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8 17:22:36

IRST


1.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장치
1.1. 개요1.2. 상세1.3. 장점1.4. 단점1.5. 거리측정 방식
1.5.1. 레이더 연계 방식
1.6. 각국의 상황
1.6.1. 미국1.6.2. 유럽
1.6.2.1. 러시아1.6.2.2. 서유럽
1.6.3. 동북아
1.7. 전투함1.8. 참고항목
2. 인텔® 빠른 스토리지 기술

1.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장치

1.1. 개요

IRST (Infra-Red Search and Track)

공대공 임무용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장치.

직진성이 강한 특정 적외선을 탐색, 대상의 위치를 파악한다. 레이더와 유사한 능력을 가지나, 피동 센서에 가깝다. 레이더는 전파를 쏘고, 반사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능동 장치를 뜻하기 때문이다.[1] IRST는 적외선을 수신하거나 레이더를 이용해서 거리를 측정한다. 이런 면에서는 레이더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고도 할 수 있다.

FLIR(Forward-looking infrared)와 기술적으로 유사하다. FLIR는 적외선 카메라로 특정 방향을 비추며 IRST는 넓은 방향으로 적외선을 탐지하고 추적한다.

1.2. 상세

IRST는 적외선으로 허공을 살피다가 높은 적외선이 감지되면 대상을 추적하여 정보를 알린다. 표적은 주로 적 항공기나 미사일이며, 이들이 주로 내뿜는 파장의 적외선만 골라서 탐지해야한다. 허공에는 태양이라는 거대한 적외선 방사체가 있고, 구름이나 수면에 반사되는 태양빛이나 지면의 뜨거운 열기 모두 적외선이므로 적절한 필터링과 소프트웨어적인 처리가 이루어져야한다.

사용 파장은 크게 3가지 대역으로 나뉜다. 1~3 마이크로미터 파장의 단파장 적외선은 주로 제트엔진의 열기로 인하여 뜨겁게 달궈진 금속부분에서 나온다. 그러나 이 부분은 적 항공기/미사일의 꽁무늬부분에 있으므로 적 항공기/미사일이 정면에서 날아오면 탐지성능이 떨어진다. 3~5 마이크로미터 파장의 중파장 적외선은 적 항공기/미사일의 배기가스에서 많이 나오며, 고속비행으로 인하여 달궈진 기체 전면에서도 좀 나온다. 8~12 마이크로미터 파장의 장파장 적외선은 고속비행으로 인하여 달궈진 기체 전면에서 가장 많이 나온다.

보론하여 5~8 마이크로미터 파장 대역은 어떨까. 전투기나 미사일은 이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가장 많이 방출한다. 바로 배기가스의 주 성분이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분상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수분에 바로 흡수되어 탐지가 어렵다.

IRST는 장점이 많지만 여전히 보조적인 역할에 그친다. 공대공에 국한하면 미사일 등 주무장이 레이더를 이용하게끔 구성되었으며, 그 외 전투도 레이더 이용을 상정하기 때문이다.

가령 중거리 미사일은 레이더 등을 이용해 중간유도나 데이터 링크를 받는다. IRST 만을 이용해서는 중거리 이상 미사일을 중간유도하기 어렵다. 최소한 새로운 장비가 추가되어야 하는 것이다. 2021년 미공군은 Legion IRST 포드를 통한 암람 미사일 유도를 성공했다. #

1.3. 장점

1.4. 단점

1.5. 거리측정 방식

IRST 자체로는 정확한 거리측정이 어렵다. 레이더는 직접 발신한 전파의 반사파를 수신하므로 전파의 이동 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어 적기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반면 IRST는 감지 대상이 방사한 적외선을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것이므로 시간 정보가 없어서 거리를 알기 어렵다. 그래서 과거 IRST는 대상의 방위만 파악하며, 조기경보만 가능한 성능에 그쳤다. 그러나 현대에는 기술 발달에 따라서 여러 방법으로 거리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두 IRST간 거리가 멀수록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크기가 제한적인 전투기에는 이런 방식을 쓰기 어렵다. 그리하여 편대 전투기가 하나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하여 삼각측량 하는 방법이 등장한다. 편대 간 고속 데이터링크 시스템과 고정밀 항법장치들이 등장하면서 실현 되었으나 정확도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적외선의 산란이나 굴절 등으로 인하여 각각의 IRST에 각도 오차가 발생한다. 데이터 레이턴시나 항법장치의 작은 오차도 쌓이면 최종적으로 수십 수백 미터 이상 오차는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지령에는 일반적으로 더 정밀한 위치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직은 레이더 없이 IRST 단독으로 쓰기는 어렵다. 다만 조기경보와 전파침묵 용도로는 유용하다.

