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13:36:43

저격능선 전투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 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950년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1. 개요2. 전투 전 상황3. 전투 경과
3.1. 10월 14일3.2. 10월 15일3.3. 10월 16일3.4. 10월 19일3.5. 10월 20일3.6. 10월 23일3.7. 10월 24일3.8. 10월 25일3.9. 10월 29일3.10. 10월 30일3.11. 10월 31일3.12. 11월 1일3.13. 11월 5일3.14. 11월 24일
4. 기타

1. 개요

6.25 전쟁이 한창인 1952년 10월 4일부터 11월 24일까지 국군 2사단과 미 7사단이 중공군 45사단과 29사단에 대응해 강원도 김화군에서 치른 고지전.

참고로 해당 항목에선 삼각고지 전투도 병합해 다루는데, 이는 삼각고지가 저격능선과 인접한데다 이후 저격능선을 담당한 국군 2사단에게 인계되고 얼마 안가 상실하기 때문이다.

2. 전투 전 상황

1952년 10월 김화의 중공군은 아군 전초진지를 향해 대대적인 공격을 실시했고, 평소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능선에서 저지대의 아군 진지들을 감제하다 심심하면 포격 및 저격으로 아군들을 괴롭혔다. 특히 능선 좌측의 돌바위 진지에서 100여미터 가량 떨어진 538고지의 미군 진지를 수시로 저격해 사상자를 늘렸는데, 이로 인해 해당 능선이 저격 능선(Sniper ridge)으로 이름붙여졌다. #

한편 미8군사령관은 피해가 계속되자 아군이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고 판단해 저격능선 및 이와 이어진 오성산을 향한 소규모 선제공격을 계획하며 이를 쇼다운(Show down) 작전으로 명명한다. 이에 미7사단이 저격능선 서쪽 삼각고지[1]를, 국군 2사단은 저격능선 우측 고지군을 맡았는데, 공세 및 반격에 대비하기 위해 기존 17, 31, 32연대에 30, 37 연대를 증원시키고, 포병대대 16개로 공세를 준비한다.

한편 중공 15군은 오성산 일대에 3개 사단을 배치했고, 그 중 삼각고지와 저격능선을 맡은 45사단은 400~538m 높이의 저격능선에 중대 하나를 배치한 뒤 유사시 증원을 시킬 수 있게 해놓았는데, "상감령(上甘嶺, 삼각고지-저격능선)을 잃게 되면 유엔군은 높은 지형에서 아래를 바라보게 되어 우리(중공군)는 평강평원에서 버티기 힘들다"는 논리로 사수에 필사적이었다.

3. 전투 경과

파일:2018=삼각고지-저격능선`쥐이이이~도.jpg 출처[2]

3.1. 10월 14일

오전 5시 국군 9개 포병대대가 공격준비사격을 한 뒤 국군 32연대 3대대가 돌격하였으나, 돈좌되었다. 이후 1시 40분에 국군 9개 포병대대에 미군 전폭기 6개 편대가 가세된 공격준비사격으로 중공군 진지들을 때려부순 뒤 3대대가 재차 돌격해 저격능선 점령에 성공한다.

이후 돌바위와 Y고지에 2개 중대를, A고지에는 3개 중대를 배치해 적의 역습에 대비했으며, 이들의 예상대로 중공군은 야간에 Y와 A고지를 향해 공세를 펼쳐 두 고지가 탈취되고, 3대대 전술지휘소까지 털렸다.

이 와중 예비대로 대기하던 국군 17연대 2대대가 돌바위 고지를 엄호했다.

한편 미 7사단 31연대도 오전 6시 2개 대대를 동원해 삼각고지를 공격했으나 적의 거센 저항 앞에 돈좌되고 만다.

3.2. 10월 15일

미군 전폭기의 폭격에 힘입어 오후 2시 30분 국군 17연대가 A고지를 재탈환했고, 이에 중공군은 야간 기습을 시도했으나 실패한다.

3.3. 10월 16일

새벽 중공 133연대 2개 대대가 후속 공격을 감행하나, 이조차도 돈좌되자 135연대는 Y고지를 거점으로 양 고지를 공격하여 우선 A고지를 탈취한다.

한편 삼각고지를 맡은 미 7사단도 남쪽 598고지를 점령 후 서북쪽의 파이크봉 일대에서 접전을 이어가고 있었다.

3.4. 10월 19일

이 무렵 미 7사단은 가까스로 탈취한 파이크봉을 다시 잃고 만다.

3.5. 10월 20일

오전 8시, 국군 32연대와 임무교대한 17연대가 1대대를 A고지를 향해 세차레 돌격시켰으나 모두 돈좌되었다. 하지만 11차례의 항공지원으로 진지들을 때려부수고 11시 A고지 점령에 성공한다. 하지만 중공군은 A고지를 포기할 생각이 없었고, 쟁탈전이 이어진다.

