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22:52:35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0대
2022년 3월 9일
제21대
2027년 3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10일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2016년 재보궐선거
}}}}}} ||
선거 결과
정당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1석 7석 7석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0석 2석 0석


[[무소속(정치)|
무소속
]]
0석 0석 7석

1. 개요2. 선거 지역3. 선거 결과
3.1. 투표3.2. 개표
3.2.1. 기초자치단체3.2.2. 광역의회의원3.2.3. 기초의회의원
4. 선거 이후
4.1. 새누리당4.2. 새정치민주연합4.3. 야권신당 추진세력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는 2015년 10월 28일에 치른 재보궐선거이다.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지지 않는데, 잔여임기가 1년 미만이기 때문이다. 정확히 말해, 바로 6개월 후인 2016년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다.

당초 미니 지방선거 격의 대규모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재선거가 있을 것으로 보였다. 대표적인 자치단체장으로는 대전시장, 서울교육감, 야권신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주도권을 다툴 호남지역의 기초자치단체장들 등으로, 이들이 최종적으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을 경우 매우 판이 커질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7월 말, 국회에서 선거에 너무 많은 행정력과 정치력이 소모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재보궐선거는 연 1회로 한정하는 법안[1]을 통과시킴으로써, 법 발효 이전에 당선무효형이 난 지역만 치르는 매우 소규모의 선거가 되었다. 법 발효 이후 당선무효형이 선고된 당선자의 지역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과 함께 재보궐선거를 치렀다.

투표율이 20%에 그쳤고, 선거운동도 보이지 않은 지역구가 많았다. 여야 모두 이번 재보선을 등한시했다는 의미다.

2. 선거 지역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선거구
기초단체장 경상남도 고성군 새누리당 하학열 당선무효
광역의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제3 선거구 새누리당 도문열 당선무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제1 선거구 새누리당 박석동 당선무효
기장군 제1 선거구 새누리당 박인대 당선무효
인천광역시 부평구 제5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장현근 당선무효
서구 제2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구재용 당선무효
경기도 의정부시 제2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조남혁 사망(2015.06)
의정부시 제3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민 당선무효
광명시 제1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이준희 당선무효
전라남도 함평군 제2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노종석 피선거권 상실
기초의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가 선거구 새누리당 박태문 당선무효
부산광역시 서구 다 선거구 무소속 엄주정 당선무효
해운대구 다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박욱영 피선거권 상실
사상구 다 선거구 새누리당 김정언 당선무효
인천광역시 남구 다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김종환 당선무효
부평구 나 선거구 새누리당 이도재 당선무효
울산광역시 중구 나 선거구 새누리당 김선수 당선무효
경기도 김포시 나 선거구 새누리당 권오준 당선무효
강원도 홍천군 다 선거구 새누리당 백금산 당선무효
충청북도 증평군 가 선거구 새누리당 지영섭 당선무효
전라남도 목포시 라 선거구 무소속 김영수 사망(2015.04.07)
신안군 나 선거구 무소속 조영훈 당선무효
경상북도 울진군 다 선거구 무소속 이세진 사직
경상남도 사천시 라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조익래 당선무효

3. 선거 결과

3.1. 투표

전국 종합 시간대별 투표현황[2]
총 유권자수 : 1,067,487명
시간 투표율
7시 0.6%
9시 2.7%
11시 5.9%
12시 7.2%
13시[3] 12.6%
14시 13.7%
15시 14.9%
16시 15.9%
17시 17.0%
18시 18.1%
19시 19.1%
20시 20.1%

3.2. 개표

3.2.1. 기초자치단체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경남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평호(崔平浩) 9,783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94% 당선
2 백두현(白斗鉉) 4,759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91% 낙선
4 김인태(金仁泰) 363 6위


[[공화당(2014년)|
파일:공화당(2014년) 흰색 로고타입.svg
]]
1.51% 낙선
5 이상근(李相根) 7,03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9.45% 낙선
6 이재희(李再熙) 585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4% 낙선
7 김홍식(金弘植)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8 정호용(鄭皓龍) 1,36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71% 낙선
선거인 수 47,504 투표율
50.73%
투표 수 24,101
무효표 수 210

3.2.2. 광역의회의원

영등포구 제3선거구
신길제1동, 신길제4동, 신길제5동, 신길제7동, 여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춘수(金春洙) 5,952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4.99% 당선
2 조유진(趙惟眞) 4,083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7.72% 낙선
4 진재범(秦在範) 788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28% 낙선
선거인 수 81,807 투표율
13.29%
투표 수 10,874
무효표 수 51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제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제1동, 양정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수용(金水龍) 8,037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60.19% 당선
2 이상호(李相昊) 5,314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9.80% 낙선
선거인 수 86,045 투표율
15.61%
투표 수 13,428
무효표 수 77
기장군 제1선거구
기장읍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동만(鄭東萬) 4,683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5.96% 당선
2 정영주(鄭榮周) 1,613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5.83% 낙선
4 김유환(金有煥) 3,89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20% 낙선
선거인 수 44,720 투표율
22.88%
투표 수 10,232
무효표 수 43
부평구 제5선거구
청천1동, 산곡1동, 산곡2동, 산곡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만용(崔萬龍) 4,769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52% 당선
2 노태손(盧泰巽) 3,057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5.97% 낙선
3 김상용(金相龍) 3,297 2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8.01% 낙선
4 최종귀(崔鍾貴) 646 4위


