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01 16:35:23

탈레반/2022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탈레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아프가니스탄
,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
,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0100><colcolor=#fff> 배경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전개 탈레반의 공세 ( 반응 · 탈레반의 재집권 · 탈레반/2022년 · 탈레반/2023년) · 대규모 철수 ( 미라클 작전) · 내전
내전 상황 2021년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 2024년
장소 카불 · 바그람 공군기지 · 카불 국제공항 · 판지시르 · 바자라크
단체 탈레반 · 탈레반 과도정부 · 미군 · 파키스탄군 · ISI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인물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시라주딘 하카니 · 하미드 카르자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마수드 · 하시브 판지시리 · 압둘 가니 알리푸르 · 이스마일 칸 · 압둘 라시드 도스툼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슈라프 가니 · 압둘라 압둘라
파일:미국 국기.svg 조 바이든 · 토니 블링컨 · 로이드 오스틴
사건·사고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


1. 개요2. 1월
2.1. 1월 1일2.2. 1월 4일2.3. 1월 5일2.4. 1월 7일2.5. 1월 8일2.6. 1월 15일2.7. 1월 19일2.8. 1월 21일2.9. 1월 24일2.10. 1월 30일
3. 2월
3.1. 2월 2일3.2. 2월 6일3.3. 2월 7일3.4. 2월 15일3.5. 2월 16일3.6. 2월 17일3.7. 2월 18일3.8. 2월 19일3.9. 2월 27일
4. 3월
4.1. 3월 2일4.2. 3월 18일4.3. 3월 23일4.4. 3월 24일4.5. 3월 28일4.6. 3월 29일
5. 4월
5.1. 4월 16일5.2. 4월 19일5.3. 4월 25일
6. 5월
6.1. 5월 5일6.2. 5월 7일6.3. 5월 10일6.4. 5월 12일6.5. 5월 17일6.6. 5월 24일
7. 7월
7.1. 7월 1일
8. 8월
8.1. 8월 1일8.2. 8월 3일8.3. 8월 13일8.4. 8월 15일
9. 9월
9.1. 9월 1일9.2. 9월 16일9.3. 9월 28일
10. 10월
10.1. 18일
11. 11월
11.1. 10일11.2. 14일
12. 12월
12.1. 20일12.2. 24일12.3. 26일

[clearfix]

1. 개요

탈레반 치하 아프가니스탄의 2022년 내용을 정리한 문서.

2. 1월

2.1. 1월 1일

탈레반 정권이 매매혼을 금지했지만, 경제난에 매매혼이 성행하고 있다. #

2.2. 1월 4일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정부 대변인은 아프가니스탄 현지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에서 '자살폭탄 부대'를 정규군으로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

탈레반 정권이 술을 압수해 술판매 및 마시는 행위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

2.3. 1월 5일

헤라트시에서 탈레반이 마네킹의 머리 부분을 떼어내라는 지시를 내렸다. #

2.4. 1월 7일

압둘 가니 바라다르가 국제사회에 편견없이 아프간 지원을 호소했다. #

2.5. 1월 8일

권선징악부가 카불의 카페와 상점에 히잡을 쓰라는 포스터를 붙이는 조치를 취하고 있어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

2.6. 1월 15일

탈레반이 헤라트와 발흐의 여성들이 공중목욕탕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명령했다. #

탈레반측이 3월 21일부터 여학생들의 등교를 허용하되 학교에서 여학생들을 분리하는 교실을 신설하는 것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

2.7. 1월 19일

물라 모하마드 하산 아쿤드 탈레반 총리는 카불에서 경제난과 관련해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정권 인정을 호소했다. #

탈레반의 모하메드 나임 대변인은 하자라족 여성을 살해한 탈레반 대원을 체포했고 유족들에게 60만아프가니(약 680만원)의 위로금이 지급될 것이라고 밝혔다. #

2.8. 1월 21일

탈레반이 여성운동가의 자택을 잇달아 급습해 시위 관련자들을 체포했다. #

2.9. 1월 24일

탈레반은 오는 3월 21일부터 남녀 모든 연령대의 학생에게 학교가 재개방될 것이라고 밝혔다. #

2.10. 1월 30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100명이 넘는 아프간 전 관리, 군인과 국제 연합군 협력자가 살해된 것으로 파악됐다. #

3. 2월

3.1. 2월 2일

탈레반의 고위급 간부 압둘 가니 바라다르 중국 외교부 왕이와 만났다. #

3.2. 2월 6일

탈레반은 이웃국가로 탈출한 조종사 5명이 귀환했다고 밝혔다. #

3.3. 2월 7일

탈레반이 재집권한 뒤 아프간내에서 알카에다, 다에쉬 등 테러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는 유엔 보고서가 나왔다. #

