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5 23:15:43

OPS

<colbgcolor=#ffd700> 파일:야구 픽토그램.svg
야구의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투수의 기록 구종 가치 · 규정이닝 · 평균자책점 · 승리 투수 · 패전 투수 · 승률 · 탈삼진 · 완투 · 완봉 · 세이브 · 블론세이브 · 홀드 · WHIP · 퀄리티 스타트 · DIPS · FIP · K/BB · RA9 · pFIP · kwERA · SIERA · 게임 스코어 · ERA+
타자의 기록 규정타석 · 타석 · 타수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도루실패 · 사사구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희생플라이 · BB/K · RC · RC27 · RE24 ·IsoD(순출루율) ·IsoP(순장타율) · XR · wOBA · wRAA · wRC+ · GPA · EqA · UEQR · DRS · UZR
투·타 공통 실책 · WAR · WPA · cWPA · BABIP · VORP · 컴투스 프로야구 포인트 · 웰뱅톱랭킹
관련 문서 세이버메트릭스 · 투승타타 · 윤석민상
관련 사이트 스탯티즈 · KBReport · 베이스볼 레퍼런스 · 팬그래프 닷컴
}}}}}}}}} ||


1. 개요2. 상세3. 한계
3.1. OPS만으로 타자를 평가할 때 생길 수 있는 오차
4. 기록5. 기타6. OPS 순위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On-base Plus Slugging. 야구에서 타자들을 평가하는 스탯 중 하나로 ' 출루율 + 장타율'로 계산한다. 야구 기록 OPS는 도대체 무엇인가?

1984년 존 쏜과 피트 파머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이후 뉴욕 타임스 및 ESPN 에서 사용되며 서서히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타율만으로는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 타자들의 득점 생산력을 계산하기 위해 도입된 지표. 서로 성격이 다른 두 스탯을 더해야 할 근본적인 이유는 없으나, 우연히 두 스탯을 더해 나온 결과값이 타자의 가치를 매기기에 제법 괜찮았다.

세이버메트리션들이 고안해놓은 각종 지표들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계산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후 세이버메트릭스가 발전하면서 구체화된 wOBA나 EqA 등 수많은 지표들과 비교해도 득점 관계율이 크게 밀리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 OPS+와 wRC+를 비교해보면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사실 출루율과 장타율은 한국프로야구 출범 당시부터 타이틀로 인정받던 클래식 스탯이다. 결국 이 둘을 그냥 더했을 뿐인 OPS 역시 엄밀하게 말해 세이버메트릭스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PS는 세이버메트릭스가 추구하는 야구의 본질과 그에 따른 가치를 계산하는 가장 원초적인 출발점이다. 아울러 OPS의 막강한 득점 관계율은 이후 모든 타격 세이버메트릭스 지표 공식이 출루와 장타 위주로 구성되는 절대근거가 된다.

2. 상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는 꽤 오래 전부터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KBO 리그에서는 2010년까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기록이 아니었다. 다만, 2000년대 후반부터 WHIP과 함께 방송중계에서 자주 소개되곤 했으며, 2010년부터는 KBO 홈페이지에도 당해 시즌에 한해 따로 OPS를 게재하기 시작했다. 물론 KBO에서도 출루율과 장타율은 공식 기록이다. 일반적으로 타율만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상위 타선, 특히 클린업 트리오의 장타력을 평가하기 위해 자주 사용한다.

상대적으로 타율보다 타자의 생산성을 잘 표현하고 계산하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물론 현대 세이버메트릭스 스탯인 wOBA, wRC, wRC/27, EqA, WAR보다는 타자의 생산성을 정확히 나타내주지는 못한다. 수비 위치별 가치조정, 평균/대체선수와의 비교, 선수의 득점에 대한 누적공헌도 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

하지만 계산하기가 매우 쉽고 직관적인 OPS는 여전히 매력적인 스탯임에는 분명하다. 타자의 생산성을 평가하는 데 가장 정확하다고 알려져있는 wOBA나 EqA와 비교해서도 각각의 순위대로 타자들을 나열해 보면 어느 정도 순위 차이는 있어도 그 타자의 위치가 급격하게 변동하지는 않는다. 엄청 쉽게 계산해서 아주 많은 점을 알 수 있는 스탯인 것이다. 괜히 대단한 스탯인 게 아니다. 이런 점 때문에 타율, 타점 등의 클래식 스탯과 비견될 만한 인지도를 가지게 되었다.

