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3 01:51:43

이열치열

1. 개요2. 관련 문서

1. 개요

고사성어
더울 다스릴 더울

열에는 열로 상대한다는 개념의 사자성어

더운 여름날 시원한 계곡에서 뜨거운 삼계탕이나 보신탕을 먹는 이유다. 한의학에서는 더운 여름에는 몸 속의 열이 피부 밑에 몰리게 되고 상대적으로 체내는 냉해지게 되는데, 이 냉한 속을 보하기 위해 뜨거운 음식을 먹는 것이라고 말한다. 날씨가 덥다고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오히려 안팎으로 온도의 불균형이 심해져 더위가 더욱 심해진다고.

어찌됐든 뜨거운 음식을 섭취하면 몸의 체온이 일시적으로 오르는데, 이에 대한 작용으로 땀을 흘리게 되면서 내부는 따뜻해지고 신체 외부의 온도는 내려간다. 특히, 더운 날씨임에도 땀이 나질 않아 체온조절 기능을 상실하는 열사병을 예방하게 된다.

다만 이북출신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냉면을 겨울에 먹었던 이유는 단순히 그때 얼음이나 차가운 동치미 국물 등을 구하기 쉬워서 였다고 한다. 전근대 시기에는 냉장고가 없었고, 1990년대 이후에도 북한에서는 전력난 때문에 냉장고를 쓰는데 애로사항이 종종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 다른 이열치열의 원리는 매운것을 먹고 땀을 엄청 뺀 후, 바람이 불면 시원해지는 원리라고 한다.

중국 등의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살균을 이유로 한여름에도 뜨거운 물을 마시기도 함으로서, 이열치열을 실천했었다.

정반대로 이한치한(以寒治寒)이 있다. 많이들 이냉치냉이라고 심심찮게 부르는데 유사표현이라고 한다. 이북 냉면인 평양냉면 함흥냉면이 대표적인 겨울 음식이었다는 사실이 대표적.[1] 이는 겨울철 온돌을 피웠을 때의 실내온도가 30~40도 대로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체온의 균형을 맞춰주기 위한 목적도 있었고, 냉장 시설이 부족하던 시절 겨울에 보관하기 쉬운 찬 음식을 제철에 소비하기 위해서이기도 했다. 아이스크림, 빙수도 원래는 겨울에 먹던 음식이었는데, 냉동 기술의 발달로 여름에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이이제이와 혼동할 수 있다. 사실 치(治)나 제(制)나 다스리거나 억제한다는 뜻이 있어서 이열제열, 이이치이라고 써도 의미는 통한다.

2. 관련 문서


[1] 다만 진주냉면은 본래 양반들의 여름철 별미였기에 여름이 지나면 냉면 장사를 멈췄다고 한다. 전국적으로 진주냉면의 이름이 퍼지면서 계절을 가리게 되지 않았을 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