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8 19:01:37

육군주임원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육군주임원사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육군주임원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각 군 주임원사
합참주임원사 육군주임원사 해군주임원사 공군주임원사 해병대주임원사
미군에 있는 주임원사
해안경비대주임원사 우주군주임원사 주방위군주임원사

1. 대한민국 육군

1.1. 역대 대한민국 육군주임원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육군주임원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미합중국 육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SMAFlag-.svg.png

Sergeant Major of the Army라고 하며 계급장이 일반 원사와 다르다.

미합중국 육군은 예전부터 주요 부대에 주임원사를 배치했으나 육군주임원사를 둔 것은 1966년이었다. 윌리엄 울드리지(1922-2012) 원사가 첫 육군주임원사를 지냈다.

2.1. 역대 육군주임원사

대수 사진 성명 재임기간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William_Wooldridge.jpg 윌리엄 울드리지(William O. Wooldridge) 1966-1968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George_Dunaway.jpg 조지 더너웨이(George W. Dunaway) 1968-1970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Slias_Copeland.jpg 사일러스 코플랜드(Silas L. Copeland) 1970-1973
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Leon_Van_Autreve.jpg 리언 밴오트리브(Leon L. Van Autreve) 1973-1975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William_G_Bainbridge.jpg 윌리엄 베인브리지(William G. Bainbridge) 1975-1979
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William_A_Connelly.jpg 윌리엄 코널리(William A. Connelly) 1979-1983
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Glen_Morrell.jpg 글렌 모럴(Glen E. Morrell) 1983-1987
8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SMA_Julius_Gates.jpg 줄리어스 게이츠(Julius W. Gates) 1987-1991
9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Richard_A._Kidd.jpg 리처드 키드(Richard A. Kidd) 1991-1995
1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Gene_McKinney.jpg 진 매키니(Gene C. McKinney)[1] 1995-1997
1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Robert_e_hall.jpg 로버트 홀(Robert E. Hall) 1997-2000
1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Jack_tilley.jpg 잭 틸리(Jack L. Tilley) 2000-2004
1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Kennth_Preston_2010.jpg 케네스 프레스턴(Kenneth O. Preston) 2004-2011
1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Chandler_2012.jpg 레이먼드 챈들러(Raymond F. Chandler) 2011-2015
1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Daniel_A._Dailey.jpg 대니얼 대일리(Daniel A. Dailey) 2015-2019
16 파일:Michael_A._Grinston_SMA.jpg 마이클 그린스턴(Michael A. Grinston) 2019-2023
17 파일:SMA_Michael_R._Weimer.jpg 마이클 웨이머(Michael R. Weimer) 2023-

3. 육상자위대

육상자위대 육상막료감부 소속의 선임상급조장(先任上級曹長)이 육군주임원사 역할을 한다. 상급조장[2]은 일반적인 주임원사를 말한다. 준사관이 부사관에서 그냥 진급해 올라가는 자위대의 특성상 준위가 주임원사를 맡는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6px-Army_mil-97303-2011-01-25-210140.jpg
완장을 차는데 본래 육조장(원사) 계급장 위에 부대 지휘관 계급에 맞게 벚꽃을 붙인 형태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JGSDF_Sergeant_Major_insignia_%28b%29.svg.png
육조장(원사) 계급장.

2006년에 자위대는 상급조장(주임원사)을 각 방면대 중대 이상 부대에 설치했고 2014년부터 완전 정식시행에 나서고 있다. 최초의 선임상급조장이었던 스즈키 요시오 준위는 레인저 출신이었다. 카와바타 히로모리 준위는 5대이다.

2010년12월에는 한일 부사관단의 교류 차원에서 육상자위대 최선임상급조장인 시미즈 이치로 준위가 방한하여 육군참모차장을 예방하고 육군부사관학교와 육군훈련소 등을 둘러보았다.

육상자위대 선임상급조장 페이지

3.1. 역대 최선임상급조장


파일:attachment/wrtoffsuzuki.png
파일:external/pds.exblog.jp/b0022959_4292981.jpg
파일:attachment/warrantofficershimizu.png
파일:external/www.soyou.gr.jp/04.jpg 자라나라 머리머리!

파일:external/www.soyou.gr.jp/05.jpg
파일:육상자위대최선임상급조장.jpg
파일:7대 육상자위대 최선임상급조장.jpg
파일:8대 육상자위대 최선임상급조장.jpg
파일:9대 육상자위대 최선임상급조장.jpg

4.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5. 중화민국 육군

총사관감독장(總士官督導長)이 해당 역할을 맡는다.

파일:6a3a5ad5-e4bb-4716-b05c-5f1ff5369a7d.jpg
판웬칭(潘文清) 1등사관장(一等士官長)이 역할을 맡고 있다. 중화민국 육군 페이지

* 한정홍(韓正宏) 1등사관장(一等士官長)

6. 싱가포르 육군

주임준위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
차 혹 구안 총준위장(Chief Warrant Officer/Military experts 6)이 해당 역할을 맡고 있다. 싱가포르군 페이지

7. 호주 육군

Regimental Sergeant Major of the Army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육군주임준위
2018년부터 그랜트 맥팔레인(Grant McFarlane) 준위가 역할을 맡고 있다. 호주 육군 페이지

8. 영국 육군

준사관과 부사관이 연결되는 계급 체계인 영국 육군의 특성상 육군주임준위(Army Sergeant Major)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명칭은 육군주임준위(Army Sergeant Major)이며 2015년에 해당 보직이 생겼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5px-British_Army_Sergeant_Major.svg.png

항목
2대째인 개빈 페이턴(Gavin Paton) 1등준위가 맡고 있다


[1] 성추행 문제 등으로 경질되었다. [2] 이 명칭은 일본 내에서 준위를 폐지하고 부사관의 상위계급으로 도입하려고 검토 중인 계급명이기도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