KBO 리그는 2015년 이후 몇 년간 타고투저 때문에 리그 평균 OPS는 0.75 ~ 0.81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는데, 0.8 이상이면 어느 팀에서도 주전자리를 꿰찰 수 있는 준수한 타자, 0.9 이상이면 각팀에 2~3명 정도 있는 팀내 핵심 타자, 1.0 이상이면 리그에서 손꼽히는 매우 뛰어난 타자, 1.1 이상은 리그를 지배하는 수준의 MVP급 최고의 타자로 평가한다. 단 이 기준은 KBO의 타고투저 경향을 고려한 것으로, 만약 투고타저 시즌이 온다면 이 기준은 조금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점를 반영하여 만든 OPS+라는 지표도 있는데, OPS+는 매 시즌 리그 평균을 100으로 잡는 비율이기 때문에 OPS와 단순 비교는 불가능하다. MLB의 경우는 2018년 기준 OPS 0.9가 넘는 타자는 시즌당 10명 내외로 한팀에 1~2명이 아니라 세팀에 1명꼴인 귀한 타자가 됐다.

참고로, OPS의 최대치는 5.000(출루율 1.000+장타율 4.000)이며, 'n타수 n안타 n홈런'을 찍으면 달성 가능하다. MLB에서도 7명밖에 없다. 10할 타자 항목 참고.

KBO에서 한시즌 OPS 5.000을 찍어본 선수는 2006년 허준(1981)이 유일하다. 1타석 1타수 1안타 1홈런.. wrc+ 1434.5로 안드로메다급.

3. 한계

OPS는 물론 2루타 이상의 장타를 무시하는 타율보다는 타자의 가치를 더욱 잘 보여주는 스탯이지만 허점 또한 존재하는데, 엄연히 최대치가 다른 두 스탯을 단순히 더한 계산법이기 때문이다. 출루율의 최대치는 1.0(모든 타석에서 출루했다고 가정), 장타율의 최대치는 4.0(모든 타수에서 홈런을 쳤다고 가정)이다. 따라서 단순 합계로 계산할 시 절대 수치가 낮은 출루율이 저평가되기 때문에,[1] 출루율에 가중치를 부여해 만든 GPA(Gross Production Average)라는 스탯도 있다. 일반적으로 출루율에 1.8배의 가중치를 준다.[2] 2015시즌부터는 KBO도 GPA를 집계해서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야구의 기록 계산법 항목 참조. 이것 외에도 주자가 없을 때의 단타와 볼넷이 차이가 없음에도 단타에 훨씬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볼넷은 출루율에만 적용되고 단타는 장타율에도 적용되기 때문이다. 장타율이 10할이 넘으면 단타가 더 손해긴 한데, 타석수가 적어서 운으로 10할을 넘긴 타자는 의미가 없고, 충분한 타석에 들어섰는데도 10할을 넘긴 타자도 아웃라이어라서[3]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다루기는 어렵다.

출루율과 장타율이 같을 경우 볼넷보다는 단타가 좋기 때문에 OPS가 같다면 타율이 높은 타자가 더 좋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는 낮은 타율로 같은 장타율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장타가 필요하다는 것을 간과한 주장이다. 단적으로 700타석 기준으로 100볼넷, 120단타, 30 2루타, 30 홈런인 타자의 타출장은 3/4/5, 140볼넷, 70단타, 35 2루타, 35 홈런인 타자의 타출장은 .25/.4/.5인데 2012년 woba 기준으로 전자의 타자는 0.3923, 후자의 타자는 0.3925로 거의 차이가 없다. OPS, 정확히 말하면 출루율과 장타율을 통한 분석이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가장 많이 쓰이는 이유다.

