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부산항 북항부두와 뒤편의 부산광역시 시가지 |
수출에 매우 용이하기에 무역과 수산업에 있어서는 당연히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이 때문에 내륙 도시 또는 바다나 강을 끼고 있지만 인구과밀화가 심각하여 항구가 크게 성장하지 못한 대도시들은 대부분의 경우 해당 도시의 근처에 있는 수운(水運)이 가능한 큰 강의 옆이나 바닷가에 그 도시의 물류를 위한 부둣가를 건설했다. 시간이 흐르며 그 부두 주변에 상권이 형성되고 주택이 들어서며 이들은 항구도시로 발전했다. 이를 외항(外港)이라 한다. 이러한 도시들은 자체적인 중심을 가진 도시라기보다는 모체가 된 대도시의 부속도시로써 성장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렇기 때문에 도시 순위 인식에서 밀리는 부분도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의 요코하마시는 단순 인구만 따지면 기초행정구역인 시정촌 인구 2위를 차지하지만, 실상은 기능상으로나 위상으로나 도쿄도 내부의 단순 위성도시이지 일본 전체의 제2의 도시로는 잘 간주되지 않는다.[1] 한국에서는 인천광역시가 비슷한 사례로, 인구는 물론 경제력으로도 이미 대구광역시를 따돌린지 한참 되었으나 이 역시 60년대부터 태생적으로 서울특별시의 외항으로써 개발되었고[2], 국민들의 인식도 제3의 도시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데다가 정부의 행정코드(대구: KR-27, 인천: KR-28)나 의전서열은 대구가 인천보다 먼저 언급된다.
2. 목록
※ 수도일 경우 ★ 표시를 한다.※ 강, 운하에 있는 하항 도시는 ☆ 표시를 한다.
※ 호수에 있는 호수항도시는 ○ 표시를 한다.
해안지역에 있다고 해서 반드시 항구도시인 것은 아니다. 반드시 연안항급 이상 항만이 있는 지역만 등재할 것.
2.1. 대한민국
자세한 것은 항구 문서를 참조.- 부산광역시
- 인천광역시
- 울산광역시☆: 동해와 접한 도시지만 항만의 상당부분이 태화강, 외황강 하류에 있다.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 전라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2.2. 북한
- 평양시★☆: 내륙도시이지만 남한의 서울과 마찬가지로 서해갑문과 대동강 하구를 통해 1천톤급 선박이 통행할 수 있는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 신의주시☆
- 남포시☆
- 라선시
- 평안남도
- 순천시(평안남도)☆: 내륙도시이지만 평양과 마찬가지로 대동강 하구를 통해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 성천군☆: 내륙도시이지만 평양과 마찬가지로 대동강 하구를 통해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황해남도
- 강원도(북한)
2.3. 외국
2.3.1. 아시아
- 일본
- 가고시마시
- 가나자와시
- 가와사키시
- 고베시
- 고치시
- 구마모토시[4]
- 구레시
- 기타큐슈시
- 나가사키시
- 나가토시
- 나고야시
- 네무로시
- 누마즈시
- 니가타시
- 도야마시
- 도쿠시마시
- 도쿄★
- 돗토리시
- 마이즈루시
- 마츠야마시
- 무츠시
- 미야자키시
- 벳푸시
- 사세보시
- 사카이시
- 사카이미나토시
- 산요오노다시
- 센다이시
- 슈난시
- 시모노세키시
- 아오모리시
- 아키타시
- 야나이시
- 야츠시로시
- 오사카시: 오사카항
- 오이타시
- 오카야마시
- 오타루시
- 오타케시
- 오무타시
- 오무라시
- 오츠시○
- 왓카나이시
- 요코스카시
- 요코하마시
- 우베시
- 이와쿠니시
- 카라츠시
- 쿠다마츠시
- 타카마츠시
- 하기시
- 하츠카이치시
- 하치노헤시
- 하코다테시
- 호후시
- 후쿠오카시
- 휴가시
- 히로시마시
- 히카리시
- 중국
- 미얀마
- 양곤☆
- 방글라데시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태국
- 방콕★
- 필리핀
- 마닐라★
- 레바논
- 베이루트★
- 이스라엘
- 스리랑카
- 예멘
- 오만
- 이라크
- 파키스탄
2.3.2. 아메리카
- 멕시코
- 라사로 카르데나스
- 베라크루스
- 살리나 크루스
-
아카풀코 데 후아레스[10] - 프로그레소
- 페루
- 리마★
- 이키토스
- 도미니카 공화국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파나마
- 파나마★
- 푸에르토 리코
2.3.3. 유럽