[[한나라당(2014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
5.48% 낙선
선거인 수 71,870 투표율
16.49%
투표 수 11,848
무효표 수 79
서구 제2선거구
검암경서동, 청라1동, 청라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문현주(文賢珠) 4,421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2.06% 낙선
2 김종인(金鐘潾) 6,090 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57.93% 당선
선거인 수 92,036 투표율
11.48%
투표 수 10,570
무효표 수 59
의정부시 제2선거구
의정부2동, 호원1동, 호원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진선(鄭鎭善) 4,990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23% 당선
2 강은희(康恩姬) 4,749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8.76% 낙선
선거인 수 83,771 투표율
11.69%
투표 수 9,797
무효표 수 58
의정부시 제3선거구
장암동, 신곡1동, 신곡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국은주(鞠恩珠) 6,788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6.42% 당선
2 박돈영(朴敦泳) 5,242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3.57% 낙선
선거인 수 91,109 투표율
13.28%
투표 수 12,095
무효표 수 65
광명시 제1선거구
광명1동, 광명2동, 광명3동, 철산1동, 철산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태진(權泰振) 5,577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8.09% 당선
2 이병인(李秉仁) 4,023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1.90% 낙선
선거인 수 57,145 투표율
16.89%
투표 수 9,650
무효표 수 50
함평군 제2선거구
학교면, 대동면, 나산면, 해보면, 월야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정정희(鄭正喜) 3,369 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7.25% 당선
4 설명수(薛明洙) 1,22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21% 낙선
5 이재인(李載仁) 2,53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53% 낙선
선거인 수 15,702 투표율
45.83%[4]
투표 수 7,196
무효표 수 67

3.2.3. 기초의회의원

양천구 가선거구
목2동, 목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성국(李聖國) 3,925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48% 당선
2 김수정(金秀政) 3,698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8.51% 낙선
선거인 수 45,161 투표율
16.94%
투표 수 7,651
무효표 수 28
부산 서구 다선거구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제1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두세(金斗世) 2,213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8.70% 낙선
2 오해진(吳海辰) 516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9.02% 낙선
4 허승만(許承萬) 2,988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2.26% 당선
선거인 수 32,691 투표율
17.60%
투표 수 5,755
무효표 수 38
해운대구 다선거구
좌제1동, 좌제3동, 좌제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서창우(徐昶雨) - 무투표당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
선거인 수 - 투표율
-
투표 수 -
무효표 수 -
사상구 다선거구
관할지역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윤태한(尹泰漢) 3,327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61.05% 당선
2 김덕영(金德永) 2,122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8.94% 낙선
선거인 수 32,691 투표율
16.74%
투표 수 5,474
무효표 수 25
인천 남구 다선거구
주안3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배세식(裵世植) 3,494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7.13% 당선
2 이병학(李秉鶴) 2,621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2.86% 낙선
선거인 수 42,286 투표율
14.54%
투표 수 6,148
무효표 수 33
부평구 나선거구
부평2동, 부평6동, 일신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익성(李益成) 3,872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9.15% 당선
2 이종빈(李鍾彬) 2,673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0.84% 낙선
선거인 수 43,057 투표율
15.29%
투표 수 6,584
무효표 수 39
울산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재철(李在喆) 4,300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3.23% 낙선
4 천병태(千炳泰) 5,645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6.76% 당선
선거인 수 38,328 투표율
26.07%
투표 수 9,993
무효표 수 48
김포시 나선거구
김포본동, 장기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종혁(金鍾爀) 5,091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2.62% 당선
2 채신덕(蔡信德) 4,360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5.06% 낙선
4 김인수(金仁洙) 22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30% 낙선
선거인 수 67,614 투표율
14.36%
투표 수 9,711
무효표 수 37
홍천군 다선거구
두촌면, 내촌면, 서석면, 내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엄광남(嚴光南) 1,914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9.13% 당선
2 원재민(元在玟) 1,364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7.88% 낙선
4 심형기(沈炯基) 1,61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2.97% 낙선
선거인 수 11,052 투표율
44.46%
투표 수 4,914
무효표 수 23
증평군 가선거구
증평읍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규정(李圭正) 867 3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1.58% 낙선
2 이창규(李昌揆) 1,170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9.13% 낙선
4 윤해명(尹海明) 1,979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9.27% 당선
선거인 수 12,059 투표율
33.51%
투표 수 4,041
무효표 수 25
목포시 라선거구
목원동, 유달동, 동명동, 만호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4 이재용(李在鎔) 2,771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33% 당선
5 서조원(徐朝元) 1,49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62% 낙선
6 천정우(千正祐) 1,349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66% 낙선
7 송지원(宋枝洹) 1,61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2.37% 낙선
선거인 수 23,721 투표율
30.75%
투표 수 7,295
무효표 수 67
신안군 나선거구
자은면, 암태면, 압해읍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동근(金東根) 1,421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1.77% 낙선
4 전남주(全南柱) 1,26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33% 낙선
5 박인석(朴璘奭) 1,81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7.84% 낙선
6 최승환(崔昇煥) 2,026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04% 당선
선거인 수 10,231 투표율
64.47%
투표 수 6,596
무효표 수 70
울진군 다선거구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평해읍, 후포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4 김정희(金禎熙) 2,91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61% 낙선
5 황윤석(黃潤錫) 89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8.81% 낙선
6 황유성(黃有星) 2,955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9.03% 당선
7 도한민(都漢民) 1,97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36% 낙선
8 신상규(申相圭) 1,44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16% 낙선
선거인 수 18,778 투표율
54.63%
투표 수 10,259
무효표 수 82
사천시 라선거구
동서금동, 벌용동, 향촌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삼수(李三守) 4,926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6.81% 낙선
4 박종권(朴鍾權) 5,597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3.18% 당선
선거인 수 24,538 투표율
43.20%
투표 수 10,600
무효표 수 77

