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11:15:59

MBC 연기대상

MBC 연기대상/역사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지상파 3사의 연말 시상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연기대상 KBS 연기대상 MBC 연기대상 SBS 연기대상
연예대상 KBS 연예대상 MBC 방송연예대상 SBS 연예대상
연말 가요제 KBS 가요대축제
KBS 국악대상
MBC 가요대제전 SBS 가요대전
}}}}}}}}} ||

대한민국의 드라마 시상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백상예술대상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한국PD대상 | ※ 숨피어워즈 |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아시아태평양 어워즈 | ※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 | 청룡시리즈어워즈 | 디렉터스컷 어워즈 | 벡델데이
일회성
tvN10 Awards |
폐지
더 서울 어워즈
* 국제 시상식, ※ 가요 시상식을 겸한다.
}}}}}}}}} ||
MBC 연기대상
파일:2023 MBC 연기대상 이미지.jpg
<colbgcolor=#334555><colcolor=#fffff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최 MBC 드라마본부
첫 시상년도 1974년([age(1974-01-01)]주년)
대상 수상자 남궁민 ( 연인 / 2023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문화방송에서 연말에 진행하는 연기 시상식. 매년 12월 30일에 진행하는 전통이 있으며 1년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에 진행하는 KBS, SBS 등보다 하루 빨리 연다.[1] MBC는 KBS, SBS 등과는 달리 12월 31일에는 제야의 종 타종식과 같이 이루어지는 연말 가요제인 MBC 가요대제전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방송 3사 연기대상 중 가장 먼저 시작했다.[2]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MBC 탤런트 연기상'이라는 이름으로 배우들에게 문화방송-경향신문[3] 창사기념행사로 1974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했으나 처음에는 MBC 전속 탤런트들만이 수상 후보에 오를 수 있었다. 그리고는 드라마에 출연하는 탤런트뿐만 아니라 코미디언, 성우들(+MC, 라디오 DJ)까지 MBC 소속 전 연기자(연예인)가 함께 하는 시상식이 이어지다가 현재의 'MBC 연기대상'은 1983년에 처음 시작했다.[4] 그리고 2년 후인 1985년부터 대상을 시상하고 있다.[5] 그 이전에는 최우수상 내지는 주연상이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이었다. 그러다가 KBS에서도 1987년부터 연기대상을 개최했고 그보다 6년 늦은 1993년에 SBS에서도 연기대상을 개최한 이후로[6] 지금까지 연말 3사 연기대상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7] 여담으로 1990년부터 1994년까지는 코미디 부문까지 합친 방송대상이란 이름으로 시상했는데 1995년에 코미디 부문이 MBC 코미디대상이란 시상식으로 따로 독립하면서 다시 본래의 연기대상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다만, 후술하듯이 방송 3사 연기대상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시상식인데도 공동 수상 남발과 같은 비판과 논란이 끊이질 않는 등[8] 같은 MBC의 방송연예대상과 가요대제전이 매년 호평 받는 것과는 달리 이 연기대상 쪽은 문제점이 다소 많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부분 참조.

일찍이 2003년 시상식부터 SBS와 함께 HD 방송으로 전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로 KBS는 2007년부터 HD 화질로 연기대상을 중계한다.

다른 2사와 달리 매년 12월 30일 MBC 연기대상 폰트를 자주 바꾼다.

2. 역사

2.1. 1985~200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1985~200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2001~201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01~201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2011~2015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11~201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2016~202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16~202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2021~2025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21~202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수상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수상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대 진행자

<rowcolor=#ffffff> 연도 진행자
1985년 변웅전
1986년 이덕화, 송옥숙
1987년 최불암
1988년 변웅전
1989년 변웅전, 백지연
1990년 변웅전, 정보영
1991년 한선교, 정보영
1992년 차인태, 김은주
1993년 한선교, 이경규
1994년 이문세, 박소현
1995년 이재룡, 신은경
1996년 이수만, 허수경
1997년 신동호, 채시라
1998년 신동호, 김지수
1999년 신동호, 김현주
2000년 신동호, 황수정
2001년 신동엽, 김남주
2002년 박수홍, 성유리
2003년 서경석, 성유리
2004년 유재석, 김제동, 성유리
2005년 박수홍, 정려원
2006년 유재석, 한예슬
2007년 신동엽, 현영
2008년 신동엽, 한지혜
2009년 이휘재, 박예진
2010년 김용만, 이소연
2011년 정준호, 이하늬
2012년 김재원, 손담비
2013년 이승기, 한지혜
2014년 신동엽, 수영
2015년 신동엽, 이성경
2016년 김국진, 유이
2017년 오상진, 김성령
2018년 김용만, 서현
2019년 김성주, 한혜진
2020년 김성주
2021년
2022년 김성주, 수영
2023년 김성주, 박규영
2024년

