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02:15:39

이정현(1987)

{{{#!wiki style="margin: -10px -10px; wp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서울 삼성 썬더스
2024-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74ca1><colcolor=#fff> 감독 김효범
코치 김보현
스태프
매니저
천재민 ·
트레이너
최승조 ·
전력 분석
최수현 ·
통역
왕준일 ·
기사
임병길
가드 1 이동엽 · 3 이정현 [[주장|
C
]] · 5 김시래 · 6 김무성 · 7 홍경기 · 8 조준희 · 9 김광철 · 14 김진영 · 15 나바 · 17 박민채 · 23 김근현
포워드 2 최승욱 · 13 차민석 · 20 레인 · 24 신동혁 · 27 윤성원
센터 11 이원석 · 21 코번 · 22 김한솔 · 31 김승원 · 32 조우성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이정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한국프로농구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3 정준원
(안양 정관장)
11 허일영
(서울 SK)
0 이관희
(창원 LG)
12 함지훈
(울산 현대모비스)
21 김강선
(고양 소노)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7 정창영
(부산 KCC)
26 강상재
(원주 DB)
10 문성곤
(수원 kt)
6 차바위
(대구 한국가스공사)
3 이정현
(서울 삼성)
}}}}}}}}}}}} ||

이정현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f236a>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부산 KCC 이지스
주장

