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0:22:00

항갈라스

사하인들의 역사[1]
1. 개요2. 역사(항갈라스 토욘국)3. 영향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사하 공화국 남동부의 지역 및 사하인의 부족 일파이자 그들이 세운 나라( 준국가). 이 문서에서는 편의상 이들 부족과 지역 및 그들의 역사도 다룬다.

'한갈라스' 및 '칸갈라스' 또는 '캉갈라스(Каҥалас)'라고도 불린다.

2. 역사(항갈라스 토욘국)

시베리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대
고대 북유라시아인 고시베리아인 우랄계 제족들 퉁구스 흉노
중세
유연 돌궐 위구르 제국 예니세이 키르기스 몽골의 지배 킵차크 칸국 오고타이 칸국 차가타이 칸국 원나라
암흑의 지방
근세
시비르 칸국
사하
항갈라스 울루스
루스 차르국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작사
근현대
제정 러시아 러시아국 젤레나 우크라이나 극동 공화국 퉁구스 공화국 소련 러시아 }}}}}}}}}

항갈라스 부족을 비롯한 사하의 9개 이상의 울루스들은 주로 지금의 야쿠츠크 일대 등 주변 남부 일대를 포함하여 정착 및 이곳들을 다스렸으며, 서서히 사하 북부에도 진출하기도 했다. 1620년대에는 사하 공화국 남부 일대의 사하인들을 통합하려 했다. 결국 1625년, 트근 다르한이라는 영웅이 나타나서 남부 지역에 한정하여 사하인들을 통합시켜서 항갈라스 토욘국(Khangalas Toyonate)를 세웠다.[2] 이후 사하인들 뿐 아니라 기존의 토착민이기도 했던 퉁구스 민족들을 사하 남부에서 쫓아내기도 했었으며 그 외, 퉁구스족, 유카기르, 사모예드족 등 주변 민족들이 있는 곳들도 점령 및 복속시켜 사하 연맹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1628년 루스 차르국 코사크 및 루스 차르국 군대들이 사하까지 처들어간다. 사하인들은 루스 차르국 군사들과 맞서 싸웠으나 총으로 무장했던 루스 차르국 군대들의 상대가 되지 못했으며 결국 1632년 사하를 멸망시켰다.

3. 영향

그러나 이후에도 반러 저항운동 및 반식민지 운동이 일어났으며, 대표적으로 1633년 및 1634년까지의 봉기, 1636년부터 1637년까지 한 번 더 항갈라스 울루스를 계승한 세력들의 부흥운동들이 나타났다. 그 외에 1639년과 1640년, 1641년, 1642년까지도 여러 반란, 봉기들이 일어났다.
현대에는 야쿠츠크나 주변 일대에는 '항갈라스'라고 불리는 지명 및 마을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사하 공화국의 행정구역 중 '항갈라스키 울루스(Хангаласский улус)'라는 구역이 있으며[3], 야쿠츠크에도 '칸갈라스(Кангалассы)'라 불리는 소구역이 2004년부터 편입되었다.[4]
같은 이름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메기노-칸갈라스키(Мегино-Кангаласский)'라는 울루스도 있으며 한갈라스키 울루스 동쪽에 있다.

4. 여담

척박하고 인구가 많지 않은 북아시아 동부 지역에서 반쯤에 가깝긴 했지만 드물게 준국가로서 존재했다.[5]

기존의 튀르크계 민족들이 유목이었는데 비해 항갈라스 및 사하 공화국(자치국)을 세운 사하인들은 예로부터 경제적으로 수렵채집사회 어로가 주된 사회였으며[6], 종교도 텡그리 신앙을 유지하는 몇안되는 튀르크 민족에 해당되는 등 문화적으로도 달랐다.[7]

한 편 항갈라스 부족들이 중앙아시아 북부의 호라즘부터 볼가 강까지 활동했던 캉글리족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러시아어 논문.

다른 북방민족들처럼 항갈라스 부족들도 수리과 동물을 신성시여겼으며 신화에도 언급이 되고 있다. #

사하인들이 세운 왕국이어서 그런지 이를 기념하여 이 이름을 단 산업단지도 있다. #

5. 관련 문서



[1] 영상을 보는 법: 거꾸로 흘러가고 있으며, '야쿠트 연맹(confederation of yakuts)' 또는 '사하 토욘국(sakha toyonate)'이라고 쓰여져 있는게 항갈라스 부족도 있었던 시기다. [2] '토욘(Toyon)'은 17세기부터 사하 일대의 지배 귀족들을 가리키는 호칭으로서, 몽골족의 '노얀(Noyan)'과 비슷한 개념이다. [3] 중심 도시는 포크롭스크. [4] 참고로 사하 공화국에는 항갈라스 뿐 아니라 그 외 주요 씨족 및 부족 이름들로 불리는 지명들도 많다. [5] 겨울에는 지리상 당연히 워낙 춥고, 라스푸티차 등 겨울이 지나 봄 후기가 되면 본격적으로 동토가 녹아 진흙이 되는 등 자연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살만한 곳이 되지 못해서 교통 등이 불편했고 이 점 때문에 북아시아 동부에는 나라가 세워질 조건들이 불리해서 나라들이 많지 않았다. 당장 항갈라스만 해도 부족들은 통합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나라로 갖추긴 애매했다. [6] 유목을 아예 안한건 아니지만 워낙 춥기에 유목만 하기에도 한계가 있었고 그래서 순록을 방목하거나 다른 동물들도 사냥하는 수렵채집문화 및 어로가 발달되었다. [7] 물론 러시아의 지배를 받으면서 정교회를 받아들였지만 어디까지나 식민지배 이후로 영향을 받은거였지, 전통적으로는 샤머니즘이나 텡그리 신앙을 믿었고, 지금도 이 전통종교들이 유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