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17:13:44

오노 유다이(야구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2024 시즌 투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7 네오 아키라 · 11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 12 타지마 신지 · 13 하시모토 유우키 · 14 쿠사카 쇼 · 17 야나기 유야 · 18 우메츠 코다이
19 타카하시 히로토 · 20 와쿠이 히데아키 · 22 오노 유다이 · 24 후쿠타니 코지 · 26 이시모리 타이세이 · 28 모리 히로토 · 31 나카치 레이아
33 소부에 다이스케 · 34 후쿠 히로토 · 36 후쿠다 코노스케 · 38 마츠바 타카히로 · 41 카츠노 아키요시 · 46 우메노 유고 · 47 스나다 요시키
48 하부 쇼타 · 50 시미즈 타츠야 · 54 후지시마 켄토 · 59 사이토 코키 · 64 후쿠시마 쇼타 · 67 우에다 코타로 · 90 마츠야마 신야
91 움베르토 메히아 · 92 라이델 마르티네스 · 93 마이클 펠리스 · 96 카토 류마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육성선수
틀:주니치 드래곤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오노 유다이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480><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토요나가 류세이
(豊永隆盛)
오오바 타카히로
(大場隆広)
이구마 히로카즈
(伊熊博一)
츠치야 히로시
(土屋紘)
호시노 센이치
(星野仙一)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야자와 켄이치
(谷沢健一)
우지이에 마사유키
(氏家雅行)
후지사와 테츠야
(藤沢哲也)
스즈키 타카마사
(鈴木孝政)
후지나미 유키오
(藤波行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츠치야 마사카츠
(土屋正勝)
타오 야스시
(田尾安志)
미야코 유지로
(都裕次郎)
후지사와 키미야
(藤沢公也)
타카하시 미치타케 (1)
(高橋三千丈)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우시지마 카즈히코
(牛島和彦)
나카오 타카요시
(中尾孝義)
오노우에 아키라
(尾上旭)
카시마 타다시 (1)
(鹿島忠)
후지오 야스하루
(藤王康晴)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나카무라 타케시 (1)
(中村武志)
사이토 마나부 (1)
(斉藤学)
콘도 신이치 (2)
(近藤真市)
타츠나미 카즈요시 (2)
(立浪和義)
이마나카 신지
(今中慎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요다 츠요시
(与田剛)
코지마 히로무 (1)
(小島弘務)
오치아이 에이지 (1)
(落合英二)
사토 히데키 (1)
(佐藤秀樹)
히라타 히로시 (3)
(平田洋)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카나모리 타카히로 (1)
(金森隆浩)
아라키 마사히로 (1)
(荒木雅博)
코야마 신이치로
(小山伸一郎)
카와카미 켄신 (3)
(川上憲伸)
후쿠도메 코스케 (3)
(福留孝介)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아사쿠라 켄타 (1)
(朝倉健太)
나카자토 아츠시
(中里篤史)
마에다 아키히로 (1)
(前田章宏)
모리오카 료스케
(森岡良介)
나카가와 히로키
(中川裕貴)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히구치 타츠미 (3)
(樋口龍美)
히라타 료스케 (4)
(平田良介)
도노우에 나오미치 (2) (4) 아카사카 카즈유키 (1) (4)
(赤坂和幸)
노모토 케이 (2)
(野本圭)
요시미 카즈키 (3) (5)
(吉見一起)
타나카 다이스케 (3) (5)
(田中大輔)
야마우치 소마 (1) (5)
(山内壮馬)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오카다 토시야 (1)
(岡田俊哉)
오노 유다이
(大野雄大)
타카하시 슈헤이 (2)
(高橋周平)
후쿠타니 코지
(福谷浩司)
스즈키 쇼타 (1)
(鈴木翔太)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노무라 료스케
(野村亮介)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1)
(小笠原慎之介)
야나기 유야 (2)
(柳裕也)
스즈키 히로시 (1)
(鈴木博志)
네오 아키라 (2)
(根尾昂)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레이와 시대 ]
{{{#555555,#aaaaaa
2019년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이시카와 타카야 (2)
(石川昂弥)
타카하시 히로토
(髙橋宏斗)
브라이트 켄타
(ブライト健太)
나카치 레이아
(仲地礼亜)
쿠사카 쇼 (1) (2)
(草加勝)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복수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36春夏 1936秋 1937春~1937秋 1938春 1938秋
마키노 키요시 카토 토모오 모리이 시게루 마츠오 코조 모리이 시게루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마츠오 코조 무라마츠 유키오 모리이 시게루 카와무라 아키라 마츠오 코조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1949 1950
모리이 시게루 모리이 시게루 마츠오 코조 핫토리 츠구히로 시미즈 히데오
<rowcolor=#ffffff> 1951 1952 1953 1954~1955 1956
콘도 사다오 오오시마 노부오 스기시타 시게루 이시카와 카츠히코 스기시타 시게루
<rowcolor=#ffffff> 1957 1958 1959~1960 1961 1962
이나 츠토무 나카야마 토시타케 이나 츠토무 반도 에이지 카키모토 미노루
<rowcolor=#ffffff> 1963~1964 1965 1966 1967~1970 1971
카와무라 야스히코 카키모토 미노루 야마나카 타츠미 오가와 켄타로 이토 히사토시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미즈타니 히사노부 이나바 미츠오 호시노 센이치 마츠모토 유키츠라 호시노 센이치
<rowcolor=#ffffff> 1977 1978~1979 1980 1981 1982~1983
마츠모토 유키츠라 호시노 센이치 후지사와 키미야 미사와 쥰 코마츠 타츠오
<rowcolor=#ffffff> 1984 1985 1986 1987 1988
스즈키 타카마사 코마츠 타츠오 카쿠 겐지 스기모토 타다시 코마츠 타츠오
<rowcolor=#ffffff> 1989 1990 1991 1992 1993~1996
오노 카즈유키 니시모토 타카시 코마츠 타츠오 카쿠 겐지 이마나카 신지
<rowcolor=#ffffff> 1997~1998 1999 2000 2001~2002 2003
야마모토 마사 카와카미 켄신 노구치 시게키 야마모토 마사 카와카미 켄신
<rowcolor=#ffffff> 2004 2005~2008 2009 2010 2011
야마모토 마사 카와카미 켄신 아사오 타쿠야 요시미 카즈키 막시모 넬슨
<rowcolor=#ffffff> 2012~2013 2014 2015 2016~2017 2018
요시미 카즈키 카와카미 켄신 야마이 다이스케 오노 유다이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rowcolor=#ffffff> 2019 2020 2021 2022 2023
카사하라 쇼타로 오노 유다이 후쿠타니 코지 오노 유다이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rowcolor=#ffffff> 2024
야나기 유야
}}}}}}}}}}}} ||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c63 동메달}}}
2015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
2020 도쿄올림픽
{{{#c7bc69 금메달}}}
2021