1.5.1. 레이더 연계 방식

현대에 IRST는 레이더와 상호보완하며 쓰인다. 현대 전투기, 특히 스텔스기는 AESA 레이더 채용이 필수다. AESA레이더는 레이더파의 주파수나 출력, 범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 AESA 레이더는 LPI (Low-probability-of-intercept, 저피탐)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주파수를 바꿔가며 저출력, 짧은 시간, 협소한 범위의 스캔을 통해 적측의 RWS(레이더 경보 장치) 작동을 회피한다. 즉 약한 레이더파를 짧게 스캔하면, 적은 탐지당한 사실을 알 수 없다.

스텔스 상황에서는 어떻게 작동할까. IRST와 AESA 레이더가 장착한 기체가 전파침묵 상태에서 IRST로 적을 탐지했다고 해보자. 이때 대략적인 방향이나 거리는 파악할 수 있다. 직후 AESA 레이더가 LPI 모드로 적을 탐지하면 적의 정보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으면서도 스텔스는 유지된다. 전술적으로 유리한 상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IRST로 적의 대략적인 방위와 거리를 파악하면, 레이더의 LPI 모드로 정확한 정보를 얻는 식이 된다. 이는 여러 쓰임의 예시 중 하나이며, 실재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텔스를 유지하거나, 스텔스를 탐지한다.

1.6. 각국의 상황

한동안 서방에서 사장되었던 IRST가 다시 각광받고 있다. 스텔스나 전파침묵, 지향성 전파통신이 대세가 되어서 다른 관측 수단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상기한대로 최신 IRST가 성능을 발휘하려면, 고도화된 데이터 해석 능력이 필요하다. 전자기술이 발전하며 IRST의 능력은 최근에 들어서 비약적인 향상을 이루어졌다.

한편 1990년대 무렵부터 IRST는 단순 적외선 센서가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 즉 열영상센서로 전용할 수 있다. 모드전환을 통하여 FLIR, 적외선 카메라로도 쓸 수 있다. 물론 지상공격용 등의 전용 FLIR보다는 정밀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혹은 FLIR 포드들에 IRST 기능을 추가하기도 한다.

미국에선 F-35부턴 IRST를 더 발전시킨 EOTS를 달아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1.6.1. 미국

전투기의 IRST 사용은 1950년대에 시작되었다. 미 공군의 주력 전투기들에 종종 탑재되었으며, F-4 팬텀도 초기 모델은 이 IRST를 달고 있었다. 그 이유는 주된 목표인 소련의 대형 폭격기들이 큰 덩치에 걸맞게 강력한 출력을 갖춘 ECM 장치를 탑재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투기 레이더만으로는 표적을 정확하게 찾기 어려웠기에 보조센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곧 미군의 레이더 수준이 러시아를 압도하기 시작하면서 미군의 IRST는 잠시 사장된다.

미 공군과 달리 미 해군은 IRST에 좀 더 목을 매는 편이었는데, 미공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련의 폭격기 공격에 노출될 확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바로 항공모함을 노리고 달려드는 Tu-22 같은 저고도 초음속 폭격기 같은 것들. 천하의 F-14라고 해도 해면밀착 비행을 하는 표적에 대한 탐지거리는 중/고고도로 날아오는 적기 탐지거리에 비해 심히 떨어지기 마련이고, 특히 폭격기급에 탑재된 대출력 ECM 장치까지 켜는 상태면 폭격기 탐지거리가 더 떨어져버린다. 그래서 대응책으로 F-14에만은 IRST를 단 것. 특히 이 IRST는 정면으로 달려드는 초음속 비행체 탐색에 적합한 장파장 적외선 탐지센서다. 단, 초기 모델인 F-14A에는 IRST 대신 TCS(TV Camera Set)를 달았는데 이 당시의 IRST는 아직 미 해군의 요구 사양을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잡음을 항공기로 오인하는 오경보율이 높았기 때문이며, 훗날 F-14D에 이르러 TCS 옆에 장착하게 된다.[2].

