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0:37:17

폭포

워터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워터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워터폴(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222> 하천 지형 <colbgcolor=#fff,#000> 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 옹달샘) | 폭포 | 계곡( 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 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하구 | 돌개구멍
해안 지형 | | 사빈 | 석호 | 갯벌 (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해식 아치 | 육계도 | 시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 해안
해양 지형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해산( 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건조 지형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빙하 지형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카르스트 지형 석회동굴( 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 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화산 지형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 화산 | 성층 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구조 지형 분지(침식분지( 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지층 | 탁상지( 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습곡산맥( 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기타 잔류 암괴지형 | 풍화혈 | 풍화 암설지형 | 매스무브먼트 }}}}}}}}}
<colcolor=#fff>
파일:ㅌㅇㅅㅍㅍ.jpg
국내의 최장 폭포인 설악산 토왕성 폭포
파일:ㅇㅁㄹㅋㅍㅍ.jpg
미국 아메리칸 폭포[1]

1. 개요2. 상세
2.1. 관광2.2. 주의 사항
3. 세계 3대 폭포4. 폭포 목록
4.1. 국내4.2. 해외
5. 매체에서6. 여담

[clearfix]

1. 개요

/ waterfall, falls
3단 폭포인 토왕성 폭포의 모습.

흐르는 물이 거의 수직으로 급속하게 떨어지는 곳. 흐르는 이 서로 다른 지층을 지날 때 약한 지반이 침식되면서 생겨나는 곳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폭포들은 침식 작용으로 점점 뒤로 밀려나고 있으며, 나이아가라 폭포는 1년에 1m 정도씩 뒤로 움직이고 있다고 한다.

2. 상세

어마어마한 규모의 폭포가 아니라면 수량이 많을 때도 있고 적을 때도 있는 게 보통이다. 규모가 작은 곳은 거의 마를 때도 있다. 국내에는 특히 폭이 넓고 수량이 많은 폭포가 드문 편인데, TV에서 해외의 어마어마한 폭포만 보다가 이런 곳을 찾게 되면 실망할 수도 있다. 대체로 비가 그친 직후의 맑은 날에 가는 게 볼만하며, 이 때는 수량도 많고 멋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물이 아닌 돌로 만들어진 폭포도 있다. 암석폭포, 암괴류, 너덜계곡, 너덜겅(너덜강)이라고도 하며 작게는 무막만한 돌로 이루어진 곳부터 1-2미터 크기의 큰 바위로 이루어진 곳까지 있다. 흔치 않은 지형이지만 얼른 봐서는 특이한 건지 알기 어렵고, 어찌 보면 자연적으로 생긴 것처럼 보이지도 않아서 개발을 하거나 등산로를 만들 때 돌을 갖다 쓰면서 없어지기 쉽다. 국내에는 십여 군데가 남아 있으며, 그 중 비슬산 암괴류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수도권에는 중랑구 용마산 동쪽 사면에서 작은 암석 폭포를 볼 수 있다.

2.1. 관광

흐르는 물이 떨어지면서 일으키는 물보라와 주변 경관이 어우러진 자연의 예술품이라 할 만하다. 많은 폭포가 그 지역의 관광지, 명승지로 유명하며 폭포에 얽힌 전설 하나쯤은 있는 곳이 많다. 폭포에 가 시원한 물줄기를 가만히 보고 있자면 속까지 시원해지는 느낌, 힐링을 받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사람들은 폭포에서 물줄기가 흘러내리는 소리만으로도 힐링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백색소음 항목 참조.

규모가 작은 폭포의 경우 낙폭 지점 하단부 근처가 그다지 위험하지 않아 좋은 물놀이터가 되지만, 국내에서는 계곡 내 이름 없는 작은 폭포 정도가 아닌 이상 대체로 환경 보호를 위해 울타리 같은 것을 설치하여 물 속에 들어갈 수 없게 해 놓는다. 풍광과 아름다운 물색깔로 유명한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도 물에는 들어갈 수 없게 해 놓았다.

판소리 한국에서는 득음을 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곳으로도 손꼽히는데, 폭포 소리에 목소리가 묻히지 않도록 연습한다.

