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9:19:39

MERDC

흰지렁이에서 넘어옴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파일:qy7eaaI.jpg
MERDC(Mobility Equip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Camouflage
1. 개요2. 설명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1970년대 올리브색 단색 패턴에서 벗어나려던 미군이 개발한 기갑장비 및 차량용 위장도색이다.

2. 설명

'US Mobility Equipment Research & Design Command'라는 기관에서 연구하여 내놓은 위장무늬이고 대한민국의 기갑, 수송 등 장비 관련 군필자들에게는 흰지렁이로 더 익숙할 터이다.
파일:m1early.jpg
파일:M151A2.jpg
MERDC 패턴을 적용한 미군의 M1 에이브람스 MERDC 패턴을 적용한 미군의 M151A2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M901ITVMERDC-3.jpg
파일:Bradley IFV merdc.jpg
M901 ITV M2 브래들리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M270_MLRS_(1984).jpg
파일:M109A1_155_mm REFORGER_'83.jpg
M270 MLRS M109A1 }}}
MERDC는 흰색과 검은색을 강렬하게 대비시킴으로써 사람의 눈이 윤곽을 구분하기 힘들게 하려는 목적이었다. 2차대전 때 사용한 선박에서도 같은 원리를 적용한 '대즐' 도장패턴을 채택하였다. 패턴 구조가 정형화되어 어떤 곳에 집어넣어도 패턴에서 색깔 한두 개쯤 바꾸어 굴릴 수 있을 만큼 범용성이 좋다. 도색 수정 또한 간편한 기갑장비 도색패턴을 만들고자 한 것이다. 1970년대까지는 이 위장 무늬도 나름대로 타당하였다. 그러나 관측장비( 야간투시경)가 발달하면서 위장효과가 줄어들었고, 정작 본고장 미군에서는 소련군이 이 패턴 계열을 숙지하였을 미군의 기갑장비를 식별하기 쉽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4색 위장 무늬를 그다지 오래 사용하지 않고 1983년부터 녹색, 갈색, 흑색 등 3가지 빛깔이 균등하게 들어가는 NATO 공용 3색 혼합으로 바꾸었다.
파일:K1 전차.jpg
파일:ROK_Army_2.png
대한민국 국군의 MERDC 초창기 전차 도색 후반기 도색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여전히 MERDC를 사용하는데 표준색상 명칭은 국방색/황토색/모래색/검은색이다. 전차의 포탑에는 흰지렁이를 되도록 그리지 않는다. 상기 이미지의 구도색의 K1과 신도색의 K2를 비교하면 이런 경향이 확연히 드러난다.
파일:CnM8kcK.jpg
MERDC는 12색에서 필요한 위장효과를 얻기 위한 색을 고름이 특징이다. 대한민국 국군의 위장 패턴은 유럽 삼림지대의 동계 패턴에 맞추어졌다.

주간관측 때에는 위장효과를 떨어트리는 흰지렁이 무늬를 그리는 대신, 주변 환경과 적외선 방출량이 비슷한 특수도료를 사용함이 더욱 합리적이다. 또한 사람의 눈은 검은색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NATO 공용 3색 위장 무늬에서는 흑색의 비중을 차량 전체 면적의 1/3까지로 과감히 늘렸다. 나머지 녹색과 갈색도 명도와 채도를 낮추어 주간 위장효과를 더욱 높였다.

즉, 대비효과를 주어 적에게 들키더라도 적의 조준을 어렵게 하기보다는 주변 환경에 더욱 녹아드는 쪽을 중시하기로 경향이 바뀌었다. 미군은 1990년대에는 구 장비들의 창정비 및 재도색까지 미군의 거의 모든 차량이 NATO 공용 3색 위장 무늬를 입었다. 21세기 들어 미군의 주전장이 중동으로 바뀐 후에는 많은 차량이 사막색 단색이나, MERDC 도입 이전처럼 올리브그린 단색으로 도색한 장비들이 있지만 한국이나 유럽처럼 산악 지형이 많은 지역은 NATO 3색으로 위장한다.

3. 기타

파일:k31_cargo_3 camo.jpg
파일:k71_cargo_img.jpg
파일:k51_cargo_3camo.jpg
파일:폭풍호 흰지렁이.jpg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