怨 원망할 원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4급
|
||||||
-
|
|||||||
일본어 음독
|
エン, オン
|
||||||
일본어 훈독
|
うら-む
|
||||||
-
|
|||||||
표준 중국어
|
yu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怨은 '원망할 원'이라는 한자로, '원망(怨望)하다'를 뜻한다.2. 상세
夗(누워뒹굴 원)과 心(마음 심)이 합쳐진 회의자이다.유니코드에는 U+6028로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UP(弓山心)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감원( 憾怨)
- 결원( 結怨)
- 경숙무원 소면난타( 經 宿 無怨 笑 面 難 唾)
- 경야무원 역일무은( 經 夜 無怨 歷 日 無 恩)
- 계면조원( 界 面 調怨)
- 구원( 舊怨/ 構怨)
- 구원( 仇怨)
- 규원( 閨怨)
- 노원( 怒怨)
- 도원( 挑怨)
- 매원( 買怨/ 埋怨)
- 민원( 民怨)
- 발원( 髮怨)
- 방원( 謗怨)
- 보원( 報怨)
- 분원( 忿怨/ 憤怨)
- 불원승자( 不怨 勝 者)
- 사원( 私怨)
- 삼원( 三怨)
- 수원( 愁怨)
- 숙원( 宿怨/ 夙怨)
- 심원( 深怨)
- 애원( 哀怨)
- 애자지원( 睚 眥 之怨)
- 왕소군원가( 王 昭 君怨 歌)
- 원가(怨 家)
- 원고(怨 苦)
- 원골(怨 骨)
- 원광(怨 曠)
- 원구(怨 溝/怨 咎/怨 仇)
- 원기(怨 忌)
- 원납전(怨 納 錢)
- 원녀(怨 女)
- 원념(怨 念)
- 원대(怨 懟)
- 원독(怨 毒)
- 원령(怨 靈)
- 원망(怨 望)
- 원모(怨 慕)
- 원별(怨 別)
- 원부(怨 婦)
- 원부(怨 府)
- 원부사(怨 夫 詞)
- 원분(怨 憤)
- 원비(怨 誹)
- 원사(怨 辭/怨 詞)
- 원색(怨 色)
- 원성(怨 聲)
- 원소(怨 訴)
- 원수(怨 讎)
- 원심(怨 心)
- 원악(怨 惡)
- 원언(怨 言)
- 원오(怨 惡)
- 원우(怨 尤)
- 원은(怨 恩)
- 원읍(怨 泣)
- 원적(怨 賊/怨 敵)
- 원정(怨 情)
- 원조(怨 鳥)
- 원죄(怨 罪)
- 원증(怨 憎)
- 원차(怨 嗟)
- 원천(怨 天)
- 원춘장(怨 春 糚)
- 원특(怨 慝)
- 원한(怨 恨)
- 원혐(怨 嫌)
- 은원( 恩怨)
- 이열당원( 以 悅 當怨)
- 임원감위( 任怨 敢 爲)
- 임원판사( 任怨 辦 事)
- 적원( 積怨)
- 전원( 前怨)
- 중원( 衆怨)
- 증원( 憎怨)
- 질원( 疾怨)
- 축원( 蓄怨)
- 치원( 置怨/ 致怨)
- 함원( 含怨)
- 혐원( 嫌怨)
3.2. 고사성어/ 숙어
- 극벌원욕( 克 伐怨 慾)
- 내원해인( 耐怨 害 忍)
- 노이불원( 勞 而 不怨)
- 대천지원수( 戴 天 之怨 讐)
- 배주해원( 杯 酒 解怨)
- 백화지원( 白 華 之怨)
- 보원이덕( 報怨 以 德)
- 부모오지 구이물원( 父 母 惡 之 懼 而 勿怨)
- 불원천불우인( 不怨 天 不 尤 人)
- 비상지원( 飛 霜 之怨)
- 빈이무원( 貧 而 無怨)
- 삼생원수( 三 生怨 讐)
- 석화수야우 병주원춘앵( 惜 花 愁 夜 雨 病 酒怨 春 鶯)
- 수원수구( 誰怨 誰 咎)
- 수원숙우( 誰怨 孰 尤)
- 여원여모( 如怨 如 慕)
- 여원여소( 如怨 如 訴)
- 원입골수(怨 入 骨 髓)
- 원증회고(怨 憎 會 苦)
- 원천우인(怨 天 尤 人)
- 원철골수(怨 徹 骨 髓)
- 원친평등(怨 親 平 等)
- 은심원생( 恩 甚怨 生)
- 이덕보원( 以 德 報怨)
- 이직보원( 以 直 報怨)
- 인유삼원( 人 有 三怨)
- 자원자애( 自怨 自 艾)
- 자지자불원인( 自 知 者 不怨 人)
- 적원심로( 積怨 深 怒)
- 정사원서( 情 絲怨 緖)
- 지명자불원천지기자불원인( 知 命 者 不怨 天 知 己 者 不怨 人)
- 철천지원수( 徹 天 之怨 讐)
- 탐자원지본( 貪 者怨 之 本)
- 함분축원( 含 憤 蓄怨)
- 혈원골수( 血怨 骨 髓)
- 형수책아 불감노원( 兄 雖 責 我 不 敢 怒怨)
3.3. 창작물
3.4. 기타
3.5. 일본어
4. 유의자
- 𢙾[⿰忄更](원망할 경)
- 𢛃[⿱咎心](원망할 구)
- 譈/ 懟(원망할 대)
- 憝(원망할/악할 대)
- 讟(원망할 독)
- 𢞭[⿱卯思]/ 𢞓[⿰忄留](원망할 류)
- 𧫢[⿰言望](원망할 망)
- 柸(원망할 배)
- 㥨(원망할 수, 성낼 유)
- 怏(원망할 앙)
- 𤷅[⿸疒兒](원망할 예, 눈병 애)
- 忊(원망할 정)
- 悵(원망할 창)
- 𢚌[⿰忄⿱⺕父](원망할 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𧵍[⿱夗貝](무역할 무)[1]
- 𩖿[⿱夗風](사람이름 미)
- 盌/ 㼝(주발 완)
- 𧯡[⿱夗豆](콩엿 완)
- 𢪸(팔 완)[2]
- 𦙵[⿱夗⺝](팔뚝 완)[3]
- 𩚴[⿱夗食](콩강정 울)
- 䖤(굼틀거릴 원)[4]
- 眢(맹인 원/완)
- 㽜(밭스무두둑 원)
- 妴(얌전할 원)
- 駌(얼굴더러워진말 원)
- 鴛(원앙 원)
- 𧧁[⿱夗言](위로할 원)[A]
- 㠾(행주 원)
- 𠙀[⿱夗几]
- 𡖏[⿱夗于]
- 𫩨[⿱夗口]
- 𣆌[⿱夗日]
- 𤇘[⿱夗灬]
- 𦕕[⿱夗耳]
- 𱆪[⿱夗魚]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7. 여담
- 흥선 대원군은 집권 시절 경복궁 중수를 위하여 강제로 거둔 기부금 원납전(願納錢)에 대하여, 백성들에게 願(원할 원)이 아니라 怨(원망할 원)을 쓴 원납전(怨納錢)이라는 원성을 들었다.
- 비표준 발음으로 '웬'이 있다. 대표적인 용례로 ' 웬수'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