파일:NPB 로고.svg 2020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수상자 없음 오노 유다이
( 주니치 드래곤즈)
야마모토 요시노부
( 오릭스 버팔로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9·202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최우수 방어율
스가노 토모유키
(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노 유다이
( 주니치 드래곤즈)
야나기 유야
(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2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최다 탈삼진
야마구치 슌
(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노 유다이
( 주니치 드래곤즈)
야나기 유야
( 주니치 드래곤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
(Central League)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Pacific League)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공석 공석 공석 나카무라 쇼고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마키 슈고 오카모토 카즈마 쿠리하라 료야 아사무라 히데토
노리모토 타카히로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야마다 테츠토 오오시마 요헤이
오노 유다이
겐다 소스케 공석
}}}}}}}}}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22번}}}
타나카 다이스케
(2008-2010)
오노 유다이
(2011~)
현역
}}} ||
파일:유다이오노.jpg
주니치 드래곤즈 No.22
C
<colbgcolor=#003570> 오노 유다이
大野 雄大 | Yudai Ohno
생년월일 1988년 9월 26일 ([age(1988-09-26)]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교토 부 교토 시 후시미구
출신학교 교토외국어대부속 니시고교 - 붓쿄대학
포지션 선발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10년 드래프트 1순위 ( 주니치)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 (2011~)
연봉 2022 / ¥300,000,000
후원사 데상트
기록 노히트 노런 (2019.09.14)

1. 개요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전2.2. 프로 입단 후~2018년 까지2.3. 2019 시즌2.4. 2020 시즌2.5. 2021 시즌2.6. 2022 시즌2.7. 2023 시즌2.8. 사무라이 재팬 시절
3. 피칭 스타일4. 기타5. 연도별 기록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로 주니치 드래곤스의 투수이다.