(현대-전주 시절 포함)
}}} ||
{{{#!wiki style="color:#000000;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rowcolor=#fff000> 1978~1989 1989~1996 1997~2000 2000~2001 2001~2004
유도훈 정재근
2004~2005 <rowcolor=#fff000> 2005~2007 2007~2008
2008~2012
2012~2013
조성원 이상민 추승균 임재현
<rowcolor=#fff000> 2013~2018 2018~2019 2019~2022 2022~
신명호 하승진 이정현 정창영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74ca1>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서울 삼성 썬더스
역대 주장
(수원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1997~2002 2002~2003 2003~2007 2007~2010 2010~2013
? 김희선 서장훈 강혁 이규섭
2013~2014 2014~2015 2015~2017 2017~2019 2019~2021
김승현 이정석 문태영 김태술 김동욱
2021~2022 2022~
김시래 이정현
}}}}}}}}}}}}}}} ||
이정현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2012 2017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KBL
역대 국내선수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2000 시즌 2000-01 시즌
강동희
기아 / 가드
이상민
현대 / 가드
이상민
현대 / 가드
서장훈
SK / 센터
조성원
LG / 포워드
<rowcolor=#ffffff>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김승현
동양 / 가드
김병철
동양 / 가드
김주성
TG삼보 / 포워드
신기성
TG삼보 / 가드
서장훈, 양동근
삼성 / 센터, 모비스 / 가드
<rowcolor=#ffffff>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양동근
모비스 / 가드
김주성
동부 / 포워드
주희정
KT&G / 가드
함지훈
모비스 / 포워드
박상오
kt / 포워드
<rowcolor=#ffffff>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 2014-15 시즌 2015-16 시즌
윤호영
동부 / 포워드
김선형
SK / 가드
문태종
LG / 포워드
양동근
모비스 / 가드
양동근
모비스 / 가드
<rowcolor=#ffffff>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오세근
KGC / 센터
두경민
DB / 가드
이정현
KCC / 가드
허훈
kt / 가드
송교창
KCC / 포워드
<rowcolor=#ffffff>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최준용
SK / 포워드
김선형
SK / 가드
이선 알바노
DB / 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KBL
역대 식스맨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2000 시즌 2000-01 시즌
김유택
기아 / 센터
김용식
나산 / 가드
신종석
나래 / 포워드
황문용
기아 / 포워드
강혁
삼성 / 가드
<rowcolor=#fff>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정재근
KCC / 포워드
박규현
LG / 가드
표명일
KCC / 가드
이병석
모비스 / 포워드
이창수
모비스 / 센터
<rowcolor=#fff>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우지원
모비스 / 포워드
김일두
KT&G / 포워드
함지훈
모비스 / 포워드
박종천
모비스 / 포워드
이현호
전자랜드 / 포워드
<rowcolor=#fff> 2011-12 시즌 2012-13 시즌[a] 2013-14 시즌 2014-15 시즌 2015-16 시즌
이정현
KGC / 가드
변기훈
SK / 가드
주희정
SK / 가드
유병훈
LG / 가드
신명호
KCC / 가드
<rowcolor=#fff>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정병국
전자랜드 / 가드
김주성
DB / 포워드
김낙현
전자랜드 / 가드
최성원
SK / 가드
장재석
현대모비스 / 센터
<rowcolor=#fff>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전현우
한국가스공사 / 포워드
박지훈
KGC / 가드
박인웅
DB / 가드
[a] 2012-13 시즌부터 기존의 '우수후보 선수상' 대신 '식스맨상'으로 시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1983-84 시즌 1984-85 시즌 1985-86 시즌 1986-87 시즌 1987-88 시즌
이충희
현대전자 / 가드, 포워드
임정명
삼성전자 / 센터
이충희
현대전자 / 가드, 포워드
박수교
현대전자 / 가드
김현준
삼성전자 / 가드
1988-89 시즌 1989-90 시즌 1990-91 시즌 1991-92 시즌 1992-93 시즌
유재학
기아산업 / 가드
한기범
기아산업 / 센터
정덕화
기아자동차 / 포워드
허재
기아자동차 / 가드
강동희
기아자동차 / 가드
1993-94 시즌 1994-95 시즌 1995-96 시즌 1996-97 시즌 1997-98 시즌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허재
기아자동차 / 가드
김유택
기아자동차 / 센터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1998 시즌 1999-2000 시즌 2000 시즌 2001-02 시즌 2002-03 시즌
조우현
중앙대학교 / 포워드
김주성
중앙대학교 / 포워드, 센터
김주성
중앙대학교 / 포워드, 센터
현주엽
상무 / 포워드
김동우
연세대학교 / 포워드
2003 시즌 2004 시즌 2005 시즌 2006 시즌 2007 시즌
방성윤
연세대학교 / 포워드
전정규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박지현
상무 / 가드
허효진
중앙대학교 / 포워드
강병현
중앙대학교 / 가드
2008 시즌 2009 시즌 2010 시즌 2011 시즌 2012 시즌
양동근
상무 / 가드
유병재
상무 / 포워드
양희종
상무 / 포워드
함지훈
상무 / 포워드, 센터
박재현
고려대학교 / 가드
2013 시즌 2014 시즌 2015 시즌 2016 시즌 2017 시즌
윤호영
상무 / 포워드
이정현
상무 / 가드
김시래
상무 / 가드
최부경
상무 / 포워드, 센터
이승현
상무 / 포워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KBL 2015~2020
라운드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1R 2R 3R 4R 5R 6R
2015-2016 시즌
애런 헤인즈
오리온
양동근
모비스
김주성
동부
안드레 에밋
KCC
2016-2017 시즌
김태술
삼성
이정현
KGC
오세근
KGC
김종규
LG
이승현
오리온
키퍼 사익스
KGC
2017-2018 시즌
오세근
KGC
리카르도 라틀리프
삼성
오세근
KGC
두경민
DB
브랜든 브라운
전자랜드
애런 헤인즈
SK
2018-2019 시즌
라건아
현대모비스
양홍석
kt
이정현
KCC
박찬희
전자랜드
기디 팟츠
전자랜드
이대성
현대모비스
2019-2020 시즌
허훈
kt
최준용
SK
송교창
KCC
두경민
DB
-[a]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리그 조기 종료에 따라 5, 6라운드 MVP는 공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KBL 2015~2020
베스트 5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가드 가드 포워드 포워드 센터
2015-2016 시즌
양동근
모비스
안드레 에밋
KCC
함지훈
모비스
이정현 / 트로이 길렌워터
KGC / LG
하승진
KCC
2016-2017 시즌
이정현
KGC
박찬희
전자랜드
이승현
오리온
애런 헤인즈
오리온
오세근
KGC
2017-2018 시즌
두경민
DB
이정현
KCC
디온테 버튼
DB
애런 헤인즈
SK
오세근
KGC
2018-2019 시즌
이정현
KCC
박찬희
전자랜드
양홍석
kt
함지훈
현대모비스
라건아
현대모비스
<rowcolor=#fff> 포지션 구분 없이 5명 시상으로 변경
2019-2020 시즌
허훈
kt / 가드
김종규
DB / 센터
송교창
KCC / 포워드
자밀 워니
SK / 센터
캐디 라렌
LG / 센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KBL
역대 스틸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ddd
<rowcolor=#fff>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00 시즌 2000-01 시즌
마이클 엘리어트
대우증권 / 3.9개
주희정
나래 / 2.9개
제럴드 워커
SBS / 3.0개
신기성
삼보 / 2.6개
이상민
현대 / 2.0개
<rowcolor=#fff>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김승현
동양 / 3.2개
황성인
SK 나이츠 / 2.5개
김승현
오리온스 / 2.3개
김승현
오리온스 / 2.3개
크리스 윌리엄스
모비스 / 2.6개
<rowcolor=#fff>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김승현
오리온스 / 2.2개
박지현
LG / 1.8개
주희정
KT&G / 2.3개
양동근
모비스 / 2.1개
박찬희
인삼공사 / 2.0개
<rowcolor=#fff>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 2014-15 시즌 2015-16 시즌
크리스 윌리엄스
오리온스 / 2.6개
신명호
KCC / 2.0개
김민구
KCC / 1.8개
양동근
모비스 / 1.8개
이정현
KGC / 1.6개
<rowcolor=#fff>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네이트 밀러
모비스 / 2.1개
브랜든 브라운
전자랜드 / 2.0개
브랜든 브라운
KCC / 2.0개
문성곤
KGC / 1.8개
이대성
오리온 / 1.9개
<rowcolor=#fff>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머피 할로웨이
오리온 / 2.2개
아셈 마레이
LG / 1.8개
이정현
소노 / 2.0개
}}}}}}}}}}}}}}} ||