2.2. 주의 사항

영화에선 보통 폭포에서 떨어져도 죽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보고 까마득한 높이의 폭포에서 뛰어 내려도 무사할 것이라 여기면 틀린 생각이다. 초고층 빌딩만 골라서 스파이더맨 흉내를 내는 기인처럼, 세계의 유명 폭포만 골라 뛰어내리는 기인이 있기는 하지만 이런 건 따라해선 안 된다. 보통은 죽는다.[2] 다이빙 자세를 취하지 않고, 넓은 면적으로 떨어지면 수면에 부딪히는 순간 낙하 충격력에 의해 죽거나, 떨어진 곳의 수심이 얕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해 죽거나, 떨어진 곳에 바위가 튀어나와 있어 죽을 수도 있다. 용케 바른 자세로 올바른 곳에 떨어졌다고 해도 용소 부근에서 낙수의 흐름에 휩쓸려 죽거나,[3] 떨어지는 순간 정신을 잃고 죽거나, 체력이 빠져서 혹은 수영을 못 해서 죽을 수도 있으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말자.

영화에서 보는 정도의 간지나게 큰 폭포라면 폭포 아래가 발이 닿을 만큼 얕거나 몸이 안 떠내려갈 만큼 물살이 약한 경우는 없다. 날씨가 춥거나 물이 차다면 심장마비로 죽을 수도 있고, 용케 물에서 빠져 나왔다고 해도 곧 저체온증으로 죽는다. 폭포 주위는 바위가 깎아지른 곳이거나 물이 많은 만큼 미끄러운 이끼, 덩굴식물 등이 많아 손 잡고 올라올 데가 없는 경우가 더 많으며, 물 속 바위가 몸에 걸리지 않을 깊이거나 부딪혀도 다치지 않게 둥글다는 보장은 전혀 없다. 설악산 십이선녀탕 같은 계곡 폭포, 소(沼)가 연속되는 곳은 홍수 같이 물이 불어나 급류가 되었을 때 빠지면 계속해서 아래로 내려가며 바위에 부딪혀 머리는 부서지고 팔다리가 으깨져 떨어져 나가고 결국 하류로 가면 시신을 수습하기도 어려운 상태가 된다.

요약하면 폭포에서 추락할 때 본인이 영화 속 주인공이나 슈퍼 히어로가 아니라면 십중팔구 죽는다는 것이다.

3. 세계 3대 폭포

빅토리아 폭포
매우 유명한 폭포로는 이과수 폭포, 빅토리아 폭포, 그리고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나이아가라 폭포 정도를 꼽을 수 있다. 이 세 폭포를 세계 3대 폭포로 주로 꼽는데, 이들 폭포의 규모를 간략히 정리해서 비교하자면 다음과 같다.
빅토리아 폭포 나이아가라 폭포 이구아수 폭포
높이 108m 51m 64~82m
너비 1,708m 1,203m 2,700m
연간 평균 수량(m3/s) 1,088 2,407 1,746
수량 최고 기록(m3/s) 12,800 6,800 12,600

수량 면에서는 파라과이 브라질 국경의 과이라 폭포(Guaíra Falls)가 최고였지만 공사로 인해 수몰돼서 나이아가라 폭포가 1위.
높이 면에서는 앙헬 폭포가 낙차 979m로 가장 높다. 참고로 제주도의 천지연, 천제연, 정방 폭포의 낙차는 20m 정도. 유명한 나이아가라 폭포도 높이는 50여m밖에는 안 된다. 다만 나이아가라 폭포의 폭은 1km가 넘어 매우 웅장하다.

폭이 좁거나 시야에서 먼 경우 인증샷을 찍을 때 고개를 쳐들고 떨어지는 물줄기를 마시는 모습의 사진을 찍는 사람이 많다.

4. 폭포 목록

4.1. 국내

4.2. 해외

5. 매체에서

보통 수련하는 장면에서 꽤 높은 확률로 가부좌를 틀고 폭포수를 맞으며 정신수행하는 장면이 나온다. 촬영한 배우들의 말에 의하면 샤워기나 목욕탕의 물을 맞는 것과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아프고 차가워서 오래 할 수 없다고 한다.[5][6] 간지를 위해 찍는 것이니만큼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폭포에서 찍는 게 보통이고,[7] 또 물이 낙하할 때의 엄청난 운동 에너지를 생각하면 당연한 거지만. 뭣보다도 재수 없이 통나무나 바윗덩이, 하다 못해 작은 돌멩이라도 폭포를 따라 떨어지면 아래 있는 사람은 끔살.

여러가지 매체에서 제법 중요한 역할을 많이 하는데, 잉어가 폭포를 거슬러 오르면 이 된다는 전설[8]은 유명하며, 한국 전설에서는 폭포 밑 용소 속에서 이무기나 용이 살았다는 내용도 꽤 많이 있고 무술 수행하는 사람은 폭포 밑에서 수행하는 게 기본이다.

