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05 21:56:10

해주 최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사로 6촌 신라 6부 성씨 시조
알천 양산촌 급량부 이씨 알평
돌산 고허촌 사량부 최씨 소벌도리
취산 진지촌 본피부 정씨 지백호
무산 대수촌 점량부 손씨 구례마
금산 가리촌 한기부 배씨 지타
명활산 고야촌 습비부 설씨 호진
삼국사기 기준. #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김씨
신성태후
정안임씨
공예태후
경원이씨
인예태후
안산김씨
원성태후
당성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파평윤씨
윤관
해주최씨
최충
청주이씨
이자림
언양김씨
김취려
황려민씨
민영모
동주최씨
최유청
평양조씨
조인규家
횡천조씨
조영인
평강채씨
채송년
공암허씨
허재
}}}}}}}}}

신라 6성
고려 재상지종 15가문{{{#!wiki style="margin: -1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ece5b6>
파일:해주 최씨 종문.svg
海州 崔氏
해주 최씨
}}}
<colbgcolor=#988889> 관향 황해도 해주시
도시조 소벌도리(蘇伐都利)[1]
시조 최온(崔溫)
집성촌 서울특별시 중랑구
인천광역시 남동구
광주광역시
강원도 인제군· 홍천군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안성시· 파주시
충청남도 당진시· 홍성군, 천안시
전라북도 익산시
전라남도 고흥군· 담양군· 무안군· 보성군
전라남도 순천시· 영암군· 화순군
경상북도 문경시· 의성군· 칠곡군· 포항시
강원도 고성군
황해도 금천군· 신천군· 연백군
황해도 옹진군· 장연군· 해주군
평안남도 강서군· 개천군· 순천군· 용강군
평안남도 중화군· 평원군
평안북도 구성군· 박천군· 선천군· 용천군
평안북도 의주군· 자성군· 정주군
함경남도 신흥군· 안변군· 함주군
함경북도 경원군· 무산군· 회령군
인구 201,625명(2015년) | 국내 43위
링크 해주최씨대종회
1. 개요2. 연혁3. 항렬4. 분파5. 왕실과의 인척 관계
5.1. 고려5.2. 조선
6. 인명7. 고려 10대 갑족 (甲族)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해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관향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다. 여러 문형과 상신을 낸 고려의 10대 갑족(甲族)이며 최고의 명문을 뜻하는 삼한갑족(三韓甲族) 이기도 하다. 해주의 별칭인 대령 최씨(大寧 崔氏), 고죽 최씨(孤竹 崔氏)라고도 한다.

2. 연혁

시조 최온은 해주의 목민관으로서 백성의 어려움을 해결하였다고 전해지며 벼슬은 판이부사(判吏部事)에 이르렀다. 사후 아들 최충이 문하시중에 이르면서 태자태보(太子太保)로 추증됐다.

문헌공 최충(崔冲)이 출생할 때 다음과 같은 설이 있었다.
나라의 학문이나 예술이 일어날 것을 상징하는 규성(奎星, 이십팔수의 열다섯 번째 별)이 최온의 집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얻은 아들(최충)은 어려서부터 학문과 공부에 뛰어났다고 한다. 최충은 1005년(고려 목종 8)[2] 과거에 장원급제하며 출세했고,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3] 태사(守太師)[4]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5] 내사령(內史令)[6]에까지 이르러 가문이 크게 성장하였으며 후에 정종의 태묘에 배향되었다.

더불어 최충 고려의 명재상으로서 후의 고려 최고관직인 문하시중에까지 오르게 되고, 관직을 내려논 후에는 임금이 최충에게 지팡이와 방석을 내리었다. 최충은 시중최공도를 열어 후학을 양성하였으며, 이것이 나중에 고려의 유학열풍이 불어 사학 12도의 시조가 되었다.[7]

이 사학 12도에서 나온 유명 유학생들은 김부식, 윤언이, 정지상이 있으며 후에 고려 문벌귀족 가문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문화공 최유선은 최충의 장남이며, 아버지를 따라 고려국 문하시중에 임명되었다. 후에 문종의 태묘에 배향되었다.