2018 올해의 농구인 남자부
오세근
( 안양 KGC)
이정현
( 전주 KCC)
라건아
( 전주 KCC)
}}} ||
}}} ||
서울 삼성 썬더스 No. 3
C
SEOUL SAMSUNG THUNDERS
파일:이정현2023-24.png
이정현
李政玹 | Lee Jung-hyun
<colbgcolor=#074ca1> 출생 1987년 3월 3일 ([age(1987-03-03)]세)
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경주 이씨 (慶州 李氏)
신체 신장 190.3cm[1] 체중 98kg[2]
포지션 슈팅 가드[3], 스몰 포워드[4]
학력 동림초등학교 (졸업)
광주중앙중학교[5] (졸업)
광주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 / 학사)
프로 입단 2010년 드래프트 (1라운드 2순위, 부산 kt[6])
병역 상무 농구단 (2013~2015.01.)
소속 안양 KGC인삼공사 (2010~2017)
전주 KCC 이지스 (2017~2022)
서울 삼성 썬더스 (2022~ )
응원가 안양 KGC인삼공사 시절
YG FAMILY - 멋쟁이 신사 (2012~2017)
전주 KCC 이지스 시절
마스터K - 화이팅 (Fighting) (2020~2022)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별명5. 여담6. 역대 프로필 사진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울 삼성 썬더스 소속 대한민국 농구 선수. 포지션은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포인트 가드.

2. 선수 경력

파일:서울 삼성 이정현.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정현(1987)/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기본적으로 1~3번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올 어라운드 플레이어로 아마시절 부터 악바리 근성이 뛰어났고, 에이스 롤을 부여받았던 선수라 연대시절에는 포워드에 가까웠지만 프로에서는 가드 포지션으로 뛰게 되었다. 풀타임 주전으로 처음 데뷔한 2010-11시즌 때부터 꾸준한 득점력을 보여줬다. 연차가 쌓이며 공격력과 더불어 패싱력, 시야까지 두루두루 갖추더니 2016-17 시즌에 기량이 만개했다는 평가. 2번치고 키도 크고 웨이트도 뛰어나서 상대 2번을 피지컬로 압도할 수 있다. 또한 준수한 볼핸들링과 스텝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뛰어난 돌파능력과 학창시절 빅맨출신 인지라 포스트업도 뛰어나기 때문에 상대 매치업을 포스트업으로도 찍어눌러버리는 등 KBL 슈팅 가드 중 최고의 피지컬을 갖춘 선수 중 하나[7].