4. 선거 이후

4.1. 새누리당

기초단체장 1석 중 1석(100%), 광역의원 9석 중 7석(78%), 기초의원 14석 중 6석(43%)을 획득하며 압승을 기록했다. 다만, 워낙 국민들의 관심도가 낮은 지역의원 선거의 비중이 높았던데다가 텃밭인 울산에서 구 통진당 출신 무소속 후보에게 패배한 점이 옥의 티였다.

이 선거 승리로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재보궐선거 연승 기록을 이어갔다. 김무성 대표 체제는 이 승리로 2016년 총선 직전까지 견고한 안정세를 이어갔고, 김무성 대표 역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누르고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1위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4.2. 새정치민주연합

유일한 기초단체장 선거인 고성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에게도 밀린 단 19.91%[5][6]에 그쳤고, 광역의원 당선자는 2명에 그쳤다. 기초의원 당선자는 아예 없다. 인천 부평 시의원 선거에서는 정의당에 밀려 3위로 낙선했다. 특히 야권신당 바람이 불고있는 호남에서 썩 성과가 좋지 않았다. 함평 도의원 선거에서 정정희 후보가 당선되기는 했지만 득표율은 50%에 못미쳤고, 전남 신안군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아예 무소속 후보 2명에 밀려 3위로 낙선했다. 그야말로 참패.

애초에 광역의원/기초의원 선거의 경우 호남(3곳)을 제외하면 18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가 승리했던 선거구는 4곳[7]밖에 없었던 만큼 대체적으로 여권 우세 지역이 많긴 했지만, 막상 이들 4개 선거구 중에서도 3곳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다만 기초의원 선거의 특성상 당색이 약하게 작용한다는 점, 그리고 투표율이 형편없이 낮았다는 점은 고려해봐야한다.

이 패배로 문재인 대표 체제가 본격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했으며 호남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문재인 대표에 대한 사퇴 압력이 강해졌다. 하지만 문재인 대표가 사퇴를 거부하면서 2015년 말 연속 탈당 사태로 시작된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사태의 시발점이 된다.

4.3. 야권신당 추진세력

일단 야권신당 측에서 추천한 무소속 설명수, 이재인 후보와 새정치연합의 공천을 받은 정정희 후보가 맞붙은 함평 도의원 선거에서 야권신당세력 후보 득표의 총합이 52.74%로 새정치연합의 47.25% 보다 앞섰다. 근데 당선에는 실패했기에 뭐라 말하기가 참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호남계 야권 신당 추진 세력의 추천을 받은 2명이 각각 출마해 표가 갈린것이 한 몫 했다.

자세히 들어가면 천정배 의원 측과 박준영 전 전남지사 측이 각각 후보를 냈는데, 천정배 의원 측 이재인 후보는 35.5%를 득표했고, 박준영 전 지사 측 설명수 후보는 17.2%를 득표했다. 이 당시 야권 재편 과정 중 얼마나 민주당계 세력이 표류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승부였다.

5. 관련 문서


[1] 그러나 연 1회로의 법령 개정 후 오거돈 성추행 사건 박원순 자살 사건의 여파로 부산시장직이 정확히 1년, 서울시장직이 7개월이나 공석이 되는 혼란이 발생하여 지자체의 행정 공백을 막고자 2020년부터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감에 한해서 재보궐선거를 연 2회 실시하는 것으로 환원했다. [2] 부재자투표는 13시 결과부터 일괄하여 합산. [3] 부재자 투표 합산 시작 [4] 광역의회의원 선거구 중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 [5] 그런데 민주당계 정당이 고성군에서 20% 가까이의 득표율을 얻은 건 선전한 편이라고 한다. (당시 고성군에서의 민주당계 정당의 평균득표율은 10% 초중반 정도였다) [6] 참고로 이후 이때 낙선한 고성군수 후보 백두현은 다음 지방선거에서 당선된다. [7] 인천 서구2, 경기 광명1, 서울 양천가, 인천 부평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