기
家 jia1 gaa1 집 가
甲 jia3 gaap3 갑옷 갑
假 jia3 gaa2 거짓 가
嫁 jia4 gaa3 시집갈 가
監 jian1 gaam1 볼 감
堅 jian1 gin1 굳을 견
減 jian3 gaam2 덜 감
揀 jian3 gaan2 가릴 간
檢 jian3 gim2 검사할 검
劍 jian4 gim3 칼 검
見 jian4 gin3 볼 견
江 jiang1 gong1 강 강
交 jiao1 gaau1 사귈 교
教 jiao4 gaau3 가르칠 교
叫 jiao4 giu3 부르짖을 규
酵 jiao4[6] haau1 술 괼 효[7]
角 jiao3 gok3 뿔 각
腳 jiao3 goek3 다리 각
京 jing1 ging1 서울 경
荊 jing1 ging1 가시나무 형
境 jing4 ging2 지경 경
頸 jing3 geng2 목 경
鏡 jing4 geng3 거울 경
炯 jiong3 gwing2 빛날 형
迥 jiong3 gwing2 멀 형
介 jie4 gaai3 끼일 개
九 jiu3 gau2 아홉 구
糾 jiu1 dau2[8] 꼴 규
鳩 jiu1 kau1 비둘기 구
究 jiu1[9] gau3 연구할 구
咎 jiu4 gau3 허물 구
居 ju1 geoi1 살 거
舉 ju3 geoi2 들 거
拘 ju1 keoi1 잡을 구
俱 ju4 keoi1 함께 구
句 ju4 geoi3 구절 구
絹 juan1 gyun1 비단 견
君 jun1 gwan1 임금 군
均 jun1 gwan1 고를 균
鈞 jun1 gwan1 서른 근 균
4.2. 계모(溪母)
-
溪母 : 한국어에서 /kʰ/음소는 快를 제외하고 모두 /k/로 수렴 했다.
開 kai1 hoi1 열 개
凱 kai3 hoi2 이길 개
刊 kan1 hon2[10] 새길 간
堪 kan1 ham1 견딜 감
看 kan4 hon3 볼 간
康 kang1 hong1 편안할 강
顆 ke1 fo1 낟알 과
科 ke1 fo1 과목 과
可 ke3 ho2 옳을 가
刻 ke4 hak1 새길 각
克 ke4 hak1 이길 극
課 ke4 fo3 매길 과
肯 ken3 hang2 즐길 긍
坑 keng1 haang1 구덩이 갱
空 kong1 hung1 빌 공
口 kou3 hau2 입 구
扣 kou4 kau3 두드릴 구
枯 ku1 fu1 마를 고
哭 ku1 huk1 울 곡
苦 ku3 fu2 쓸 고
快 kuai4 faai3 쾌할 쾌
塊 kuai4 faai3 덩어리 괴
寬 kuan1 fun1 너그러울 관
款 kuan3 fun2 정성 관
曠 kuang4 kwong3 빌 광
框 kuang4[11] kwaang2 테두리 광
眶 kuang4[12] hong1 눈두덩 광
魁 kui1 fui1 우두머리 괴
霍 kuo4 fok3 빠를 곽
期 qi1[13] kei4 기약할 기
氣 qi4 hei3 기운 기
敲 qiao1 haau1 두드릴 고
巧 qiao3 haau2 교묘할 교
殼 qiao4[14] hok3 껍질 각
牽 qian1 hin1 끌 견
腔 qiang1 hung1 빈 속 강
怯 qie4[15] hip3 겁낼 겁
輕 qing1 hing1 가벼울 경
慶 qing4 hing3 경사 경
丘 qiu1 jau1 언덕 구
邱 qiu1 jau1 땅이름 구
蚯 qiu1 jau1 지렁이 구
去 qu4 heoi3 갈 거
勸 quan4 hyun3 권할 권
券 quan4 gyun3[16] 문서 권
卻 que4 koek3 물리칠 각
溪 xi1 kai1 시내 계
4.3. 군모(羣母)
- 羣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4.4. 의모(疑母)
- 疑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5. 후음
5.1. 영모(影母)
- 影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5.2. 유모(喩母)
- 喩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5.3. 효모(曉母)
-
曉母 : 한국어에서 /x/는 모두 /h/로 수렴하였다.
