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1 18:14:27

화학Ⅱ


교육과정별 분리가 이루어진 문서에 관해서는 다음 리다이렉트를 클릭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화학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서의 선택과목에 대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화학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로마 숫자 Ⅱ을 빼어 물질과 에너지, 화학반응의 세계으로 각각 계승되었으므로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그 외 교과나 5차 교육과정 이전의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2. 7차 교육과정 '화학Ⅱ'
2.1. 물질의 상태와 용액2.2. 물질의 구조2.3. 화학 반응
3. 6차 교육과정 '화학Ⅱ'
3.1. 물질의 과학3.2. 원자 구조와 주기율3.3. 화학 결합과 화합물3.4. 물질의 상태와 용액3.5. 화학 반응
4. 여담
4.1. 공대생에겐 중요한 기초
5. 관련 문서

1. 개요

고등학교 과학 교과 화학Ⅱ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이다. 이 교과 내용에 기반하여 출제되는 과학탐구 영역에 대해 다루는 문서는 본 문서와 성격이 구분되므로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화학Ⅱ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2. 7차 교육과정 '화학Ⅱ'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02~'10 高1)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학Ⅱ(7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물질의 상태와 용액

2.2. 물질의 구조

2.3. 화학 반응

3. 6차 교육과정 '화학Ⅱ'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96~'01 高1)
공통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3.1. 물질의 과학

3.2. 원자 구조와 주기율

3.3. 화학 결합과 화합물

3.4. 물질의 상태와 용액

3.5. 화학 반응

4. 여담

4.1. 공대생에겐 중요한 기초

제대로 공부한다면, 대학에서 '실험 깡패', 물리학Ⅱ까지 하고 왔다면 '학점 깡패'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화학과 관련된 모든 과제를 혼자 하드캐리하는 것쯤은 일도 아니다. 과목이 전방위 내용을 빠짐없이 다루고 있기 때문이며, 이런 메리트는 상위권이 많이 모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이전 교육과정 때보다 물리화학 파트를 강화했기 때문에 화학공학, 재료공학 학생에게 있어서는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해졌다.[1]

화학 관련 학과는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실험도 많이 하므로, 성질 관계나 양적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능숙해야 한다. 수능을 준비하는 동안 화학적 개념을 활용하는 능력이 길러지며 계산에도 익숙해지기 때문에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된다.

화학Ⅱ는 시간이 갈수록 기피 과목이 되어가고 있고, 개정 후 내용이 많이 경감[2]되어 예전보다는 덜 하나 여전히 기피되는 과목 중 하나이다. 화학Ⅱ가 기피돼 이공계 학생들의 기초 과학 학습이 부실해지면 장기적으로 국가경쟁력에 문제가 될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화학Ⅱ를 제대로 안 배우고 이공계, 특히 화학·생명 관련 학과로 진학하면 대학 공부가 더 힘들어진다. 실제로 EBSi 강사 양진석은 고등학교 때 화학을 안하고 화학과에 입학했다가 주말에 쉬지도 못하고 도서관에서 화학만 공부했다고 한다.

3등급 정도만 가능해도 학부에 쉽게 녹아들 수 있다. 3등급이 나온 수험생은 개념이 부족한 게 아니라 문제풀이에 약해서 그렇다고 보면 된다.[3] 기본개념은 잡아뒀기 때문에 대학교 가서도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다. 그 외에 의약학 등에 편입을 준비하는 사람이나 각종 기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에게 두고 두고 도움이 된다. 특히 화공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사람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단 개념이 된 상태에서 문제를 정확하고 빠르게 푸는 연습을 했기 때문.

간호학과 또한 중요하게 다루는데, 입학전 1개월간 생명과학Ⅱ와 화학Ⅱ를 끝내오라는 곳도 있으며 수업에 생화학이 있기 때문.[4]선택자나 수업을 들은 이과 출신 학생은 괜찮지만 문과 출신 학생은... 그나마 1학년때 공통으로 화학Ⅰ을 배웠다면 좀 덜하다.

5. 관련 문서


[1] 기계공학이나 전자공학은 화학의 비중이 적기 때문에 화공과 재공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2] 이라곤 했지만 사실 대부분의 개념이 화학1로 내려갔다. [3] 수능문제는 당연히 변별력을 위해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이나 가짜 단서를 넣어둔다. 시간 또한 빠듯하다 [4] 왜냐하면 생리학에서 산소-혈색소 해리곡선,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기체교환과정, 산-염기 평형 등이 매우매우 중요하게 나오는데, 이걸 모르면 고생한다. 특히 그 중 압권은 삼투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