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4:11:54

Creep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크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000 ; min-width: 20%"
{{{#000 {{{#!folding [ Studio Albums ]
<tablewidth=100%>

1993년 2월 22일

1995년 3월 13일

1997년 6월 16일

2000년 10월 2일

2001년 6월 5일

2003년 6월 9일

2007년 10월 10일

2011년 2월 18일

2016년 5월 8일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xtended Plays ]
{{{#!folding [ Singles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EB03D><tablebgcolor=#EEB03D>
파일:pablohoney.jpg
Pablo Honey
트랙리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러닝타임
<colbgcolor=#EDE6DD><colcolor=#000000> 1 <colbgcolor=#fff,#191919> You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3:28
2 Creep 3:58
3 How Do You? 2:12
4 Stop Whispering 5:25
5 Thinking About You 2:41
6 Anyone Can Play Guitar 3:37
7 Ripcord 3:09
8 Vegetable 3:12
9 Prove Yourself 2:25
10 I Can't 4:13
11 Lurgee 3:07
12 Blow Out 4:42
파일:Radiohead Pablo Honey.png
}}}}}}}}} ||
Creep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118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21년 118위 ||

NME 선정 500대 명곡
142위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43위
Creep
<colbgcolor=#EDE6DD><colcolor=#000> 싱글 발매일 1992년 9월 21일
싱글 B면[1] Inside My Head
Million Dollar Question
Yes I Am
Blow Out (remix)
앨범 발매일 1993년 2월 22일
장르 얼터너티브 록
러닝 타임 3분 56초
작곡 라디오헤드, 알버트 해먼드, 마이크 헤이즐우드[2]
프로듀서 숀 슬레이드, 폴 콜데리
수록 앨범
레이블 팔로폰 레코드 ( 영국)
캐피톨 레코드 ( 미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creepsingle.jpg
}}}}}}}}} ||

1. 개요2. 인기3. 녹음 과정4. 가사5. 여담6.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공식 M/V
라디오헤드의 데뷔 싱글이자 데뷔 앨범인 Pablo Honey의 리드 싱글.

2. 인기

라디오헤드의 수많은 곡 중 대중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곡으로 1990년대를 살아가던 X세대들이라면 라디오헤드는 몰라도 이 곡은 알 정도로 전세계적으로 어마어마한 히트를 쳤으며 세대를 관통하는 '찐따,루저 감성'의 송가와도 같은 노래이다. 그래서 X세대 뿐만 아니라 2030세대에도 유명한 곡인데, “라디오헤드는 몰라도 Creep은 안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이다.[3] Paranoid Android Karma Police처럼 Creep보다 음악적으로 훨씬 높이 평가받는 라디오헤드의 노래는 굉장히 많지만 대중적으로 Creep 만큼 흥하지는 못했다.[4] 각주에도 나와있듯 당시 차트 성적은 평범했지만 1년 후 역주행을 했고, 워낙 세대를 관통하는 감성의 곡이라 2024년 현재 공식 뮤비 유튜브 10억 조회수를 바라볼 정도의 초스테디셀러가 된 상황이다.

이 곡의 큰 성공이 오히려 독이 된 부분도 있는데 수록 앨범인 Pablo Honey의 다른 수록곡이 전부 뒷전이 돼버린 것. 더 나아가 라디오헤드라는 밴드 자체가 Creep으로만 기억되는 것을 우려해서 멤버들은 Creep을 의식적으로 꺼리게 됐다. 이후 앨범인 The Bends를 통해 소포모어 징크스를 말끔하게 극복했고 싱글도 전부 고르게 성공을 거두고 그 이후로도 확고한 음악성을 구축하게 되면서 Amnesiac 발매 이후 드디어 몇 년 만에 SUMMER SONIC 콘서트에서 이 곡을 좋아한다면서 감격의 라이브를 가졌다. 그 뒤로 가끔씩 잊을 만하면 팬 서비스로 라이브를 한다. 이 부분은 2017년 4월 9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루었다.

