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특정 물건을 개인이 아닌 단체로 구매하는 방식.줄임말인 공구로 많이 부른다. 소비자에겐 싼값이라서 좋고, 판매자에겐 많이 팔아서 좋은 누이 좋고 매부 좋은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교복을 공동구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인 학교에서는 시행하지 않고, 혁신학교나 다행복학교로 지정된 학교들이 거의 공동 구매로 시행하는 편이다.[1] 이 경우 스마트, 스쿨룩스, 아이비클럽, 엘리트 같은 일류 브랜드보다는 지역의 맞춤 교복 제조사에서 구매한다. 브랜드 교복 제조사가 공동구매 업체로 지정되는 경우도 있는데 근처에 4대 교복 브랜드 지점이 없는 경우가 많기도 하지만, 지정업체 선정 희망 설문조사에서 맞춤 교복 제조사의 교복의 품질과 재질 등이 4대 브랜드 제품보다는 현저히 떨어져서 기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브랜드 교복 제조사가 지정되는 경우도 많다.
해외 상품을 공동 구매로 구매하는 경우도 많은데, 그 이유는 후술한다.
2. 제약 조건
보통 이렇게 공동 구매가 이루어지는 데는 몇 가지 조건이 있는데,- 도매가가 소매가보다 훨씬 싸서 대량으로 구입하면 이득일 때
- 일정 가격 이상 주문하면 배송비가 무료일 때
- 구입을 원하는 사람이 조건에 충족하도록 많을 때
대충 이런 제약 조건이 붙는다.
물건 값이 3,000원, 배송료가 2,000원, 3만원 어치 이상 구입할 경우 배송비가 무료가 되는 상품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개인이 구입할 경우 상품값 3,000원 + 배송비 2,000원 = 5,000원을 쓰게 되지만, 10명 이상이 공동 구매로 사게 되면 단순히 3,000원에 살 수 있다. 배송비만큼의 이익이 남는 것이다.
위의 제약 조건과 맞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상술한 대로 해외 상품을 구매할 경우에 해당한다.
일단 부과세/관세 부과 금액이 넘는 상품일 경우 해외 상품은 어느 정도의 배송비가 붙는데, 이게 경우에 따라 상품 가격보다 비싸거나 적어도 부담되는 정도일 때가 잦다. 이 탓에 공동 구매를 시행하여 배송비를 1/n로 나눈다.
전자 제품일 경우에는 전파법 때문에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미 한국에서 전파 인증이 완료된 제품은 공동 구매를 진행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는 한국보다 해외에서 구매할 때 훨씬 싼 TV등 가전제품이나 모바일 기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