다만 팀 득점 상관 관계가 더 높은 스탯은 장타율이다. 팀 득점 상관 관계치(상관 계수)를 비교했을 시 출루율은 0.885, 장타율은 0.910이다.[4] 엄연히 장타율이 팀 득점과 더 밀접한 스탯인 것이다. 한 번의 기회에 베이스를 자신의 힘으로 벌어들이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지 보여준다. 물론 그렇게 벌어먹은 누타수와 큰 차이 없는 득점관계율을 가진 출루율의 위엄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겠다. 참고로 OPS의 팀 득점 상관 관계치(상관 계수)는 0.946.

3.1. OPS만으로 타자를 평가할 때 생길 수 있는 오차

PA AVG OBP SLG OPS TmDiff
655 .267 .290 .453 .743 -5.7
658 .267 .313 .431 .743 -2.9
660 .267 .333 .410 .743 0.0
662 .267 .353 .390 .743 3.0
664 .267 .371 .372 .743 6.0
666 .267 .389 .354 .743 9.1

톰 탱고(Tom Tango)가 작성한 위 표[5]의 각 행은 타자 6명의 풀시즌 성적을 나타낸다. 모두 같은 OPS를 갖지만 출루율 대 장타율비(출장비)에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만약 OPS가 정확한 지표라면 위 타자들은 출장비에 관계없이 같거나, 최소한 엇비슷한 가치를 지녀야 한다.

표의 마지막 열(TmDiff)이 바로 그 가치를 나타낸다. 이것은 해당 타자가 일반적인 라인업에서 한 명을 대신해 들어감으로써 만들 수 있는 팀 득점 차이를 의미한다.

보다시피 OPS만으로 이 타자를 평가한다면 최대 14.8점, 마지막 타자가 현실에서 보기 힘든 다소 비현실적인 타자임을 고려해 제외하더라도 11.7점에 이르는 오차범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이것은 비교적 평범한 OPS일 때의 이야기다. 만약 훨씬 높은 OPS에서 같은 절차를 진행할 경우 오차범위는 보다 커질 것이다.[6]

그렇다면 출루율 대 장타율비마저 같다면 모두 같은 가치를 가질까?
PA AVG OBA SLG OPS LWTS TmDiff
660 .313 .333 .410 .743 -1.8 -1.7
660 .290 .333 .410 .743 -0.9 -0.8
660 .267 .333 .410 .743 0.0 0.0
660 .241 .333 .410 .743 0.9 0.9
660 .214 .333 .410 .743 1.8 1.8
660 .185 .333 .410 .743 2.6 2.7

이 경우에는 고타율보다 저타율(많은 장타)이 좀 더 가치 있다. 하지만 다른 출장비끼리 비교한 경우와 비교하면 오차의 폭이 훨씬 좁은 편이다.

이런 오차를 납득할만한 범위로 받아들일지 말지는 사용자 나름이다.

4. 기록

OPS 1위 단일 시즌 통산
연도 선수 기록 기준 선수 기록
KBO 리그 2015년 에릭 테임즈 1.287
(142경기, 595 타석)
최소 3,000타석 이상 이승엽 0.960
(15시즌, 8270타석)
MLB 2004년 배리 본즈[7] 1.422
(147경기, 617타석)
최소 3,000타석 이상 베이브 루스 1.164
NPB 1973년 오 사다하루
(왕정치)
1.321
(130경기, 553타석)
최소 4,000타수 이상 오 사다하루 1.080
특이한 점으로 위 표의 타자는 모두 좌타자이다. MLB에서는 통산(최소 5,000타수)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좌타자이다.[8]