5. 시청률

<rowcolor=#ffffff> 연도 1부 2부
1994년 35.9%[A]
1997년 34.9%[A]
1998년 30.7%[A]
2002년 20.3%[A][B]
2003년 31.0%[A][B]
2004년 23.1%[A]
2005년 20.9%[A]
2006년 13.0% 21.8%
2007년 24.8% 27.5%
2008년 17.8% 28.0%
2009년 16.3% 24.4%
2010년 13.0% 17.7%
2011년 12.5% 15.0%
2012년 10.5% 13.2%
2013년 11.3% 12.5%
2014년 14.9% 15.3%
2015년 12.8% 14.7%
2016년 12.7% 11.9%
2017년 8.8% 7.3%
2018년 6.7% 10.2%
2019년 7.1% 8.6%
2020년 3.8% 4.5%
2021년 4.9% 7.0%
2022년 3.3% 5.2%
2023년 3.7% 5.1%

6. 여담



[1] 이 때문에 SBS 연예대상이 12월 30일에 함께 방영하기 전에는 MBC 연기대상 시청률이 KBS와 SBS를 대부분 이겼다. [2] 통폐합 전 동양방송(TBC)가 1970년부터 연기대상을 최초로 개최했다.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니 현재 남아있는 지상파 3사 기준으로는 MBC가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이 맞다. [3] 1974년에 통합된 적이 있음 [4] 2년 연속 12월 30일 [5] 1988~1989년 1993년부터 12월 30일에 개최를 하고있다. 그 밖에는 1985~1987년에는 마지막 일요일에 개최를 했고, 1990~1992년에는 마지막 토요일에 개최를 했다. [6] 정확히는 1993년~1995년까지는 SBS 스타상으로 드라마부문과 예능부문을 함께 묶어 시상했다. 연기대상으로 개칭한 건 1996년이다. 그리고 예능 부문은 2005년까지 연기대상 MC부문, 라디오 부문 특별상으로 대체되다 2006년에 코미디대상을 거쳐 2007년에서야 현재의 연예대상을 신설했다. [7] 단, 유일하게 1997년에는 예외. SBS에서만 1997 연기대상 시상식은 열지 않았다. 1997년 외환 위기 때문에 시상식을 취소했기 때문이다. [8] 근데 요즘은 3사의 연기대상이 다 함께 맛이 간 덕에 가끔은 오히려 MBC가 SBS보다는 그나마 나아 보일 때가 있다.근데 SBS는 연예대상과 가요대전도 문제가 많다. [A] 1,2부 나누지 않고 2시간 여동안 연속 방영. [A] [A] [A] [B] TNMS 기준 [A] [B] [A] [A] [18] 사실 2009년도 말이 많았는데 특정 드라마( 내조의 여왕, 선덕여왕)에 상을 몰아 주면서 형평성 논란이 있었다. [19] 논란이 아예 없는 건 아니었지만, 그나마 비교적 적었다. [20] 베토벤 바이러스 이지아의 무관. [21] 파스타 이선균의 버럭상. [22] 빛과 그림자 안재욱, 골든 타임 이선균, 더킹 투하츠 이승기, 하지원, 조정석의 무관. [23] 백년의 유산 박원숙의 공로상, 투윅스의 배우들 무관 [24]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윤균상, 죽어야 사는 남자 최민수의 무관. [25] 검법남녀 시즌2 정재영 더 뱅커 김상중, 채시라의 무관. [26] 대표적으로 2021년에는 검은태양, 옷소매 붉은 끝동이 있고, 2022년에는 트레이서, 닥터로이어, 빅마우스, 금수저, 2023년에는 연인, 열녀박씨 계약결혼뎐이 꽤 히트를 쳤다. 연인의 경우 MBC 금토 드라마 최초이자 해를 품은 달 이후로 12년 만에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7] KBS 5회, SBS 5회, MBC 2회. [28] 이 장면은 2018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이영자 vs 박나래의 빅매치로 재현된다. [29] 즉, 다른 최우수상 수상자 발표 후에 두 명만 남겨두고 대상 수상을 기다리는 방식. 미스코리아 선발 대회에서 진과 선의 발표 방식과 똑같다고 보면 된다. '진'이 호명되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선'으로 확정. [30] 모두 앞에 서술된 배우들이 대상 수상. [31] 차인표(2001), 장서희(2002), 김선아(2005), 송일국(2006), 조승우(2012), 소지섭(2018), 김동욱(2019)이 이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투표로 대상을 수상한 지성(2015), 이종석(2016)도 마찬가지. 사실 2001 ~ 2002, 2005 ~ 2006년의 경우에는 아예 최우수상 수상자들 중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방식을 미리 공지한 터라 공정성 문제는 없었지만, 2012년도에는 정말 답이 없는 행동을 저질렀다. 정확한 것은 역사 문서로 들어가서 상세 항목의 2012년 부분을 참조할 것. [32] 유사한 케이스가 SBS 연기대상 지성이 있다. [33] 2001년도에는 시상식에 불참하는 대신 전화상으로 수상소감을 전했다. [34] 예외적으로 MBC 드라마 침체기였던 2004년에는 크게 호응이 없었던 당시 방영 중이던 주말 드라마 한강수타령에 상을 왕창 몰아주어 많은 비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