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0 21:19:10

자포니카

🌾 곡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afafa,#000> 곡류 강아지풀 () · 귀리 · 기장 · ( 듀럼 · 호라산밀) · - ( 자포니카 · 인디카) · 보리 · 사탕수수 · 수수 · 옥수수 · 율무 · · 테프 · 포니오 · · 호밀
협과 강낭콩 · 녹두 · 대두 · 동부 · 땅콩 · 렌틸 · 병아리콩 · 서리태 · 완두 · 작두콩 · ·
아곡류 메밀 · 아마란스 · 치아 · 퀴노아
그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정 정도 백미 현미
품종 범주 자포니카 인디카
세부 찹쌀 흑미 통일미 새누리
추청벼 고시히카리 그 외
가공품 찐쌀 튀밥 쌀가루 쌀겨
관련 요리 : 밥 요리, , ,
}}}}}}}}} ||

1. 개요2. 상세3. 현황

1. 개요

( 영어) Japonica rice
( 학명) Oryza sativa japonica

자포니카 쌀(Japonica-일본종)[1]의 품종 중 하나의 명칭으로, 모양새가 둥글고 굵은 단 중립형 쌀로 분류된다.

학명과는 별개로 자포니카 쌀은 상고시대에 중국 화남 지역에서부터 재배하여 먹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금 이 지역은 인디카 쌀을 주로 먹고, 오히려 나중부터 먹기 시작한 중국 북부 지역 일부와 한국 및 일본에서 아직까지 자포니카쌀을 먹는다.

쌀 재배의 기원은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 현재 발견된 것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는 대한민국 청주시에서 발굴된 소로리볍씨라고 한다. 또한, 현대인이 먹는 주요 품종인 인디카나 자포니카 품종의 쌀과는 유전적 차이가 꽤 있다. 재배벼의 특징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재배벼라 단정할 순 없고, 재배벼와 야생벼의 중간단계인 순화벼라 분류하는게 맞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때문에 최초로 '벼를 재배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쌀의 기원'으로선 현재로선 소로리 볍씨가 맞다.

영어권에선 주로 끈적거리는 쌀이라는 의미에서 'sticky rice' 혹은 스시를 만들 때 쓰는 쌀이라는 의미로 'sushi rice'라는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한다.

2. 상세

자포니카 쌀은 한국, 일본, 대만[2]에서 주로 소비가 되며, 중국 북부, 이집트, 유럽 등지에서도 소비가 된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쌀 중 15% 가량이 자포니카 쌀이다. 나머지 85%는 인디카 쌀이다. OECD 자료

한때 한반도에서는 본래 인디카 품종을 주로 먹었다는 정보가 있었으나, 사실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소로리 볍씨 등 한반도에서 출토된 고대 볍씨 화석부터가 이미 자포니카 계열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미 조선 시대 때부터 주먹밥을 먹은 기록과 문학 작품들이 나타나는데, 찰기가 없는 안남미 계열이었으면 주먹밥 형태로 뭉쳐서 먹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자포니카 쌀은 다른 주요 쌀 품종인 인디카(Indica-인도종)에 비해 짧고 둥글다. 쌀은 기본적으로 90% 이상 전분으로 구성되는데, 자포니카 종은 전분 중 아밀로오스의 함량이 인디카에 비해 낮기 때문에 인디카에 비해 더 찰지며, 윤기가 더 난다. 무게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존재하나, 인디카는 낱알 1천개의 무게가 25g 전후인 반면, 자포니카는 19-23g 가량이다.

3. 현황

한국, 일본, 대만 등은 MMA(최소시장접근) 조치에 의해 자포니카 쌀 생산국으로부터 의무적으로 일정량 이상을 매년 수입하여야 한다.

주요 수출국의 경우 중국, 호주 등은 자포니카 쌀 농업에 대한 국가 보조금이 거의 없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쌀 농업수입의 50%에 달하는 보조금이 주어진다. 쌀 수출국과 수입국은 쌀 무역 진흥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한국은 MMA 방식으로 최소 수입을 하는 대가로, 2004년 WTO 협의에서 자포니카 쌀을 비롯한 쌀 시장 개방을 2014년까지 10년을 추가로 유예받았다.

한국 정부의 경우, 국내의 낮은 쌀 농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인프라와 농업 보조금 등을 지원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총 농업 분야 진흥에 대한 정부 지출 총액은 15년간 130조원에 이른다고 한다.

이후 한국은 외국산 쌀에 대하여 513%의 관세를 적용해 관세화 개방한 상태이다.[3]

한국은 1980년대 초반 냉해로 쌀생산에 타격을 받았을 때 자포니카쌀 확보가 쉽지 않아 큰 고생을 한 경험이 있다. #

[1] 관습적으론 학명 Japonica를 '자포니카'라 부르지만 엄밀하게는 자포니카가 아닌 '야포니카'로 읽어야 옳다. 그 이유는 학명은 영어가 아닌 라틴어이고 라틴어의 j는 모음 앞에서 반모음 [j\]로 읽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j를 반모음처럼 읽는 독일어도 Japan을 자판이 아닌 야판으로 읽는다.) [2] 원래는 아열대- 열대 국가답게 안남미를 주로 먹었다. 자포니카를 먹게 된 건 대만일치시기 시절 일본 문화의 전파와 국공내전 이후 피난 온 북방 지역 외성인 문화의 영향으로 먹게 되었다. 단 남방 지역 외성인들의 요리인 절강 요리, 강소 요리, 상해 요리, 안휘 요리, 광동 요리, 복건 요리에는 인디카를 쓴다. [3] 대다수의 외국산 쌀은 식품가공용으로 사용된다. 떡볶이용 떡, 쌀과자, 쌀국수, 막걸리 등에 외국산 쌀이 이용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