한자 보통화 광동어 한국어 훈음
好 hao3 hou2 좋을 호
亨 heng1 hang1 형통할 형
厚 hou4 hau3 두터울 후
呼 hu1 fu1 부를 호
虎 hu3 fu2 범 호
花 hua1 faa1 꽃 화
化 hua4 faa3 될 화
歡 huan1 fun1 기뻐할 환
荒 huang1 fong1 거칠 황
灰 hui1 fui1 재 회
火 huo3 fo2 불 화
貨 huo4 fo3 재화 화
昏 hun1 fan1 어두울 혼
熙 xi1 hei1 빛날 희
蝦 xia1 haa1 새우 하
掀 xian1 hin1 흔들 흔
顯 xian3 hin2 나타날 현
險 xian3 him2 험할 험
獻 xian4 hin3 드릴 헌
憲 xian4 hin3 법 헌
曉 xiao3 hiu2 새벽 효
孝 xiao4 haau3 효도 효
香 xiang1 hoeng1 향기 향
享 xiang3 hoeng2 누릴 향
向 xiang4 hoeng3 향할 향
馨 xin1 hing1 향기 형
欣 xin1 jan1 기쁠 흔
興 xing1 hing1 일어날 흥
兄 xiong1 hing1 맏 형
凶 xiong1 hung1 흉할 흉
休 xiu1 jau1 쉴 휴
虛 xu1 heoi1 빌 허
許 xu3 heoi2 허락할 허
酗 xu4 heoi3[17] 주정할 후
軒 xuan1 hin1 처마 헌
喧 xuan1 hyun1 떠들 훤
絢 xuan4 hyun3 무늬 현
靴 xue1 hoe1 가죽신 화
血 xue4[18] hyut8 피 혈
勳 xun1 fan1 공 훈
薰 xun1 fan1 향기 훈
訓 xun4 fan3 가르칠 훈
5.4. 갑모(匣母)
-
匣母 : 한국어에서 /ɣ/는 /k/와 /h/로 뿔뿔이 흩어졌다.
韓 han2 hon4 나라이름 한
汗 han4 hon6 땀 한
憾 han4 haam6 섭섭할 감
撼 han4 haam6 흔들 감
航 hang2 hong4 배 항
行 hang2 hong4 줄,가게 항[19]
豪 hao2 hou4 호걸 호
毫 hao2 hou4 터럭 호
和 he2 wo4 화목할 화
禾 he2 wo4 벼 화
痕 hen2 han4 흔적 흔
恨 hen4 han6 한할 한
恆 heng2 hang4 항상 항
橫 heng2 waang4 가로 횡
紅 hong2 hung2 붉을 홍
洪 hong2 hung2 넓을 홍
弘 hong2 waang4 클 홍
宏 hong2 waang4 클 굉
侯 hou2 hau4 제후 후
後 hou4 hau6 뒤 후
戶 hu4 wu6 집 호
互 hu4 wu6 서로 호
華 hua2 waa4 빛날 화
話 hua4 waa6 말할 화
還 huan2[20] waan4 돌아올 환
換 huan4 wun6 바꿀 환
環 huan2 waan4 고리 환
患 huan4 waan6 근심 환
煥 huan4 wun6 빛날 환
黃 huang2 wong4 누를 황
會 hui4 wui6 모일 회
回 hui2 wui4 돌아올 회
惠 hui4 wai6 은혜 혜
慧 hui4 wai6 슬기 혜
魂 hun2 wan4 넋 혼
活 huo2 wut6 살 활
禍 huo4 wo6 재앙 화
或 huo4 waak9 혹시 혹
獲 huo4 wok9 얻을 획
穫 huo4 wok9 곡식 거둘 확
係 xi4 hai6 이을 계
匣 xia2 haap6 상자 갑
瑕 xia2 haa4 흠 하
轄 xia2 haat6 다스릴 할
暇 xia2 haa6 겨를 가
霞 xia2 haa6 노을 하
夏 xia4 haa6 여름 하
攜 xie2[21] kwai4 끌 휴
諧 xie2 haai4 다 해
鞋 xie2 haai4 가죽신 혜
閒 xian2 haan4 틈 한
