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00:55:30

장원

1. 장원 급제
1.1. 장원 급제자
1.1.1. 조선 시대 가문별 목록1.1.2. 개별 문서 존재1.1.3. 가상 인물
1.2. 과거 시험 전시 갑과 급제자 순위의 하나1.3. 시문 평가 등급의 하나
2. 농업과 토지 형태의 한 종류3. 제갈량의 저서라 추정하는 작품4. 인명
4.1. 동명이인
5. 애니메이션

1. 장원 급제



과거 제도 가운데 대과(大科)의 문과 전시(殿試)에서 갑과(甲科)에 수석으로 합격하는 일. '장원급제'는 오직 문과에만 사용하는 표현으로 무과와 잡과에는 장원 급제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무과에 첫째로 급제한 자는 '무괴(武魁)'라고 한다. 또한, 차석(2위)로 급제한 사람은 방안(榜眼), 또는 아원(亞元)이라고 부르는데, 역시 갑과에서의 급제만 해당됐다.

1.1. 장원 급제자

1.1.1. 조선 시대 가문별 목록

1.1.2. 개별 문서 존재

1.1.3. 가상 인물

1.2. 과거 시험 전시 갑과 급제자 순위의 하나

전시 갑과 급제자 순위
장원(壯元) 방안(榜眼)고려 | 아원(亞元)조선 탐화(探花)

1.3. 시문 평가 등급의 하나

전통의 시문 평가 등급
장원(壯元) 차상(次上) 차하(次下) 참방(參榜)
차상(次上) 차중(次中)

현대의 시문 평가 등급
장원(壯元) 차상(次上) 차하(次下) 참방(參榜)
가작(佳作) 장려(奬勵) 입선(入選)

2. 농업과 토지 형태의 한 종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원(농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장원(莊園).

3. 제갈량의 저서라 추정하는 작품

將苑
처음에는 신서(新書)라 불렸으나 명나라에는 심서(心書), 그리고 청나라에 와서 장주가 장원이라 불린 저술물이다. 남송의 우무(尤袤, 1127 ~ 1194)가 지은 '수초당서목(遂初堂書目)'에서 처음 책 이름이 등장한다. 송사 예문지에는 장원 1권이 보인다.이후 명나라 왕사기(王士琦)가 편찬한 제갈량집(諸葛亮集)에 전문으로 등장한다.
처음부터 장원(將苑)이라 불리지 않고 본래 신서(新書)로 불렸으나 명나라 이몽양(李夢陽, 1475 ~ 1529)이 심서(心書)로 불렀고 청나라 장주(張澍)가 장원(將苑)으로 부른 이후 현재까지 장원으로 불리고 있다.

장원은 총 50편 5,000자 분량으로 장수의 덕목, 재능, 용병, 지략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 그 내용은 삼국시대 이전의 장수론이 주를 이룬다.

이전까지는 언급되지 않다가 명나라의 왕사기가 20권으로 구성된 무후전서를 편찬했을 때 처음 등장했는데, 진수의 제갈량집이나 그 이후의 역사서에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위서라 의심되는 작품이지만, 그렇다고 위서라는 명확한 증거도 없는 상태이고 장원의 내용이 제갈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여겨지기도 하여 위서란 심증은 있으나 진서라는 주장도 존재하는 상태이다.

고금위서고나 사고전서총목제요의 경우 이 책을 손자, 오자의 말을 빌리고 속된 말을 덧붙여 넣었을 뿐이라며 위작으로 보는 편이다.

4. 인명

대한민국, 중국에서 사용하는 인명.

4.1. 동명이인

5.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원(NOIR(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김수항의 현손 [A] 김수항의 내손 [A] [4] 성대중은 이가환, 노긍과 함께 심익운을 조선 후기 천재 문인으로 꼽았다. [5] 이이가 9번의 장원급제를 하여서 구도장원공의 소리를 들은 이유는 대과 전시에서 장원급제를 9번해서 그런것이 아니라 중간과정에 있는 시험까지 포함하여(예를 들어 초시 3단계, 중시 3단계) 1등을 9번해서 그런 것이지 실제로 대과 최종시험 장원급제는 단 1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