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전

2살때 부모님이 이혼을 하게 되어서 그리 유복하지 않은 유년기를 보냈다. 2살 위의 누나와 어머니의 밑에서 자랐고 스나가와 초등학교 5학년 재학 중에 야구를 시작했다. 6학년때부터 투수를 하기 시작했다고.

한부모 가정이라는 점 때문에 본래는 공립 고등학교로 진학할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결국 교토의 야구 강호학교인 교토외국어대부속-니시(京都外大西)고등학교로 진학했다. 2학년 봄부터 벤치에 들어갔고 팀은 제87회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여름 고시엔)에 진출해 결승까지 올라갔지만 정작 단 한 경기도 던지지 못했다고. 3학년이 되어서는 센바츠(봄 고시엔)에 출전해 고시엔 마운드를 밟았지만 여름 대회 때는 지역예선 준결승에 그쳤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붓쿄 대학에 진학해 1학년 봄부터 벤치에 들어갔다. 이 시기에 구속이 상당히 많이 올라갔다고. 그 덕분인지 제구력도 덩달아 개선되며 사사구도 많이 줄였다. 1학년 가을부터 4학년 봄까지 16연승을 내달리는 활약으로 대학야구 3시즌 연속으로 리그 MVP와 베스트 나인을 석권했다. 전국대회에서의 맹활약으로 언론에서는 사이토 유키, 오이시 타츠야, 사와무라 히로카즈와 함께 '대학야구 BIG 4'로 불리기도 했다.

2010년 8월에 어깨부상을 당하면서 등판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드래프트 회의에서 지명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이기도 했으나 다행히도 주니치가 1순위로 지명해서 주니치에 입단하였다.[1] 등번호는 본인이 동경하고 롤모델로 삼은 후지카와 큐지의 번호인 22번으로 정했다.

2.2. 프로 입단 후~2018년 까지

프로 입단 이후 첫 시즌이 되는 2011년엔 줄곧 2군에서만 던지다 10월 14일에 1군 데뷔전을 가졌으나 4이닝 7실점으로 거하게 털리면서 그대로 시즌 종료.

2012시즌엔 전년도보다 많은 경기에 출장. 주로 선발투수로 뛰면서 44.2이닝 동안 4승 3패 ERA 2.62를 기록하여 작년보다 발전된 기량을 보여주었다.

2013시즌부터는 본격적으로 선발 로테이션에 진입했다. 작년보다 평균자책점이 높아지긴 했지만 10승을 달성했고 데뷔 이후 첫 풀시즌을 치름과 동시에 규정이닝에도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시즌 성적은 146.1이닝 10승 10패 ERA 3.81

2014시즌에도 변함없이 선발 로테이션을 지켜주며 13년과 똑같이 10승을 달성. 이닝 수가 13년보다 늘어났고 평균자책점도 더 좋아졌다. 시즌 성적은 165이닝 10승 8패 ERA 2.89

2015시즌은 두 말할 필요가 없는 커리어하이 시즌. 데뷔 이후 처음으로 200이닝 이상을 던졌다. 하지만 문제는 그놈의 타격과 불펜 때문에 207.1이닝에 ERA는 2.52지만 승수는 겨우 11승에 그쳤다. A클래스 구단이었으면 15승도 너끈했을 성적.

그러나 2016시즌부터는 서서히 내리막을 걷기 시작하는데 2016년까지는 어찌어찌 3점대 평균자책점을 유지하긴 했으나 팔꿈치 통증으로 인해 규정이닝을 채우지 못했고 2017년엔 3점대도 붕괴되며 뭔가 문제가 생긴듯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급기야 2018시즌에는 개막 로테이션에도 들어가지 못했고 3패 ERA 8.56이라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이고 만다. 2015년 커리어하이를 찍을때만 하더라도 이렇게 망가지리라곤 생각지도 못했었다.