弦 xian2 jin4 활시위 현
絃 xian2 jin4 악기줄 현
賢 xian2 jin4 어질 현
現 xian4 jin6 나타날 현
限 xian4 haan6 한계 한
縣 xian4 jyun6 고을 현
降 xiang2 hong4 항복할 항
釁[22] xin4 jan6 피바를 흔
形 xing2 jing4 모양 형
型 xing2 jing4 거푸집 형
刑 xing2 jing4 형벌 형
行 xing2 hang4 다닐 행
學 xue2 hok6 배울 학
穴 xue2 jyut6 구멍 혈
玄 xuan2 jyun4 검을 현
懸 xuan2 jyun4 매달 현
泫 xuan4 jyun5 이슬 현
鉉 xuan4 jyun5 솥귀 현
炫 xuan4 jyun6 빛날 현
6. 반설음
6.1. 래모(來母)
- 來母 :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7. 반치음
7.1. 일모(日母)
- 日母 : 보통화에서 /r/인 성모는 광동어에서 모두 /j/ 성모가 된다.
한자 | 보통화 | 광동어 | 한국어 훈음 |
然 | ran2 | jin4 | 그러할 연 |
壤 | rang2 | joeng4 | 흙 양 |
讓 | rang4 | joeng6 | 사양할 양 |
繞 | rao4 | jiu6 | 두를 요 |
惹 | re3 | je5 | 이끌 야 |
熱 | re4 | jit9 | 더울 열 |
人 | ren2 | jan4 | 사람 인 |
任 | ren4 | jam6 | 맡길 임 |
認 | ren4 | jing6 | 알 인 |
仍 | reng2 | jing4 | 인할 잉 |
日 | ri4 | jat6 | 날 일 |
容 | rong2 | jung4 | 얼굴 용 |
柔 | rou2 | jau4 | 부드러울 유 |
肉 | rou4 | juk9 | 고기 육 |
如 | ru2 | jyu4 | 같을 여 |
軟 | ruan3 | jyun5 | 연할 연 |
若 | ruo4 | joek6 | 같을 약 |
[1]
구어에서는 bai2로 발음한다.
[2]
대만에서는 bo4로 발음한다.
[3]
아나운서들은 gau3로 발음하기도 한다.
[4]
아나운서들은 gau3로 발음하기도 한다.
[5]
대만에서는 ji2로 발음한다.
[6]
대만에서는 xiao4로 발음한다.
[7]
성경에 나오는 '무교병'을 제외하고는 :효'로 많이 읽는다.
[8]
아나운서들은 gau2로 발음하기도 한다.
[9]
대만에서는 jiu4라고 발음한다.
[10]
아나운서들은 hon1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11]
대만에서는 kuang1으로 발음한다.
[12]
대만에서는 kuang1으로 발음한다.
[13]
대만에서는 qi2로 발음한다.
[14]
구어에서는 ke2라고 발음한다.
[15]
대만에서는 que4로 발음한다.
[16]
아나운서들은 hyun3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17]
아나운서들은 jyu3라고도 발음한다.
[18]
대만에서는 xie3라고 발음한다.
[19]
지금은 항렬자, 항오를 제외하고는, '행'으로망 읽는다.
[20]
'아직', '또한' 이라는 부사로 쓰일 때에는 hai2로 읽는다.
[21]
대만에서는 xi1로 발음한다.
[22]
획수가 무려 25획이나 되는 한자로, '도발하다'라는 뜻으로 挑釁이라는 단어가 있다. 간체자로는 挑衅이라고 쓴다. (血)가 반(半)이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