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感 潮 區 間하천의 부분 중에서 밀물이 최대로 도달할 수 있는 구간에서부터 하천이 끝나는 구간까지를 감조구간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서해와 남해로 흘러드는 강은 바다로부터 경사가 완만하게 흐르는 강이기 때문에 대부분 감조하천인데, 특히 서해의 경우는 조수간만의 차가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심하기 때문에 서해로 유입되는 강들은 감조구간도 매우 길다.
이 감조구간 유역에 있는 농경지들은 염해로 피해를 보기도 하고, 강의 수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감조구간 유역은 홍수의 위험도 있는데, 현대에 와서는 하굿둑을 건설해서 바닷물의 역류를 막고, 수위를 조절한다. 다만, 한강 하구는 북한과 맞닿아 있어 하굿둑이 없지만 김포시의 신곡수중보가 실질적인 하굿둑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감조구간에서는 강인데도 갯벌도 볼 수 있었는데, 금강과 영산강이 대표적이다. 현재는 모두 간척되어 사라졌다.
2. 목록
2.1. 국내
-
한강 (~
잠실대교)
압구정 일대가 간척된 자리에 압구정 현대아파트가 들어서기 전에는 압구정동에서도 밀물과 썰물을 볼 수 있었다. 현재도 바닷물이 잠실까지 밀고 들어오긴 하지만 신곡수중보가 있어 수위조절이 용이해졌고, 잠실수중보 위로는 아예 바닷물이 올라가지 않는다. -
금강,
영산강,
낙동강 (~
하굿둑)
하굿둑 건설로 인해 더 이상 하굿둑 위로는 바닷물이 밀고 올라가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