- 벨기에
- 러시아
- 핀란드
- 헬싱키★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리가★
- 에스토니아
- 탈린★
- 우크라이나
- 이즈마일☆
-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 초르노모르스크
- 오데사
- 미콜라이우☆
- 헤르손☆
-
세바스토폴[크림병합이후_명목상] -
케르치[크림병합이후_명목상] - 베르댠스크
- 마리우폴
- 자포리자☆
- 드니프로☆
- 키이우★☆
- 몰타
- 발레타★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부르가스
- 바르나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2.3.4.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나이지리아
- 리비아
- 트리폴리★
- 모로코
- 세네갈
- 다카르★
-
소말리아 -
모가디슈★
- 알제리
- 알제★
- 앙골라
- 루안다★
- 케냐
- 콩고민주공화국
- 마타디 [21]
- 탄자니아
- 튀니지
- 튀니스★
- 스팍스
2.3.5. 오세아니아
2.4. 가상의 항구도시
- 리그 오브 레전드
- 스카이림
- Grand Theft Auto 시리즈
- 포켓몬스터
- 메이플스토리
- 소울워커
- 디플루스 호라이즌
- Caligula -칼리굴라-
미야바 시 (宮比古市)
[1]
일본에서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제2의 도시는
오사카이며, 이는 오사카가 요코하마를 경제력으로 앞서서 그런 것도 있다.
[2]
최근
송도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 등의 개발로 인해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데다가 기업을 제법 많이 유치했기 때문에 이를 이유로 인천을
부산과 같은 자족도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위 두 사례 역시 인천이 뚜렷한 특색이 있는 지역 중심지여서가 아닌,
서울의 높은 부동산 가격을 버티지 못한 기업이나 주택 거주자들이 그나마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기 때문에 서울에서 이주하여 인구가 늘어나는 것이라 서울의 영향력이 없다고 보기 힘들며, 어떻게 보면 오히려 서울을 등에 업고 발전한 위성도시이기에 이러한 인식이 더욱 우세하다.
[3]
원래
금강 하구에 면한 하항이었으나 금강 하구 퇴적으로 그 기능이 쇠퇴하면서 신항을 새로 만들었다. 기존의 항구는 내항으로 불린다.
[4]
본 시가지는 내륙도시이지만 시 끄트머리의 인공섬에 구마모토항이 있다.
[카스피해]
내륙국이지만,
카스피 해가 워낙
크고 아름다운 호수라서 자체 해운 체계가 있고
볼가-돈 운하를 통해 흑해등 다른 바다들과 연결되어 있다.
[6]
원래 해안국이었지만
1948년
이스라엘
독립이후부터
1965년까지 내륙국신세로 전락했다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영토를 교환하여 아카바 항구를 얻어내 해안국으로 돌아왔다.
[카스피해]
[카스피해]
[9]
1번, 2번 항목 모두 해당. 1번 항목의 경우, 해안지대까지의 거리가 80km 이상으로 다소 떨어져 있는 편이나 강을 끼고 있는 하항도시로, ☆에 해당한다.
[10]
예전에는 무역항으로 유명했지만 관광도시화되면서 무역기능을 상실했다. 무역기능은
라사로 카르데나스와
살리나 크루스로 이관.
[11]
지도에도 보이는 움푹 패인 부분이 바다가 아니라
라플라타 강이다
[12]
모스크바 운하와
볼가-돈 운하를 통해 항구도시가 되었음
[사실상]
[아시아_러시아에_속함]
[아시아_러시아에_속함]
[아시아_러시아에_속함]
[크림병합이후_명목상]
[크림병합이후_명목상]
[19]
중국의
두만강변
지린성
훈춘시
방천(팡촨)과 똑같은 지리적인 케이스로 1996년 이래로 국토 최남단 주르줄레슈티에서 450m에 존재하는 도나우강 강변에
항구를 건설하여 대외 무역에 이용하고 있다. 이곳도 원래는 우크라이나 영토였던 걸 2005년 영토 교환을 통해 얻어낸 곳으로, 그 이전엔 도나우 강 하류를 통해 흑해로 나가는 것조차 차단된 완벽한 내륙국이었다.
[20]
인접한
내륙국인
에티오피아가 임차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21]
콩고 강 하류에
대서양에 면한 항구도시로, 콩고민주공화국이 가지고 있는 매우 좁은 폭의 해안지역인데 폭이 약 40km(...) 정도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