경관이 빼어난 만큼, 주인공이 에서 보트를 타는 장면이 영화 등에서는 꼭 등장한다. 이땐 보통 헬기 등을 동원해 멀리서 찍는다. 이때 난데없이 나타난 폭포에서 비명을 지르며 추락하는 장면은 거의 클리셰.

폭포 안쪽, 뒤쪽에 숨겨진 동굴이나 통로가 있는 것도 자주 나온다. 특히 게임에서는 폭포 뒤쪽 = 숨겨진 아이템이 있는 장소 취급을 받으며, 거대한 폭포 뒤에 아무것도 없으면 오히려 의아해하는 게이머들도 많다.

각종 매체의 주인공이 쫓기던 도중 폭포[9]에서 뛰어내리는 장면은 일종의 클리셰로 취급인데 이 경우 추격자가 내려가서 확인할 엄두도 안 나는 게 보통이기에, "이 높이에서 뛰어내렸으면 무사하지 못했을 것"이라든지, "물살이 빨라 시체가 떠내려갔을 것"이라는 등의 핑계를 대고 그냥 돌아간다. 이후에 주인공이 강 하류에서 누군가에 의해 구조되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영화 아포칼립토에서는 주인공 보정을 받지 못한 단역 악당들은 상당수가 수중 바위에 부딪히고 물살에 휩쓸려 죽는다. 이런 폭포를 고무보트 카누을 타고 내려오는 스포츠가 있는데, 급류 폭포에서 하는 건 목숨 걸고 하는 익스트림 스포츠에 들어간다. 이를 소재로 한 영화가 케빈 베이컨 주연의 리버 와일드.

6. 여담

이어령은 "폭포와 분수"라는 수필에서 폭포를 사랑하는 동양인과, 분수를 사랑하는 서양인의 사고의 차이를 비교하는 글을 썼다. # 물론 말이 그렇단 것이고 동양인이 분수를 안 좋아하거나 서양인이 폭포를 싫어한단 이야기는 아니다.

대응하는 순우리말이 없는 단어 중 하나이다. 많은 국어학자들이 순우리말을 만들어 보려 시도했고 특히 1990년대 전국적으로 순우리말 운동이 불 때도 애를 썼으나 결국 폭포는 대체하지 못했다.[10] 당시 순화 후보군들(?) 중에서 살펴보면 '벼랑걸린물', '벼랑오르내린물', '물쏵' 등이 있었다. 굳이 찾자면 작은 폭포를 일컫는 '쏠'이라는 순우리말이 있고 폭포에 거의 완벽하게 대응되는 단어인 '물떠러지'도 있다.

일본 이와테 현의 다로시 폭포에서는 폭포가 얼어서 대형 고드름이 되면, 그 두께를 통해 쌀 농사가 풍년일지 점친다고 한다.

캡션



[1] 아메리칸 폭포는 나이아가라 강에 있는 나이아가라 폭포의 하나로, 미국 뉴욕주 나이아가라폴스에 있다. [2] 뛰어내린 건 아니지만 실제로 2011년 8월 15일에 한 일본인 여대생이 나이아가라 폭포 난간 위에서 사진 찍는다고 포즈를 취하다 추락사한 사례가 있다. [3] 폭포수가 떨어지는 바로 아래는 패여 있어 물이 깊고, 물이 소용돌이치면서 돌아서 몸은 멀쩡한데 숨을 못 쉬어 죽는다. [4] 중국명 덕천폭포(德天瀑布) [5] 대중목욕탕에서 버튼 누르면 떨어지는 물만 해도 머리를 두들기는 것 같은 위력이니, 그 보다도 수량이 비교할 수 없이 엄청난 폭포에 맞으면 어떻게 될 지는 안 봐도 뻔하다. [6] 팡팡에서 연재했던 풍운아 도토리에서는 폭포가 멀다고 대신 목욕탕 물 쏟는 맹수 머리로 대신했다. [7] 너무 지나치게 큰 대규모 폭포일 경우엔 용소의 수심 자체가 무척 깊어서, 애초에 앉지를 못 한다. [8] 등용문이라는 고사성어까지 있다. [9] 폭포만큼이나 자주 등장하는 것이 절벽이다. [10] 이 당시 컴퓨터를 셈틀, 프로그램을 풀그림으로 바꾸어 불렀고 심지어 화강암을 우리말인 쑥돌로 바꿔쓰기도 했는데 폭포는 시도조차 못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