2021년판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리스트에서 117위에 올랐다. 링크

3. 녹음 과정

스콧 워커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쓴 곡인데[5] 그 당시에는 지나치게 인기가 많아서 공연을 꺼렸다. The Hollies의 곡으로 유명한 'The Air That I Breathe'라는 곡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었고 원작곡가인 알버트 해먼드[6], 마이크 헤이즐우드의 표절 제기와 소송이 있었다. 법정 공방 중에 합의에 이르게 되었고 결국, 공동 작곡으로 처리되었다. 흑역사 인터뷰 중 그 특별한 여자는 라디오헤드 구성원들이 대학을 다녔던 영국 엑세터의 한 콘서트장에 나타났다고 21살의 조니가 설명했다.
"톰은 굴욕당했어요, 왜냐면 그는 그녀에게 말을 걸지도 못했거든요. 그는 그냥 이삼 년 정도 전에 며칠 몇 주였나 하여튼 따라다니기만 했죠. 근데 그녀가 콘서트장에 나타났죠. 그는 그 후에 굉장히 혼란스러워했어요."
1987년에 엑시터 대학교에서 통기타로 첫 녹음을 했고 데모를 콜린에게 보여줬다고 한다. 재미있는 건 크립은 발매 당시 영국에선 인기가 없었지만 미국에선 히트를 쳤고 OK Computer가 나오자 그 반대의 상황이 일어났다고 한다. 크립이 1992년에 처음 나올 때에는 한참 시애틀 그런지와 스웨이드, 블러 등이 앞장선 브릿팝이라는 영국과 미국의 록 씬 주도권을 쥔 전쟁중이라, 영국 밴드임에도 너바나같은 감성의 노래였던 크립은 너무 우울하다며 영국에서 곧 잊혔지만, 이스라엘을 시작으로 해외에서 크립에 꽂힌 X세대 청년들의 열광적 반응으로 역주행을 하더니 미국에 상륙해서는 미국까지도 크게 히트하게 된다. 그렇게 크립이 영국에서 일 년 뒤에 다시 재발매하자 크립이 다시 떴다고 한다. 뮤직비디오는 Oxford에 조디악(The Zodiac)이라는 클럽에서 찍었다고 한다. 한번은 살인범이 곡을 자신과 연관 있는 이야기의 편지로 톰에게 쓴 적이 있어서 톰은 그들과 노래가 얼마나 연관이 있는지 말한 적이 있었다. 소셜 네트워크 예고편에 Scala & Kolacny Brothers가 부른 버전도 유명하다.

4.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gcolor=#E6B24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70deg, #E6B241, #ED9106, #D16A2B, #ED9106)"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word-break: normal"
{{{+5 '''When you were here before'''}}}
이곳에 네가 있던 그 때
{{{+5 '''Couldn't look you in the eye'''}}}
널 눈에 담을 수조차 없었어
{{{+5 '''You're just like an angel'''}}}
넌 그저 천사만 같아
{{{+5 '''Your skin makes me cry'''}}}
네 살결조차 날 울게 만들어

{{{+5 '''You float like a feather'''}}}
아름다운 세상 속 깃털처럼
{{{+5 '''In a beautiful world'''}}}
넌 허공 위를 부유해
{{{+5 '''I wish I was special'''}}}
내가 특별했으면 좋겠어
{{{+5 '''You're so fuckin' special'''}}}
넌 그냥 존나 특별하고

{{{+5 '''But I'm a creep, I'm a weirdo'''}}}
그렇지만 난 기분 나쁜 놈이야, 이상하기 짝이 없어
{{{+5 '''What the hell am I doing here?'''}}}
대체 내가 여기서 뭘 하고 있는 거지?
{{{+5 '''I don't belong here'''}}}
여기에 난 어울리지 않잖아

{{{+5 '''I don't care if it hurts'''}}}
아픔이 따른대도 상관없어
{{{+5 '''I want to have control'''}}}
내가 바라는 대로 되기를 원해
{{{+5 '''I want a perfect body'''}}}
흠결 없는 몸을 가지고 싶어
{{{+5 '''I want a perfect soul'''}}}
흠결 없는 영혼을 가지고 싶어

{{{+5 '''I want you to notice'''}}}
네가 알아채줬으면 좋겠네
{{{+5 '''When I'm not around'''}}}
내가 곁에서 없어진다면 말이야
{{{+5 '''You're so fuckin' special'''}}}
넌 그냥 존나 특별하고
{{{+5 '''I wish I was special'''}}}
나도 내가 특별했으면 좋겠어