또한 클러치에 강한 선수로, 수비자를 달고도 터프샷을 과감하게 시도하는 편이며, 그 성공률 또한 괜찮은 수준이다. 최고의 장점으로는 필요한 상황에서 공을 어떻게든 메이드 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 신체 접촉이 있는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슛을 던지고 그게 안되면 으악이라도 한다.
특히 승부처에서도 긴장하지 않고 자신있게 슛을 시도한다.

본인의 돌파력과 피지컬의 장점, 패싱 센스를 살린 투맨게임도 일품이다. 원래 이런 플레이에 능했던 오세근같은 빅맨은 물론 주로 일대일 공격만 할 줄 알았던 브랜든 브라운같은 선수들의 움직임도 잘 살려준다.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 금강불괴. 2023년 현재 KBL 입단 후 전 경기 출장[8]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다. 입단 후 이렇다할 부상 전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미 내구성은 검증되었다.

단점으로는 좋게 말하면 다재다능하지만 효율이 떨어진다. 돌파도 잘하고 투맨게임도 잘하고 슛도 잘 쏘는거 같고 전반적으로 화려해 보이지만 실속이 부족하다는 것. PER 같은 스탯을 보면 이정현의 이름값에 비해서 상당히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눈에 보이는 1차 스탯만큼 뛰어난 선수는 아니라는 것. 어느정도냐면 이정현 이전의 KBL 대표 슈팅 가드였던 조성민의 커리어로우[9] 시즌과 이정현의 커리어하이가 비슷하다. 외곽 슈터 이미지가 강한 조성민 대비 3점슛이나 TS가 떨어지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PER에서 확연히 밀리는 것은 그만큼 기량 차이가 난다는 뜻.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돌파를 잘하는 것 처럼 보이나 실제론 돌파를 잘 하느 것도 아니고 투맨게임이나 점프슛 역시 잘하는게 아니라는 말. [10]

또 멀티 포지션 소화는 장점이지만 너무 많은 것을 하려고 하다 보니 팀내 다른 선수와 롤이 겹치는 경우가 있고 다른 선수들이 희생하는 경향이 있다. 기본적으로 2번이지만 1번 만큼이나 볼을 오래 갖고 있고 아예 자기가 리딩을 전담할때도 있기 때문에 다른 가드들과 겹칠 때가 많고 3번 선수들 역시 마찬가지로 원래 3번이 주포지션이란 평가를 받고 있는 송교창이 4번으로 뛰는 이유는 이정현이 3번 역할도 소화하기 때문[11]이며 이대성, 에밋과도 겹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정현이 오로지 2번 플레이만 하면 문제가 안생기지만 전형적인 2번 역할만 한다면 이정현의 능력을 제한하는 것이라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폭발할 땐 엄청나게 활약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그야말로 역귀짓이 뭔지 제대로 보여주는 스타일이기도 하다.[12]

포지션 대비 느린 스피드도 단점이라 볼 수 있다. 다만 좋은 힘과 스텝을 바탕으로 돌파 시 단점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 편.

수비력 또한 단점으로 지적받는다. 앞서 설명했듯 힘은 좋지만 스피드가 좋은편은 아니기 때문에 김선형 같은 슬래셔 타입의 가드에게 약한 모습을 보인다. 사실 인삼공사 시절 2015-16 시즌 때는 스틸왕을 차지 할 정도로 공격적인 수비를 즐겨하였으나 KCC로 이적한 후에는 에이스 롤을 중점적으로 부여받아 수비보다는 공격에 치중하는 경향이 커졌다. 실제로 공격력이 뛰어난 선수는 수비를 잘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틸왕 까지 차지한 부분은 대단한 부분이다.

4. 별명

5. 여담

DC 농구 갤러리 등에서 불리는 별명은 013인데, 예전에 SK와의 경기에서 야투 시도를 13번 했지만 하나도 넣지 못해 붙여진 별명이다(0/13). 팀 선배이자 학교 선배인 양무록을 그대로 따라간다 국가대표에 뽑힐 정도로 잘하고 있는 근래에는 등번호가 3번이니 야민정음으로 '이(01) + 등번호 3번' 해서 013인 걸로 아는 사람들도 종종 있는 듯하다.