2.3. 2019 시즌

2019시즌 개막은 2군에서 출발하며 올해도 답이 없는 듯 보여졌으나 1군 승격 이후 어게인 2015를 보여주는 중. 5월 7일에 벌어진 히로시마전에서 센트럴리그 기준으로 레이와 시대의 첫 완봉승을 기록하는 등 완전히 부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9월 14일 한신전에서 대형사고를 치고 마는데 NPB 역사상 92번째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불과 며칠 전에 소프트뱅크의 센가 고다이가 노히트를 달성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온 노히트 이기도 했다.

시즌 마지막 등판인 9월 30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3.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여 방어율을 2.63에서 2.58로 내렸다. 기존 1위였던 방어율 2.59 크리스 존슨을 제치자마자 바로 강판되어 센트럴리그 방어율 1위 타이틀을 확정지었다.[2] 양 리그 합계로는 3위.

2.4. 2020 시즌

지난해의 좋은 기록을 바탕으로 개막전 선발투수로 기용되었다. 그러나 결과는 4이닝 9피안타 6실점 1탈삼진을 기록하며 평균자책 13.50의 아주 아름다운 기록을 세우고 조기강판 되었다. 그러나 그뒤 연장 10회말 까지의 접전 끝에 팀은 9:7의 개막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7월 31일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진행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시즌 첫승을 완투승으로 챙겼다.


8월 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9이닝 5피안타 1실점 10탈삼진을 기록하며 시즌 2번째 승을 완투승으로 챙겼다.

8월 16일 도쿄 돔에서 진행된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투구수 117개로 마루 요시히로에게 허용한 1피홈런과 오카모토 카즈마에게 허용한 피안타, 사카모토 하야토에게 허용한 1볼넷만을 허용하면서 10 탈삼진을 잡아내어 3경기 연속 완투승을 챙기게 되었다.

8월 23일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진행된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와의 경기에서 투구수 112개, 역시 완봉승을 챙기며 연속 완투승 기록을 4경기로 늘렸다.


그 후 2경기를 더 완투패를 하며 9월 8일에는 투구수 115개, 6경기연속 완투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6경기 연속 9이닝 완투…맞대결 선수도 "존경합니다"

10월 14일 한신 타이거즈를 상대로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진행된 경기에서 9이닝 6피안타 1볼넷 7탈삼진을 기록하며 시즌 9승과 함께 시즌 5번째 완봉승[3]을 챙기는데 성공했다. 이 시점에서 36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을 달성했고 센트럴 리그에서 방어율, 탈삼진, 이닝 부문에서 모두 1위를 달리고 있다.

10월 22일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를 상대로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진행된 경기에서 1회 1득점의 리드를 끝까지 지켜내며 126구 완봉승을 챙겼고, 연속이닝 무실점을 45로 늘리며 구단 신기록을[4] 64년만에 경신하였다.

올 시즌 최종성적은 20경기에 등판해 148⅔이닝을 던져 11승 6패 평균자책점 1.82를 기록하였다.
'사와무라상 유력' 오노 유다이, 포스팅 여부에 ML도 촉각

하지만 11월 11일자 현지 기사에 따르면 잔류를 표명했다고 보도되었다. # 나이가 나이이다 보니 올해가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나 다름없는데 사실상 평생 주니치맨으로 남겠다는 선언. ML진출을 하지 않더라도 간사이 지역 출신이라는 특성 상 전력보강에 혈안이 된 한신 타이거스가 매의 눈으로 노려보고 있다는 기사 등이 나오면서 주니치 팬들은 돈만 아끼려고 하는 짠돌이 프런트가 현질경쟁을 하면서까지 잡을리가 없다면서 반쯤 FA로 팀을 떠나는 것을 기정사실화 하고 체념하고 있었는데 뜻밖의 낭보.