{{{+5 '''But I'm a creep, I'm a weirdo'''}}}
그렇지만 난 기분 나쁜 놈이야, 이상하기 짝이 없어
{{{+5 '''What the hell am I doing here?'''}}}
대체 내가 여기서 뭘 하고 있는 거지?
{{{+5 '''I don't belong here'''}}}
여기에 난 어울리지 않잖아
{{{+5 '''Oh, oh'''}}}
아아

{{{+5 '''She's running out the again'''}}}
또 다시 그녀가 사라지고 있어
{{{+5 '''She's running out'''}}}
그녀가 사라지고 있어
{{{+5 '''She run, run, run, run'''}}}
그녀가 사라져, 사라져, 사라져, 사라져
{{{+5 '''Run'''}}}
사라져

{{{+5 '''Whatever makes you happy'''}}}
무엇에 네가 기뻐한다 해도
{{{+5 '''Whatever you want'''}}}
무엇이 네게 부족하다 해도
{{{+5 '''You're so fuckin' special'''}}}
넌 그냥 존나 특별해
{{{+5 '''I wish I was special'''}}}
나도 내가 특별했으면 좋겠어

{{{+5 '''But I'm a creep, I'm a weirdo'''}}}
그렇지만 난 기분 나쁜 놈이야, 이상하기 짝이 없어
{{{+5 '''What the hell am I doing here?'''}}}
대체 내가 여기서 뭘 하고 있는 거지?
{{{+5 '''I don't belong here'''}}}
여기에 난 어울리지 않잖아
{{{+5 '''I don't belong here'''}}}
여기에 난 어울리지 않잖아

'''Written By:''' [[라디오헤드|{{{#FFF Radiohead}}}]]
}}}}}}

5. 여담

6. 대중매체에서



[1] 음원 사이트 기준. [2] 표절 소송으로 인한 공동 작곡 인정. [3] 이 때문에 국내의 2030 세대에서 라디오헤드는 그 거대한 음악적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Creep 원 히트 원더로 잘못 알려져 있다. [4] UK 차트에서는 7위를 기록했지만 빌보드 Hot 100 차트는 34위에 그쳤다. 비록 그런지 음악이 한참 잘 나가던 시절이었어서 반사적으로 이득을 본 것도 있지만 갓 데뷔한 완전 신인 밴드의 싱글인 것을 감안하면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5] 본인들 말로는 '커버' 수준이라고 말한다. [6] 스트록스 알버트 해먼드 주니어의 아버지인 그 알버트 해먼드. 'The Air That I Breathe'는 본래 이 사람의 솔로 곡으로 발표한 것이다. [7] 라디오헤드 멤버들이 진짜 싫어하는 곡은 The Bends High and Dry. 톰 요크는 2007년 피치포크와의 인터뷰에서 이 곡은 정말 구린(very bad) 곡이라고 대놓고 깠고, 라이브에서도 웬만하면 부르지 않는다. 흥미로운 점은 이 곡 또한 대중적으로 유명한 편이라는 것이다. [8] 라이브에서는 조니가 기타 연주로 대체한다. [9] 여담이지만 이날 같은 공연에서 Anyone Can Play Guitar 이란 노래로 라디오헤드 팬들에게 영원히 회자될 역대급(?) 라이브를 선보였다. [10] 정확히는 G - Gsus4 - B - Bsus4 - C - Csus4 - Cm - Cmadd9이며 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코드워크를 반복한다. [11] 최종적으론 이런 목록이... 1937 - Fred Fisher- That's When Your Heartaches Begin. /1941 - The Ink Spots - That's When Your Heartaches Begin. /1957 - Elvis Presley - That's When Your Heartaches Begin. /1965 - Aline - Christophe /1969 - Carry the Weight - the beattles /1972 - Albert Hammond - The Air That I Breathe /1974 - The Hollies - The Air That I Breathe /1992 - Radiohead - Creep /2003 - Vuelve - Latin Dreams /2008 - Los Ronaldos - No puedo vivir sin ti /2015 - Mon Lafarte - Tu forma de querer /2016 - Cruel Youth - Mr. Watson /2017 - Tonta - Jimena Baron /2017 - Get Free - Lana Del Rey [12] 화질이 매우 낮아 노래만 듣는 수준으로 만족해야 한다. [13] 한국과 일본에서는 이병헌, 기무라 타쿠야, 조쉬 하트넷 공동 주연의 영화 '나는 비와 함께 간다'의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 ( 이전 역사)
문서의 r118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