3.6. 10월 23일

일몰 무렵, 삼각고지를 향해 중공군의 공격준비사격이 실시되었고, 오후 7시부터 삼각고지를 향한 중공군의 공세가 시작되어 삼각고지의 미군들이 밀려나기 시작했다.

한편 미 7사단 32연대에 배속된 에티오피아 강뉴대대(통칭: 강뉴부대 1기)에도 중공군 2개 중대가 들이닥쳐 진지 일부가 피탈당했으나 대대장은 위치 사수 명령 후 진내사격을 불사했고, 오후 10시경 예비중대를 증원시켜 가까스로 격퇴했다.[3]

3.7. 10월 24일

새벽 3시 중공군의 피해와 피로가 아직 남아있는 틈을 타 미 7사단 32연대가 삼각고지를 재탈환했다.

3.8. 10월 25일

미국 언론이 '큰 의미도 없는 전투에 많은 미군이 죽어가고 있다'고 보도하는 바람에 삼각고지를 담당중인 미 7사단은 국군 2사단 31연대에게 진지와 물자들을 인계하고 물러나야 했다.

한편 국군 2사단 입장에선 미군 물자와 진지들을 인계받아 당장은 풍족하겠지만 어쨌거나 담당범위가 배로 넓어졌기에 마냥 좋지만은 않았다.

3.9. 10월 29일

이 무렵 저격능선을 맡은 국군 32연대 3대대가 점령에 성공한 뒤 적의 탈환 시도를 돈좌시켰으나 이후에도 쟁탈전이 이어졌다.

한편 이 날 중공군 측에선 45사단과 29사단 간의 임무교대가 있었다.

3.10. 10월 30일

삼각고지를 완전히 장악하려는 중공군 29사단의 대대적인 반격에 이곳을 인계받은 국군 31연대는 삼각고지를 상실하게 된다.

3.11. 10월 31일

상황이 이렇게 되자 국군 9사단 30연대가 국군 2사단에 배속된다.

3.12. 11월 1일

국군 30연대가 삼각고지를 탈환하려 했으나 병력 손실만 입고 물러나야 했다.

3.13. 11월 5일

저격능선도 위태로운데, 삼각고지에서 계속 손실만 입자 미9군단장은 국군 2사단에게 삼각고지와 Y고지를 포기하고 저격 능선에만 집중하라고 명령한다.

3.14. 11월 24일

자정 무렵 중공군 2개 중대가 제압 포격 속에서 32연대 11중대가 지키는 A 고지로 올라오자, 수류탄들을 4박스(박스당 20개) 이상 아낌없이 밑으로 던져 격퇴했고, 오전 9시쯤 ( 백마고지 전투를 치르고 온) 국군 9사단 병력들이 진지들을 맞교대하러 올라오고 2사단은 백마고지로 향함으로 2사단의 분투는 일단락됐다.

그리고 중공군 역시 계속된 쟁탈전에 지쳐 이 이후로는 A와 돌바위 고지를 향한 공세를 하지 않음으로서 해당 전투는 막을 내렸지만 능선 하나를 두고 생겨난 사상자 수에 비해 당초 목적했던 고지의 절반만 점령하는 데 그쳤다.

게다가 이 고지들은 1953년 7월 13일을 전후해 전개된 중공군의 마지막 ‘7·13공세’( 금성 전투)로 피탈당해 휴전선 북방 비무장지대로 들어가고 말았다.

4. 기타


[1] 참고로 삼각고지는 단일 고지가 아닌 남쪽의 598고지와 북서쪽의 파이크봉, 북동쪽의 제인 러셀봉으로 이루어진 역삼각형 고지군이다. [2] 오규열, ‘중공군의 상감령 전투에 대한 재평가’, <군사> 46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3] 이후 걍뉴대대는 물러서지 않고 위치를 사수한 공을 인정받아 미 9군단장과 미 7사단장으로부터 감사서한을 받았다. [4] 국군은 1만4000여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5] 국군 4800, 미군 3000여명 가량으로 합치면 많아야 8000여명 정도밖에 안된다. [6] 게다가 이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그 측근들은 이 노래에 대해 아는게 없어 함께 박수쳤지만, 직후 이 노래를 아는 이들에 의해 이게 과연 양국 행사에서 연주될 만한 곡인지, 대통령 자질 등 각종 논란에 휩싸이게 된다. [7] 다만 성공 기준이 저격 후 15분동안 움직임이 없는 것이고 공산권이 부풀리기를 잘 하다 보니 진위 논란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