최충의 차남 최유길은 관직이 대략 상서령에 올랐는데 한 가지 특징이 있다면 상서령은 종친에게만 수여되는 관직이나, 일반 신하에게 수여된 사례는 최유길이 섭상서령에 오른 경우를 제외한 그 어떠한 경우에도 수여되지 않았다.

충경공 최사추 인천 이씨의 경원군대부인(慶原郡大夫人) 이씨(李氏)와 혼인을 하게 된다. 그리고 최사추의 사위가 그 유명한 이자겸이다. 최사추는 후에 숙종의 태묘에 배향되었다. 어머니는 대원군대부인(大原郡大夫人) 박씨(朴氏)이다.
이자겸(李資謙), 문공미(文公美), 유인저(柳仁著)는 모두 최사추의 사위로서 그 문벌의 번성은 당대에 비길 데가 없었다.
고려사 최사추 열전.
고려시대 해주 최씨의 내력을 알 수 있는 기록. 고려시대 최고의 권신인 이자겸의 외가이며, 정주 류씨, 경주 김씨, 안산 김씨와 함께 문벌귀족 중에서도 문벌귀족이었다. 인종의 어머니인 문경태후 이씨의 어머니[8]가 해주 최씨의 최사추의 딸이었다. 해주 최씨는 고려에서 2번째로 많이 배향공신을 배출하였으며 자연스레 인종이 집권하게 되자, 이자겸의 장인어른 가문으로서 인천 이씨를 이은 2위 가문으로 등극하게 된다.

문화공 최윤의는 서경의 분사 장관과 중서문하성의 차관으로 임명되고 후에 의종의 태묘에 배향된다. 어머니는 강릉 김씨이며, 아내는 광산 김씨이다.
고려시대 종묘 배향공신 4명, 왕비 1명, 국대부인 1명, 문하시중 4명을 내었다. 문하시중은 고려시대에 두 번째로 많이 배출했으며[9], 배향공신도 두 번째로 많이 배출했다.

조선시대 과거급제자수: 262명 (문과 49명, 무과 46명, 사마시 161명, 역과 2명, 의과 2명, 율과 2명).
종묘 배향공신 1명[10]을 배출하였으며, 정승 3명[11], 찬성 2명, 청백리 3명[12]을 내었다. 다만 문묘 배향공신, 왕비는 배출하지 못하였다.
조선시대 최 씨 본관별 문과 과거 급제자 수로는 전주 최씨 다음으로 많다. 해주 최씨는 여말선초, 대부분 인물이 권문세족 출신 신진사대부 인물이 많았다. 실제로도 조선 건국 시 많은 인물이 위화도 회군에 가담하였으며 후에 조선 건국 후 회군 공신에 책봉되는 명예를 누렸다.

특히 여말선초 때의 해주 최씨의 대표적인 인물을 뽑으라면 당연 최만리라고 할 수 있겠다. 그는 집현전의 실질적 수장인 부제학으로서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에 대한 평가는 일제강점기 이후 김윤경에 의해 좋지 않았으나, 후대 현대에 와선 당시 시대 상황을 고려해 재평가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아지고 있다. 이후 세종조의 청백리로 선정되었으며, 황희, 맹사성과 같이 청백리의 우상으로 일컬여지고 있다.

중기에는 의병장 최경회, 좌찬성(후에 영의정 추증.), 한성판윤, 이조판서를 지내고 평난공신, 광국공신에 책록된 최황등이 가문을 빛내었다.

후기에는 해주 최씨의 유일 정승인 최규서(전한공파),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가 있으며, 조선시대 당파로 보면 서인 소론세력으로 볼 수 있다.