11월 23일 2020년 사와무라상을 수상했다. 산케이 신문 기사, 오센 뉴스 기사 같은 리그에 14승 2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한 요미우리의 에이스 스가노 도모유키, 퍼시픽리그에서 투수 3관왕을 차지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센가 고다이 등 쟁쟁한 후보와 경쟁을 했지만 이들을 제치고 사와무라상을 수상하게 된 가장 큰 요인은 압도적인 완투기록. 최근에는 매 시즌 규정이닝을 채우는 투수 조차 10명을 밑도는 현대 일본야구의 추세를 거스르는 10번의 완투기록이 선정회의 위원들의 맘에 쏙 들었다. 특히 19년만에 수상자 없음이라는 사태가 발생한 직전해의 상황과 대비가 되어 스가노의 소속팀 대선배인 호리우치 츠네오가 선정회의 위원장으로 있음에도 수상에 거의 이견이 없었던 듯 하다.

사와무라상 투수가 사실상 MLB를 포기하며 원클럽맨으로 남겠다는 선언을 한 것이나 다름없는지라 구단도 이에 화답해 100%가 넘는 인상률인 3억엔에 도장을 찍으며 순조롭게 다음 시즌 계약을 마쳤다. 다만 구단이 2020년 시즌을 치르면서 막대한 적자를 봤고[5] 모기업인 주니치 신문의 경영상황도 여의치 않은 지라[6] 모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받아서 오노의 연봉자금을 마련했다고 한다.

2.5. 2021 시즌

개막 후 5경기 만에 첫 승을 올리면서 시즌을 시작했다. 5월 무렵 컨디션 난조로 2군을 다녀왔지만 2020 도쿄 올림픽 야구 대표팀에 선발되어 올림픽에 출전했다. 기록은 1경기에 등판해 1이닝을 실점 없이 막은게 전부였지만 대표팀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다시 원 소속팀 복귀 이후에는 에이스 다운 피칭을 선보이며 팀을 이끌었으나 타선의 도움을 받지 못해 2년 연속 10승을 거두는데에는 실패했다.

2.6. 2022 시즌

개막전부터 부진했고 이후 2경기는 잘 던졌다가 야쿠르트전에서 다시 부진하는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이며 우려를 낳고 있었다. 4월 마지막 등판에서 8이닝 3실점 완투패를 기록하며 다시 반등하는 기미를 보였다.

그리고 5월 6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홈 경기에서 9이닝 동안 단 한 명의 타자도 내보내지 않으면서 정규이닝 퍼펙트를 달성하였다. 하지만 팀 타선이 야속하게도 상대 선발인 아오야기 코요에게 틀어막히면서 정규이닝 동안 점수를 내지 못해 승부는 연장전으로 이어졌고 오노는 10회에도 등판했으나 2사 이후 사토 테루아키에게 2루타를 허용하여 퍼펙트 게임 달성에 실패했다. 이후 오오야마 유스케를 2루 플라이로 잡아내면서 10회 초를 실점없이 막아내었고 팀은 10회말 이시카와 타카야가 1사 만루에서 끝내기 적시타를 치며 최종적으로는 10이닝 완봉승으로 마무리가 되었다. 연장전 퍼펙트는 깨졌으나 1경기에서 29명 연속 아웃이라는 NPB 최초의 기록을 달성했다.[7]

작년에 이어 10승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157이닝에 8승 8패 평균자책 2.46 4완투 2완봉으로 시즌을 마쳤다.

2.7. 2023 시즌

4월 4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홈 개막전에서 7이닝 1실점(비자책)을 기록하고도 패전투수가 됐다. 2회에 무라카미 무네타카를 삼진으로 제압하며 커리어 통산 1,500이닝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 경기 직후 왼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아 시즌 아웃.

2.8. 사무라이 재팬 시절

2019 프리미어 12에 5회초에 등판하여 3연속 볼넷을 허용했지만 실점 없이 1이닝을 잘 막아내었다. 아래 영상은 일본에서 중계한 영상이다.

3. 피칭 스타일


변칙적인 투구폼에서 뿌리는 평균 142km/h, 최고 152km/h의 속구와 포크볼, 100km/h 대의 커브,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꺾이는 두 가지 종류의 슬라이더, 수직 무브먼트가 좋은 투심을 장착한 투수. 얼핏보면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하는 팔색조 유형같지만 패스트볼 구사 비율이 50%를 상회하는 파워피쳐이다. 수직 무브먼트가 좋은 투심을 바탕으로 범타를 유도하는 유형이다 보니 탈삼진이 많지는 않다.