2016-17 시즌이 되었음에도 자제는 커녕 게임당 최소 3개의 으악(...)을 들을 수 있는 걸로 보면 결국 이정현의 상징은 으악으로 굳어져버렸다. 농구팬들은 이정현이 저평가를 받는다면 0순위는 그 놈의 으악 때문이다는 말을 끝도 없이 했고, 기어코 2016-17 시즌이 끝날때까지 그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커리어 차이는 나지만 프로농구 레전드급인 김주성도 비매너플레이와 소위 짜증과 항의 때문에 팬들에게 저평가 받는 것을 보면 게임 매너가 정말 중요하다는게 느껴지는 대목이다. 2017-18시즌, 심지어 플레이오프에까지 가서도 전혀 나아진 점이 없자 이런 기사도 올라왔다. 이제는 2018년 연세대에 입학한 동명이인 띠동갑 후배의 관련 기사 댓글에 으악새 소리가 나올 정도다. 19-20 올스타전에서는 셀프디스 내지는 팬서비스 차원(?)에서 대놓고 으악을 시전했다.

플라핑에 콜을 불어주지 않는 국제대회에서의 부진도 이정현의 가치를 깎아먹는 요인이다. 2015 FIBA 아시아선수권에서 8경기에서 6.1점에 그치며 제 역할을 못했고, 2016년 아시아챌린지에서는 약팀한테는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예선 F조 마지막 경기 이란전에서는 4점에 그쳤고, 결승 이란전에서도 3분 40초 출전 0점에 그치면서 강팀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면서 국내용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모두가 잘했다는 2017년 아시아컵에서도 유일하게 욕을 먹은 선수가 이정현인만큼[15] 2017년 말부터 시작되는 2019 농구월드컵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도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면 계속 국내용이라고 놀림받을 수밖에 없었지만, 농구월드컵 지역예선부터 국제대회 적응이 끝나고 라건아가 귀화하며 이정현이 플레이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국제대회에서도 팀을 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이런 말은 쏙 들어갔다.

'금강불괴'라는 별명에 걸맞게 국내 가드 중에서는 내구도가 역대급이라 2013년 고양 오리온스와의 6강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마지막 4쿼터 경기 도중 가벼운 왼쪽 발목 부상을 당한 것만 제외하면 부상 이력이 하나도 없다.

광주 출신이라 그런지 KIA 타이거즈의 팬임을 SNS에 자주 인증하기도 한다. 김주찬 힛 포 더 사이클 당시 그 경기를 직관했다고. 해태 어린이 회원 출신이며 참고로 예전 SNS글을 보면 차일목의 만루 병살타 경기에서 정말 쿨하게 '차일목 괜찮다'라는 내용을 썼다. 물론 본인도 프로선수니까 타 종목 선수를 함부로 비난하지는 않겠지만... 그리고 나성범 과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 2년 선후배 사이다.

이미 농구팬들에겐 김승기 말고 본인이 감독하는 게 낫겠다고 인정을 받은 듯하다. 증거자료 1 증거자료 2

연습 때 하프라인 슛을 잘 성공시키는 재주가 있는 듯하다. 2018년 4월 24일 국가대표팀 훈련에서 허재 감독이 진행시킨 하프라인 슛 대결에서 가장 먼저 슛을 넣은 3명 중 하나였고 바스켓코리아, 현대모비스 초청 4개국 친선대회를 앞둔 2019년 8월 24일 훈련에서도 하프라인 슛을 성공시켰다. 영상 옆에서 김종규가 "맨날 정현이형만 넣어"라고 투정(?)을 부렸을 정도.

프로에서 역대 이정현이 써온 등번호는 모두 홀수다. 국가대표를 포함한 왠만한 등번호는 3번이었고, KCC에서는 이미 3번을 달고있던 전태풍을 의식하여 둘이 같이 뛰던 2017~2019년 사이의 두 시즌 동안도 5번을 달았다. 전태풍이 방출된 이후로는 다시 3번을 달은것을 보면 3번은 홀수와는 관계없이 본인에게 애정이 있는 번호로 보인다.[16]

KBL의 정규시즌 최저 득점 경기가 41점을 얻은 2경기가 타이기록으로 있는데, 이 2경기 모두 이정현이 출장한 경기들이다. 2012년 1월 11일 KGC 소속으로 동부와의 원정 경기에서 KGC가 41점 밖에 못 올리는 굴욕을 맛봤는데, 약 10년 후 2022년 2월 1일 KCC 소속으로 LG와의 원정경기에서는 반대로 LG가 41점 밖에 못 올리며 LG에게 굴욕을 안겼다.