3. 항렬

● 해주 최씨는 각 파별로 독립된 항렬도를 사용한다. 참조 다음은 해주 최씨 대종가인 사정공파(司正公派)와 전한공파(典翰公派)의 항렬도이다.
● 세대 분포가 굉장히 광범위 한 가문이다. 동시에 10세손이 차이 나는 사람이 있을 정도. 현대에는 대략 29~37세손 정도에 분포한다.
28세 홍(鴻)◯ 29세 ◯직(稷) 30세 병(丙)◯ 31세 ◯규(圭)
32세 종(鍾)◯ 33세 ◯태(泰) 34세 지(智)◯ 35세 ◯인(仁)
36세 용(勇)◯ 37세 ◯신(信) 38세 의(義)◯ 39세 ◯일(一)
40세 춘(春)◯ 41세 ◯하(夏) 42세 정(廷)◯ 43세 ◯상(商)
44세 임(壬)◯ 45세 ◯원(元) 46세 형(亨)◯ 47세 ◯기(起)
48세 경(庚)◯ 49세 ◯규(揆) 50세 진(震)◯
28세 玉(구슬 옥) 변 29세 ◯석(錫) 30세 ◯부(溥) 31세 병(秉)◯
32세 ◯섭(燮) 33세 재(在)◯ 34세 ◯호(鎬) 35세 태(泰)◯
36세 ◯수(秀) 37세 영(榮)◯ 38세 ◯중(重) 39세 종(鍾)◯
40세 ◯영(泳) 41세 동(東)◯ 42세 ◯현(炫) 43세 규(圭)◯
44세 ◯옥(鈺) 45세 연(演)◯ 46세 ◯모(模) 47세 희(熙)◯
48세 ◯균(均) 49세 현(鉉)◯ 50세 ◯철(澈)

4. 분파

<rowcolor=#ddf700> 파명 파조
사정공파(司正公派) 최상기(崔尙淇)[14]
교리공파(校理公派) 최린(崔璘)[15]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최하(崔河)[16]
문정공파(文貞公派) 최숙(崔淑)[17]
집의공파(執義公派) 최승순(崔承順)[18]
대령군파(大寧君派) 최단(崔鄲)[19][20]
서운부정공파(書雲副正公派) 최용(崔鄘)[21]
전서공파(典書公派) 최용기(崔龍起)[22]
현감공파(縣監公派) 최각(崔塙)[23][24]
좌랑공파(佐郞公派) 최정(崔埥)[25]
생원공파(生員公派) 최당(崔塘)[26]
진사공파(進士公派) 최은(崔垠)[27]
전한공파(典翰公派) 최연(崔堧)[28]
현감공만현파(縣監公萬玹派) 최만현(崔萬玹)[29][30]
판사복시공파(判司僕寺公派) 최용(崔溶)[31][32]
승지공파(承旨公派) 최윤범(崔尹範)[33]
진사공윤망파(進士公尹望派) 최윤망(崔尹望)[34]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최효종(崔孝宗)[35]
진사공윤탁파(進士公尹卓派) 최윤탁(崔尹卓)[36]
좌윤공파(左尹公派) 최안덕(崔安德)[37][38]
감찰공파(監察公派) 최순(崔洵)[39]
사평공파(司評公派) 최제(崔悌)[40]
소윤공파(少尹公派) 최덕해(崔德海)[41][42]
전서공하파(典書公河派) 최하(崔河)[43]
해릉군파(海陵君派) 최빈(崔賓)[44]
봉산계(鳳山系) 최성민(崔聖敏)[45]
현감공우파(縣監公瑀派) 최우(崔瑀)[46]
복야공파(僕射公派) 최부(崔溥)[47]