미 공군은 스텔스기에 IRST를 기본장비로 채용하지 않는다. 가령 F-117이나 F-22이 그렇다. 검토는 되었다지만 레이더에 주력하는 방향이 되었다. F-35또한 IRST전용 마운트나 센서는 없다. 대신에 기수 아래에 EOTS, EODAS[3] FLIR 및 IRST 역할이다. 이 센서는 레이더를 끈 F-35가 스텔스를 유지하며 이지스함등의 다른 플랫폼의 대지미사일, 대공미사일을 목표물까지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IRST의 기능에 네트워크 전투까지 가능하게 된 셈. EODAS는 EOTS와 달리 동체 여러곳에 달려서 다양한 방향에서 다가오는 위협(미사일, 적기 등)을 사전에 발견 할 수 있어 공격력 뿐만 아니라 방어력까지 상승하였다.

미 해/공군은 2017년 F-15, F-16, F/A-18등 기존 전투기에 포드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공대공용 IRST인 Legion IRST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는 EOTS같은 최신센서가 없는 전투기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EOTS 처럼 기본적으로 내장된 IRST는 아니지만 공간확장이 여유롭기 때문에 더 싼값에 더 강력한 광학장비를 장착할 수 있어 성능면에서 꿀리지 않는다. 레이저 조사기능까지 갖춘 스나이퍼(타게팅 포드)를 장착할 수 도있다. 리전 IRST 포드는 F-15EX와 F/A-18E/F에 장착이 확정되었으며 대만 공군 F-16V에 장착하기 위한 수출이 허가되었다.

1.6.2. 유럽

1.6.2.1. 러시아
1970년대 중후반 부터 떨어지는 레이더를 보완하기 위해 소련은 IRST를 애용하였고, 따라서 밀리는 레이더만큼 이 분야에서는 소련이 우위였다.베트남전 등에서 미군의 ECM 기술에 압도당해 곤란한 상황을 겪었기 때문이다. 소련은 전자기술은 미군보다 항상 떨어졌는데, 레이더나 ECM 기술도 열세였기 때문이다. 적외선 분야는 레이더처럼 압도적으로 감쇠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IRST가 있으면 어느정도 대응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파일:Su-27.gif

마침 R-73 같은 고기동 미사일과 HMS 조합으로 도그파이팅에서 IRST의 능력을 확인한 소련은 IRST 성애자가 된다. 그리하여 R-27 같은 장거리 BVR 미사일에도 적외선 탐색기를 장착한 미사일을 개발하기도 했다. 개발했다. 전투기에도 Su-27, MiG-29에 IRST와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기본 탑재한다. 구형 소련 전투기의 앞에 보이는 커다란 렌즈들이 그것이다.

이후 공산주의 소련 붕괴 후 세워진 러시아 연방에서도 IRST를 잘 사용하고 있다. 때마침 스텔스기가 대두되면서 IRST의 필요성이 줄어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신예 전투기인 Su-35, MiG-35 역시 IRST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있다.[4]

Su-57, Su-35 등은 EODAS 처럼 IRST가 기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곳에 설치되어 있어 사방에서 갑자기 등장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내장된 기수 상단 IRST는 EOTS처럼 크기에 제한이 있어 외장형 IRST 처럼 101KS-N 타게팅 포드를 장착할수있다.
1.6.2.2. 서유럽
유럽의 유로파이터 역시 IRST를 기본장착되나 러시아처럼 레이저 거리 측정기는 없다.

프랑스의 라팔은 OSF 센서에 IRST와 CCD카메라 및 레이저거리 측정기가 통합되었다. 근데 운용에 문제가 있는지 2007년경부터 차기형 OSF(OSF-IT)는 IRST는 빠질 예정이라는 보고가 있었다. 실제로 OSF-IT를 탑재한 라팔부터는 OSF의 IRST 자리는 더미로 채워져있다. 대신 MICA 처럼 IRST 탐색기가 장착된 미사일의 탐색기 영상을 모기가 볼수있어 미사일을 센서로 활용하는 역발상을 실현하기도 했다.

스웨덴의 JAS 39 그리펜 역시 IRST 사용을 검토하였으나 비용상의 문제로 탑재되지 않았다. 최신형인 JAS39E형 부터는 탑재한다.

1.6.3. 동북아

대한민국 KF-21의 조종석 우측 전방에 기본 장착이 확정되어 있고, 중국은 J-10B형 이후 조종석 우측 앞 동체에 설치하여 기 운용 중이며, FC-31(J-35)에도 기체 하부에 부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경우, F-15CJ Kai에 2010년대 초 조종석 전방에 시험으로 적용했으나 전력화 되지는 않았으며, 향후 F-15MJ 모델에는 설치된다는 정보가 있다.