상체 위주의 투구폼이 기반인 탓에 고질적인 제구 불안을 가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부상의 위험이 있는 폼이라고 하지만 정작 본인은 교정할 마음이 없어보이는 듯 하다. 뭐 안 고치고 사와무라상까지 탔으니깐 함부로 고칠 이유도 없긴 하다.

4. 기타

5. 연도별 기록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탈삼진 WHIP
2011 中日 1 4 0 1 0 0 .000 13.50 9 2 1 2 2.50
2012 9 44⅔ 4 3 0 1 .571 2.62 40 1 14 41 1.21
2013 25 146⅓ 10 10 0 0 .500 3.81 151 12 43 117 1.33
2014 25 165 10 8 0 0 .556 2.89 156 14 47 119 1.23
2015 28 207⅓ 11 10 0 1 .524 2.52 169 12 47 154 1.04
2016 19 129⅔ 7 10 0 0 .412 3.54 126 11 37 85 1.26
2017 24 147⅔ 7 8 0 0 .467 4.02 143 17 51 117 1.31
2018 6 27⅓ 0 3 0 0 .000 8.56 32 7 19 21 1.87
2019 25 177⅔ 9 8 0 0 .529 2.58 132 18 43 156 0.98
2020 20 148⅔ 11 6 0 0 .647 1.82 106 13 23 148 0.87
2021 22 143⅓ 7 11 0 0 .389 2.95 121 12 26 118 1.03
2022 23 157 8 8 0 0 .500 2.46 126 7 37 108 1.04
2023 0 0 . . .
NPB 통산
(13시즌)
204 1341⅔ 76 78 0 2 .494 3.11 1185 119 351 1078 1.14

6. 관련 문서



[1] 이때 당시 드래프트는 최고의 슈퍼스타들이 탄생한 2010 신인드래프트 회의였으며, 야마다 테츠토, 아키야마 쇼고, 야나기타 유키 등의 쟁쟁한 선수들이 이번 드래프트로 팀이 결정되었다. 당시 4개팀이 손수건왕자 사이토 유키, 6개팀이 오이시 타츠야를 지명하여 무려 10개팀이 둘을 두고 경합을 벌인 반면, 사와무라 히로카즈와 오노만이 각각 요미우리, 주니치의 단독지명을 받게 되었다. 다만, 의외로 이 해 드래프티 중 슈퍼스타들은 대부분 2-3라운드 지명자까지 가서야 나왔고 육성선수 중에서도 센가 코다이라는 슈퍼스타가 탄생한 반면, 경합이 붙은 1라운더는 2연속 탈락이 나온 뒤에 뽑힌 하즈레 야마다 테츠토를 제외하고는 모두 망한 이색적인 드래프트이기도 하다. [2] 오노에게 틀어막히던 한신 타선이었지만 오노가 타이틀 요건을 채우고 바로 내려간 틈을 타 점수를 내 한신이 경기를 승리하였고, 결국 4위 히로시마 카프를 반 게임차로 제치고 기적적으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했다. [3] 이는 팀의 역사에 남을만한 기록이라고 한다. [4] 종전 기록은 오야네 히로오미, 40.1이닝 [5] 기본적으로 관중입장에 제한이 있었던 것은 물론이요 8년만에 A 클래스 진입에 성공했는데 예년같으면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권을 걸고 요코하마, 한신 등과 치열한 포스트시즌 진출 경쟁을 하면서 시즌 막판에 관중몰이를 할 수 있던 분위기였는데 하필 센트럴리그가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맥이 빠지는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포함하면 손해가 이만저만 막심한 게 아니다. [6] 주니치신문의 연간 매출액은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연간 매출액 추세를 고려하면 2~3년 이내에 매출액 1,000억엔(대한민국 원으로 환산시 약 1조 393억원)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모기업의 상황때문에, 2010년대 후반부터 일부 팬들은 구단 매각을 하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7] 과거 니시구치 후미야의 상황과 일치한다. 차이점이라면 퍼펙트가 깨진 시점이 각각 무사와 2사였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