5. 왕실과의 인척 관계

5.1. 고려

5.2. 조선

==# 분관 #==
출처:해주최씨대종회
해주최씨 시조 온(溫)의 증손(曾孫)이며 문헌공(文憲公) 충(冲)의 손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1921년 개성의 묘소가 발굴되어 지금은 광주박물관에 있는 묘비명에 "사전의 조부는 상약국직장 최철, 부친은 장작감 최정이며, 그 선조는 탐진현 사람"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잘못임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 의술(醫術)로 출사(出仕)하여 왕(王)의 신임을 받았다. 고려 인종(인종) 4년(1126) 조카사위 이자겸(李資謙 : 思諏의 첫째 사위)이 궁궐을 범하고 함부로 권세를 부리자 왕(王)과 협의하여 이자겸의 심복인 척준경(拓俊京)을 설득, 그를 제거하였다. 그 공(功)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병부상서(兵部尙書)가 되었다. 그후 승진을 거듭, 수태위 문하시랑 평장사(守太尉 門下侍郞 平章事)에 이르러 탐진백(耽津伯)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탐진(耽津 : 전남(全南) 강진군(康津郡)으로 하였다. 그러나 오랜 병화(兵火)로 인하여 그 소목계통(昭穆系統)을 고증할 문헌이 없어져 버렸다. 그리하여 사전(思全)을 시조로 하고 그 후손 중, 응규(應奎), 준량(俊良), 효로(孝老), 총(聰), 윤덕(允德), 홍건(弘建) 그리고 유각(有恪), 정원(井元), 심충(深忠), 승태(昇泰), 장보(章甫) 등을 중시조(中始祖)로 기일세(起一世)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다. 사전(思全)의 장남 변(弁)은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올랐고, 차남 열(烈)은 효인(孝人)이란 칭호를 왕으로부터 받았다. 또 중시조(中始祖) 응규(應奎)는 중서령(中書令)에 오르는 등, 탐진최씨 혈통을 이어 가문을 더욱 빛냈다.

 

해주최씨에서 분관(分貫)된 것으로 잘못 알려졌던 탐진(耽津) 최씨 시조 사전(思全)의 후손으로 조선 세종 때에 진의부위(進義副尉)에 올랐다. 탐진최씨 족보에 의하면 정원(井元)은 강진파(康津派) 중조(中祖)인 준량(俊良)계에 합보(合譜)된 것으로 나타나 있고 나주(羅州) 최씨 족보에는 그의 손자 금남공(錦南公) 부(簿)가 전남(全南) 나주(羅州) 출신으로 조선 성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호당(湖堂)에 뽑혀 사가독서(賜暇讀書) 한 후, 교리(校理)에 올라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왕명(王命)으로 표해록(漂海錄)을 저술하여 문명을 떨쳤다. 후손들이 충남 보령(保寧)과 청양(靑陽) 등지에 세거(世居) 하면서 금남공 부(簿)의 출신지 나주(羅州)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분적(分籍)했다고 한다. 대표적 인물로는 용운(龍雲)은 인조 때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냈고, 정순(廷洵)은 효종 때 형조참의(刑曹參議), 의현(毅鉉)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냈으며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낸 사권(事權)은 나주최씨의 가문을 더욱 빛나게 하였다.

시조: 최예립(禮立)
예립(禮立)은 조선 朝에서 사과(司果)를 역임했으며, 증 태자태보를 지낸 해주 최씨 시조 온(溫)의 21세손이다. 선대(先代)는 누대(累代)에 걸쳐 충남(忠南) 아산(牙山)에 세거(世居) 하였는데 예립(禮立)이 정주(定州) 지방으로 이사하면서 선조(先祖)의 고향인 아산(牙山)을 본관(本貫)으로 삼았다. 그의 손자 석창(碩昌)은 조선 朝에 충익위(忠翊衛)를 역임했고 석창의 아들 극준(克峻)은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시조: 최현(玄)
해주최씨 시조 온(溫)의 후손이다. 고려 朝에 평리부밀직사사(評理府密直司使)를 역임하였고 그의 손자(孫子) 유(濡)는 군부판서(軍簿判書)로 충숙왕(忠肅王) 복위 8년(1399) 조적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功)으로 성근익대협찬보정 일등공신(誠勤翊戴協贊保定 一等功臣)에 책록되고, 충정왕(忠定王)이 즉위하자 취성군(鷲城君)에 진봉되었다. 그후 공민왕(恭民王) 때 이르러 삼사사(三司使)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에 봉해졌는데 이에 후손들이 용궁(龍宮 : 경북(慶北) 예천군(禮泉郡) 용궁면(龍宮面)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계승하였다. 시조: 최경(京)
해주최씨 시조 온(溫)의 원손(遠孫 : 13세손)이다. 그는 조선 때 예조판서(禮曹判書)를 지내고 삭주(朔州)에서 경북(慶北) 청송으로 이주하여 청송(靑松)을 본관(本貫)으로 삼았다. 그의 아들 세걸(世傑)은 통훈대부 어모장군(通訓大夫 禦侮將軍)이 되었고, 그의 아들 팽령(彭嶺)은 참의(參議)를 지냈으며 인방(仁邦)은 중추부사(中樞府使)가 되어 가문을 중흥시켰다. 그 외 언상(彦祥)이 판관(判官), 덕항(德恒)은 효자(孝子)로서 유명하였고 응천(應天)은 부호군(副護軍)이 되어 이름을 날렸다.