5. 기타

6. OPS 순위

볼드체는 현역 선수에 해당된다.
순위 선수명 OPS
1 베이브 루스 1.1636
2 테드 윌리엄스 1.1155
3 루 게릭 1.0798
4 배리 본즈 1.0512
5 지미 폭스 1.0376
6 행크 그린버그 1.0169
7 로저스 혼스비 1.0103
8 매니 라미레즈 .9960
9 마이크 트라웃 .994
10 마크 맥과이어 .9823
11 애런 저지 .9821
12 미키 맨틀 .9773
13 조 디마지오 .9771
14 스탠 뮤지얼 .9757
15 프랭크 토마스 .9740
16 래리 워커 .9654
17 자니 마이즈 .9591
18 짐 토미 .9560
19 토드 헬튼 .9531
20 제프 배그웰 .9480
순위 선수명 OPS
1 마이크 트라웃 .994
2 애런 저지 .982
3 후안 소토 .946
4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918
5 브라이스 하퍼 .912
6 폴 골드슈미트 .908
7 프레디 프리먼 .902
8 무키 베츠 .900
9 지안카를로 스탠튼 .878
10 J.D. 마르티네즈 .874
<rowcolor=#fff> 순위 선수명 OPS
1 오 사다하루 1.080
2 마츠이 히데키 .996[9]
3 알렉스 카브레라 .990[10]
4 오치아이 히로미츠 .987
5 터피 로즈 .940[11]
6 장훈 .9333
7 나카니시 후토시 .9325
8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929
9 부머 웰즈 .927[12]
10 마츠나카 노부히코 .925
11 레론 리 .924
12 야마모토 코지 .923
13 나가시마 시게오 .919
14 카케후 마사유키 .913
15 키요하라 카즈히로 .909
16 카도타 히로미츠 .907
17 야마다 테츠토 .904
18 레온 리 .902
19 야마우치 카즈히로 .900
20 타부치 코이치 .896
순위 선수명 OPS
1 이승엽 .960[13]
2 양준혁 .950
3 박병호 .940[14]
4 최형우 .937
5 김태균 .936[15]
6 김기태 .923
7 심정수 .921
8 김동주 .919
9 최정 .917
10 제이 데이비스 .915

한때 박병호와 최형우가 이승엽의 아성에 도전했으나 에이징 커브를 직격으로 맞으면서 이전에 비해 순위가 다소 하락했다.

7. 관련 문서



[1] 출루율 5할에 장타율 5할을 기록한 타자와 출루율 4할에 장타율 6할을 기록한 타자의 OPS는 같지만, 타격 생산성은 전자의 경우가 훨씬 높다. [2] 전 뉴욕 메츠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부단장이자 세이버메트리션인 폴 디포디스타는 여러번의 시도를 통해 출루율과 장타율을 3대1로 놓고 계산했을 때 팀 득점과 가장 연관성이 높다는 결론을 도출했지만, 사실 출루율과 장타율을 1.8대1의 비율로 놓았을 때 가장 정확하였고, 이런 차이(3과 1.8)는 디포디스타를 '이단'으로 부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세이버메트릭스 레볼루션 사실 디포디스타는 빌리 빈의 머니볼 경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유능한 인물이었다. 영화에서의 피터 브랜드 역이 이 사람을 모티브로 한 것. [3] 역사상 단일 시즌 장타율 1위 기록이 2001년 베리 본즈의 0.863이라 장타율 10할 이상 기록은 진짜 통계상의 아웃라이어가 맞다. [4] 팀 타율과 팀 득점 사이의 상관관계의 상관 계수는 0.822이다. 통계학자들은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상관계수’라는 것을 사용하고 이 값은 -1과 1사이에 값을 가지며 그 절댓값이 1에 가까울수록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뜻이다. 상관계수가 0.82라는 것은 팀 타율을 통해 약 67%(0.82 X 0.82)에 해당하는 팀 득점을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세이버메트릭스 레볼루션 108p를 참조할 것. [5] 가독성을 위해 설명에 필요한 열만 발췌 [6] "So, if you rely on OPS, realize that you will be off by up to +/- 6 runs. And this is for this kind of player. If you choose star players instead of average players, the swing will be even greater, perhaps double that." [7] 훗날 약빨이었다는게 드러났다. [8] 2위 테드 윌리엄스, 3위 루 게릭, 4위 배리 본즈. [9] MLB .822 [10] MLB .799 [11] MLB .659 [12] MLB .566 [13] 일본프로야구 .818 [14] MLB .684 [15] 일본프로야구 .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