3.4. 2월 15일

탈레반이 동결된 자국의 해외자산 일부를 9.11 테러의 희생자 유족 배상에 사용하려는 미국 정부의 조치를 거듭 비난했다. #

3.5. 2월 16일

탈레반은 11만 정규군을 창설하고 필요시 증원한다고 밝혔다. #

3.6. 2월 17일

바다흐샨주 나시 지역에서 불륜을 저지른 남녀가 샤리아 법정에서 투석형에 처해져 사망했다. #

3.7. 2월 18일

우물안에 빠져 3일간 갇혀있던 3세 소년이 사망했다. #

3.8. 2월 19일

탈레반 정권이 미국과 영국 출신 민간인들을 구금하고 있다고 밝혔다. #

3.9. 2월 27일

자국민의 해외 대피를 당분간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

4. 3월

4.1. 3월 2일

국내외 비난 속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다. #

4.2. 3월 18일

탈레반이 남녀 교육을 허용하지만, 여학생들은 여교사에게만 수업을 받는다고 밝혔다. #

4.3. 3월 23일

탈레반이 갑자기 입장을 바꿔 여학생들의 등교를 막은 일이 발생했다. # 이에 국제사회는 탈레반 정권을 비판했다. #

4.4. 3월 24일

남성 보호자 미 동행 여성의 여객기 탑승까지 금지했다. # 게다가 놀이동산조차 남녀분리 실시한 것이다.

4.5. 3월 28일

전 세계의 언론매체 송출을 막았다. #

4.6. 3월 29일

공무원의 턱수염을 의무화했다. #

5. 4월

5.1. 4월 16일

탈레반은 파키스탄군이 국경을 공습해 아프간인 수십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

5.2. 4월 19일

카불시에서 연쇄폭탄테러가 일어났다. #

5.3. 4월 25일

탈레반 정부 고등교육부는 카불대 등에 공문을 보내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의 등교일을 분리하라고 지시했다. 공문에서 여학생은 토요일, 월요일, 수요일, 남학생은 일요일, 화요일, 목요일에 등교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6. 5월

6.1. 5월 5일

이슬람 성직자들이 여학교를 다시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6.2. 5월 7일

모든 여성들에게 외출 시 차도르를 강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

6.3. 5월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탈레반의 부르카 착용 강요와 관련된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

6.4. 5월 12일

부부의 식사 동석까지 금지하는 조치를 했다. # 그러나 이틀 만에 폐지했다. #

6.5. 5월 17일

인권위원회, 국가화해최고위원회(HCNR), 국가안보위원회 등 구 정부 내 조직 5곳을 해산했다. #

6.6. 5월 24일

탈레반이 19일부터 여성 앵커들의 얼굴을 가리라는 지시를 내리자, 남성 앵커들이 항의의 표시로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고 있다. #

7. 7월

7.1. 7월 1일

탈레반이 카불 기술대에서 3,000명이 모인 지도자 회의를 개최했다. #

8. 8월

8.1. 8월 1일

탈레반 집권 1년이 지났지만, 아프간 국민들이 탈레반의 폭정과 가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기에다 아프간 여성들의 부르카 강제 착용까지 존재했다. #

8.2. 8월 3일

알카에다의 2번째 지도자인 아이만 알자와히리가 탈레반의 고위 지도자인 시라주딘 하카니의 보좌관이 소유한 집에 머물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탈레반이 알카에다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8.3. 8월 13일

카불에서 여성 인권 향상을 요구하는 시위가 발생 했으나, 탈레반이 무력 해산했다. #

8.4. 8월 15일

탈레반이 재집권을 한지 1년이 되었고, 경제파탄, 대중문화 탄압, 아프간 여성들에 대한 인권 억압이 심각해졌다. # 그리고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

바이든 행정부가 70억 달러 규모의 아프간 동결 자금을 해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

9. 9월

9.1. 9월 1일

미군 철수 1주년 기념으로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했다. 열병식도 진행했다. # 바그람 공군기지에서 진행했는데, 스커드 미사일도 선보였다. #

9.2. 9월 16일

미국이 아프간 동결 자금으로 구호재단을 출범시키자 탈레반이 반발했다. #

9.3. 9월 28일

탈레반이 러시아로부터 휘발유, 가스, 밀 등을 잠정 수입하기로 했다. #

10. 10월

10.1. 18일

주 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 국경일 행사에 탈레반 인사를 초청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탈레반 정권이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국제사회의 오해를 살 수 있는 일이지만, 외교부는 대사관 측의 '단순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

11. 11월

11.1. 10일

탈레반 정권이 여성들의 공원 출입마저 금지시키기로 밝혔다. #

11.2. 14일

탈레반이 여성들의 헬스장 출입마저 금지시켰다. #

12. 12월

12.1. 20일

탈레반이 여성 대학교육을 금지시켰다. #

12.2. 24일

국내·외 구호단체의 여성 자원봉사자 활동도 금지했다. #

12.3. 26일

아프간의 한 교수가 탈레반의 여성 억압 정책에 항의해 석사, 박사 학위 증서를 찢었다.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