6. 인명

신분과 직위를 넘어서 특정인물 강조표기 금지.

7. 고려 10대 갑족 (甲族)

고려조 에서 승상[49] 종묘 배향, 왕후 배출을 기준으로 삼아 선정. 물론 왕족 그 자체였던 개성 왕씨는 당연히 제외한다.
순위 성씨 승상 배향공신 왕후
1위 인천 이씨 10명 1명 8명
2위 해주 최씨 9명 4명 -
3위 남양 홍씨 당홍계 9명 2명 3명
4위 이천 서씨 4명 3명 1명
5위 구 안동 김씨 5명 - -
6위 안동 권씨 5명 - -
7위 파평 윤씨 4명 1명 1명
8위 광산 김씨 4명 1명 -
9위 정주 유씨 4명 3명 2명
10위 경주 김씨 4명 1명 1명

8. 관련 문서


[1] 모든 최씨(崔氏)의 도시조(都始祖)는 돌산 고허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 이며, 대종회에서도 도시조로 여긴다. # [2] 이때의 나이가 겨우 21~22세였다. [3] 고려 종 1품 문산계 품계. [4] 행수법에 따른 수직으로 태사는 천자의 스승이다. [5] 최고위 훈위. 명예직이다. [6] 명목상 내사문하성의 장관. 명예직이다. [7] 나중에 이것은 한국 사교육과 사립학교의 시초가 되었다. [8] 삼한국대부인 최씨. [9] 1위는 남양 홍씨(6명), 공동 2위는 인천 이씨, 해주 최씨, 경주 김씨(이상 4명)이다. 고려시대의 수상격인 문하시중, (도)첨의중찬, 도첨의시중, 도첨의정승 등을 모두 포함한 숫자이다. 최충, 최유선, 최사추가 문하시중을 지냈고, 최유엄이 도첨의중찬을 지냈다. [10] 최규서 [11] 최규서, 최황, 최효원 [12] 최만리, 최여림, 최경창 [13] 조선 임진왜란 당시 김시민과 함께 의병장으로서의 전투에 참여 하였으며 논개의 남편. [14] 시조 14세 [15] 시조 15세 [16] 시조 15세 [17] 시조 15세 [18] 시조 15세 [19] 시조 12세 [20] 여말선초의 무신. 조선건국에 참여하였으며, 박위와 함께 이성계가 주도한 위화도 회군에 가담하였다. 추후 개국공신 3등, 회군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21] 시조 12세 [22] 시조 12세 [23]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장남이다. [24] 시조 15세, 현감공파, 좌랑공파, 생원공파, 진사공파, 전한공파 모두 동일. [25]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차남이다. [26]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셋째 아들이다. [27]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넷째 아들이다. [28]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다섯째 아들이다. [29] 시조 14세. [30]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동생이다. [31] 시조 13세 [32]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숙부이다. [33] 시조 15세 [34] 시조 15세 [35] 시조 15세 [36] 시조 15세 [37] 시조 12세 [38]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종조부이다. [39] 시조 12세 [40] 시조 13세 [41] 시조 12세 [42]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종조부이다. [43] 시조 12세 [44] 시조 15세 [45] 시조 16세 [46] 시조 11세 [47] 시조 5세 [48] 최사추의 딸. [49] 삼사(三師) 삼공(三公),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삼사사(判三司事) 삼중대광(三重大匡) 중대광(重大匡)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중서령(中書令) 상서령(尙書令)등을 일컫음. [50] 해주 최씨의 외척으로 이자겸은 본래 최사추의 사위였다. [51] 비고: 고려 배향공신 배출자수 2위 성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