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8 07:44:21

염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염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세계유산 잠정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문화유산

강진 도요지

울산 반구천 일대 암각화

중부내륙 산성군

염전

외암마을

낙안읍성

조선 수도성곽과 방어산성

화순 운주사 석불석탑군

양주 회암사지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981b42> 자연유산 ||

설악산 천연 보호구역

남해안 일대 공룡 화석지

우포늪

한국의 갯벌 2단계

}}}}}}}}} ||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080685530.jpg 파일:external/www.hot-ishikawa.jp/activity_004b.jpg
한국 염전 일본 아게하마식 염전

1. 개요2. 기타

1. 개요

鹽田 / Salt Farm

말 그대로 소금(鹽)이 나오는 (田). 갯벌에 칸막이를 만들고 바닷물을 들이고 농축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거쳐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 이렇게 만들어진 소금을 천일염이라 부른다.

암염채광이 주류로 이뤄진 까닭에 세계기준으로 보편적 제염방식은 아니다. 교역이 미발달한 시대의 내륙인은 염분 섭취방식에 선택권이 없었으므로. 구할 수 있는 식량의 특성상 염분의 수요는 바닷가보다 육지쪽이 높았고, 그렇기에 소금이 고픈 육지에선 땅에서 암염 등을 캐서 소금을 구했다. 한국에서는 수심이 얕고 해안선이 복잡해 노출된 동해대비 해류가 약한 서해안 지역에 밀집됐다.

한국의 경우 소금광산이 거의 없어서 암염이 나지 않으며, 옛 기록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도 고구려가 소금을 해안지에서 운반해 왔다는 기록[1]을 볼 때, 고대부터 이미 해안가의 염전을 통해 소금을 얻은 것으로 추측된다. 미천왕이 즉위 전 숨어살면서 소금 행상을 했다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염전의 노동 강도는 암염 채광에 비해 훨씬 극심한 고역이다.[2] 하루종일 햇빛이 쨍쨍 내려쬐는 가운데 쉴새없이 소금물을 엎고 엎고 엎어야 하니 돈을 많이 준다고 하더라도 너무 고된 노동이라 버티려고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역사적으로 보면 신라 왕족이자 장군인 석우로는 왜왕을 잡아 염전노예로 만들겠다고 했다가 분노한 왜군에게 잡혀 살해당했고, 조선시대 형벌중 하나인 도형에서 애용되는 처벌이 염전으로 보내버리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때는 지금과 달리 손으로 일일이 바닷물을 퍼올리고 솥에 바닷물을 계속 끓여서 소금을 굽는 자염법을 썼기 때문에 염전일이 더 고됐다. 장비가 허술한건 더 말할 것도 없다.

함안군 성산산성에서 나온 목간에서는 노인염(奴人鹽)이란 글자가 여러 번 확인돼, 신라 혹은 가야사회에서도 소금을 생산하는 일은 노비가 맡았던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에서도 마찬가지인지라 타짜에서 고니가 염전꾼들 주머니를 도박으로 털자는 삼손이의 꼬드김에 "싫소. 염전일이 얼마나 고된데 그런 돈을 털어먹는가?"라고 딱 잘라 거절하는 장면이 있다.

중간에 들어가는 미네랄 등 불순물들에 따라서 소금의 품질이 달라진다, 소금은 결정화된 염분이라 염호에서 염기성 플랑크톤만 번식하는 것처럼 대부분의 유기오염물은 소독되고 결정화 과정에서 화학적으로 분리된다. 문제는 유해 중금속 및 기계화 부산물, 그리고 마이크로 비드, 즉 미세 플라스틱으로 대표되는 해양오염이 심화되고 기계사용에 비례해서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노예노동생산물 불매, 오염에 따른 품질의심 등으로 천일염을 정제염(추가로 암염도)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암염은 전량 수입인데다 한국 시장에서 사치품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당히 비싸지만, 정제염은 그리 비싸지 않다.

2. 기타



[1] 고구려의 위치와 당시의 교통상황을 볼 때 엄청나게 힘들게 운송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2] 물론 그렇다고 암염 채광이 마냥 쉬운 건 아니라, 암염 광부는 공기중 염분 과다섭취로 인한 고혈압을 직업병으로 달고 사는 경우가 많다. [3] 꼼꼼한 경제 천일염의 또 다른 얼굴, 물에 녹여보았다. JTBC # [4] 이름이 풍년새우인지라 새우로 알기 쉽지만, 새우가 아니다. [5] 중국은 천일염 일번지지만 워낙에 넘치는 노동력과 노임이 껌값이라 유지되는 것이다. 국내에선 인력난에 따라 인신매매 행위가 자행되는 것으로 비춰 보면 어쩌면 지중해식 염전 역시 아프리카 인부의 저임금 노동력에 의지 하는 것 일지도 모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