2021년 후배 이정현이 생겼다. 그래서 상술했듯 큰정현과 작정현으로 구분해 부른다. 후배 이정현도 큰정현을 롤모델로 삼고 있었기도 했다고 하며 둘이 맞대결을 하면 같이 인터뷰를 하는 일도 많다. 플라핑을 빼면 둘의 경기 스타일도 비슷한데 선배 이정현이 으악새로 유명한 탓에 후배 이정현도 댓글로 으악이 달리는 등 괜히 죄 없는 후배만 고통받는다(...). 하지만 23-24시즌 후배 이정현도 주전으로 도약하면서 플라핑 빈도가 늘어가고 있다는 평이다.

2023년, 김무성과 같은팀에서 뛰게 되면서 국민의힘 듀오가 완성됐다는 드립이 나오고 있다. 공교롭게도 김무성이 후배 이정현과 더불어 박지원을 묶어 야당 트리오라는 별명이 있었다. 김무성과 후배 이정현은 고양 캐롯에서 같이 소속한적은 있지만 김무성이 전역 2일차에 트레이드 되어 둘끼리는 호흡을 맞추지 못했다.

6. 역대 프로필 사진

전주 KCC 이지스 서울 삼성 썬더스
파일:이정현2020-21.png
파일:이정현2021-22.png
파일:이정현2022-23.png
2020-21 시즌 2021-22 시즌 2022-23 시즌

7. 관련 문서



[1] 본인이 인증했다. 박찬희 역시 190.3으로 똑같다. 참고로 KBL 신인 드래프트 당시 189.0cm였다. 신장이 좀 작게 나왔거나 자란 것으로 추정된다. 2022-23 시즌 삼성 구단 공식 프로필은 191이다. [2] 시즌 중에는 93kg를 유지하는데 비시즌에는 98kg까지 늘어난다고 한다. [3] KGC인삼공사 시절이나 KCC에서 1번 자리의 선수가 부상을 당했을 때 잠깐 포인트 가드를 본 적이 있지만 주로 슈팅 가드로 뛴다. [4] KCC로 오면서 전창진 체제로 가면서 가드를 3명을 세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이정현이 3번 역할을 보는 편이었다. 인삼공사에서도 조금 보기는 했지만 KCC에서는 압도적으로 스몰 포워드로 뛰었다. 현재 삼성에서는 거의 비슷한 비중이다. [5] 학교법인 죽호학원 소속 중학교로 금호중앙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농구부는 2011년에 해체했다. [6] 나이젤 딕슨 트레이드 때 도널드 리틀과 1라운드 지명권을 안양 KT&G 카이츠에 양도했다. [7] 힘은 확실히 동급 최고라 할 수 있으나 스피드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확실히 피지컬 1등이냐고 하면 애매한 수준. [8] 2023-24 정규리그 종료 기준 636경기 연속 출장 중. [9] 부상 및 노쇠화 이전 [10] 순수하게 기록만 놓고 말하자면 잘하는게 하나도 없다는 소리다. 특출나게 잘하는 부분이 아니라 뭐가 되건 평균 이상인 부분이 기록상 하나도 없다. 그냥 많이 던져서 누적만 많다는 소리. [11] 물론 송교창이 4번으로도 뛰어난 선수이며 또한 팀내에 주전급 4번이 없는 것도 크지만 이정현의 플레이스타일의 문제도 있다 [12] NBA의 코비 브라이언트나 러셀 웨스트브룩이 안 들어가는데도 계속 슛을 시도하면서 욕을 먹는 경우가 있는데 이정현도 비슷하다. [13] 원래 발음은 덴버 브롱코스를 예로 들수 있듯 브코가 맞지만 대체적으로 브코라고 부른다고 한다. [14] 스테이시 오그먼 체제에서는 통역사가 영어에서 한국어로 통역을 했다보니 오그먼이 '브론코'라고 지정하면 '정현이형'이라며 불렀다. 형을 붙인 이유는 당시 통역사가 이정현보다 어렸던걸로 추정. [15] 국가대표팀 차출과 군복무기간 제외. 이 기간을 포함하면 21-22시즌중에 600경기는 출장했을 기록이다. [16] 당장 이정현의 생일이 3월 3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