1.7. 전투함

전투함용으로도 단일센서, 혹은 삼각측량을 위한 이중센서 IRST가 많이 등장하였다. 선박은 공간/무게에 대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더 크고 많은 센서를 탑재할 수 있어 전투기에서 사용할 때보다 정확도가 높다.

대함 미사일은 고도 5~10m의 초저고도 기동(시 스키밍)을 한다. 이들은 수평선 너머에서 들어와서 레이더로 포착이 어렵다. 초음속 시 스키밍 대함미사일이 등장하면서 레이더만으로 대응하기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IRST가 각광받게 되었다. 초저고도에서 초음속 비행을 하면 미사일 표면 온도가 수 백도 이상까지 치솟는데, 차가운 해수면 위에서 비행하는 수백도짜리 물체를 탐지하는데는 IRST가 제격이기 때문.

또한 함포 사격처럼 근거리 전투 때 조준기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1.8. 참고항목

2. 인텔® 빠른 스토리지 기술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

레이드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레이드 기술을 응용하여 SSD를 HDD의 캐시 메모리로 사용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말하자면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SSHD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나온 옵테인 메모리도 이 기술을 그대로 이어 받아 사용한다.
아무 메인보드나 가능한 것은 아니고 인텔 SATA 컨트롤러가 설치된 메인보드만 가능하다. 라이선스 비용이 있기 때문에 SATA가 8개 있는데 4개의 포트만 IRST 사용 가능한 메인보드도 있다.
SSD를 캐시로 사용하는 구성의 경우 최대 64GB까지만 가능하다. 용량이 64GB보다 더 큰 SSD는 남는 공간을 별도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도 있긴 하지만 그 경우 IRST 캐싱 성능이 하락할 수 있다.

IRST 캐싱을 사용하려면 바이오스의 저장장치 운영을 RAID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기본값은 대개 AHCI이다.[5] 윈도우를 설치한 후에 AHCI↔RAID 전환을 하면 부팅이 되지 않으므로 윈도우 설치 이전에 미리 바꿔둬야 한다. 윈도우 10은 이미 AHCI 모드로 설치했더라도 안전모드로 부팅하면서 설정을 변경하고 1번 재부팅하는 것으로 해결 가능하다.
IRST 프로그램도 설치해야 하는데, 인텔 홈페이지나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 가능하지만 인텔이 버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므로 보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것을 이용하는 게 보통 더 좋다. 인텔 공홈에서는 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최신 버전을 찾기가 번거롭다. 일부 버전은 닷넷 프레임워크 최신 버전을 잘 인식하지 못해서 설치되지 않거나 혹은 캐싱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인텔은 이 버그를 수 년간 고치지 않았으며 아마 앞으로도 고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레지스트리의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값을 수정해 IRST를 속이면 정상실행된다. 참고

옵테인과의 차이점은 옵테인은 M.2를 사용하고 반드시 그 파티션에만 윈도우를 설치해야 하지만 IRST는 SATA를 사용하고 데이터 용도로 구성 가능하다.

당연히 AMD CPU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참고 : https://downloadcenter.intel.com/ko/download/28650/-RST-?v=t)
다만, AMD에서는 AMD 나름의 레이드 구성 드라이버가 있으며 인텔보다 레이드구성이 까다롭다
[1] 이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IRST는 조종석 앞부분에 달린다. [2] 미 공군도 F-15에 같은 센서를 달 생각을 하였으나 예산상 보류되었다. 이 IRST 센서는 한국공군의 F-15K에 타이거 아이 시스템의 한 파트로서 들어오게 된다. [3] F-35에 달린 이 장비들은 F-14A 시절에 달린 IRST와는 비교가 불가할 정도로 21세기의 기술이 집약된 최첨단 광학장치들이다. 조종사의 헬멧과 연동하여 상황인식에 도움을 주며, 기수후미의 사각을 해소하는 것을 넘어서 후미에 있는 적기를 락온하여 향해 미사일을 발사할 수도 있다. [4] 기수만 잘 봐도 캐노피 앞쪽으로 둥그스름하게 돌출된 게 보일 텐데, 그게 IRST다. [5] 구형 보드의 경우 IDE가 기본값이나, 어차피 그런 구형 보드는 보통 IRST 캐싱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