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02 02:37:54

안성선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건설 중
}}}}}}}}} ||


安城線 / Ansŏng Line

파일:attachment/안성선/안성선.png
1. 개요2. 상세3. 현재4. 유사 노선 건설 계획5. 역 목록6. 기타7. 관련 문서

1. 개요

과거에 대한민국에 있었던 철도 노선. 궤간은 표준궤이다.

2. 상세

일제강점기에 '조선경남철도 주식회사'의 사철로 인가받아 건설되었다.[1] 처음 개통할 당시의 구간은 천안역부터 안성역까지였다. 인가받은 날짜는 1919년 9월 30일로 이 당시의 명칭은 '경기선'이었다. 5년 뒤인 1924년에는 원주역으로 연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인가를 받았다.

당연히 목적은 수탈. 천안역과 수원역 간의 거리가 그리 멀지는 않았기 때문에[2], 수원역까지 가서 수인선을 통해 인천항으로 반출되었다.

1925년 11월 1일 처음 인가받은 천안역부터 안성역까지 개통되고, 1927년 4월 16일 안성역부터 죽산역까지 개통되었다. 이후 1927년 9월 15일 죽산역부터 장호원역까지 연장하는 것에 대한 인가를 받았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장호원역부터 원주역까지는 착공되지 못하였고, 1944년 4월 5일에는 일본 정부의 선로 공출령으로 안성역부터 장호원역까지의 모든 선로를 다 뜯어내었다. 결국 이 구간은 끝내 복구되지 못했고, 해방 이후인 1946년 5월 10일에 국가 소유로 전환되었다.

1955년 6월 14일에 '안성선'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이 때부터 경부선에 부속된 지선 철도의 개념으로 운행되었다. 1960년에 안성선을 원주까지 연장해서 경부선 중앙선을 연결하는 '경기남부선'으로 만드려는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정부의 교통 정책이 도로 위주로 전환되면서 이 계획은 취소되고 도로가 발전하면서 이용객은 계속 줄어들었다. 1970년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안성시 천안시를 지나게 되자 안성선의 수요는 바닥을 기었다. 1977년에는 1일 2회 운행이 전부였고, 설이나 추석 등의 대수송기간에는 아예 운행을 중지하는 경우도 많았다.

결국 1985년 4월 1일에 안성선의 여객취급은 완전히 중단되었고, 입장역부터 안성역까지는 열차가 들어가지 않게 된다. 천안역까지는 이후에도 화물열차 용 선로로 사용되다가 1989년 1월 1일에 남은 구간도 모두 폐지된다.

3. 현재

폐지 이후 선로를 모두 걷어냈다. 따라서 선로는 없지만, 노반이나 교각 등 일부가 남아있긴 하다. # 다만 지적도에는 번지에 '철'이 붙어 있어 여전히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노반은 주로 도로로 전환되었으며, 일부는 선로만 걷어낸 채로 방치 중이다.

천안 버스 201번 노선이 과거 안성선의 천안~안성 구간, 안성 버스 37번 노선이 안성~장호원 구간을 대신하고 있다.

23번 지방도로 천안~안성까지 구간[3]을 대신하고 있으며, 38번 국도가 안성~장호원 구간을 대신하고 있다.

4. 유사 노선 건설 계획

과거 형태로의 복원까지는 아니지만 평택시 안성시를 잇는 노선을 안성시 측에서 주장하다가 이천시에 지어지는 경강선 중부내륙선의 분기역인 부발역까지 이어지는 평택부발선으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등재되었다. 하지만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안성선을 복원하게 된다면 공사비의 대부분을 평택시 안성시가 내야 하는데 평택시는 딱히 필요성을 못 느껴서 시큰둥하고 안성시는 돈이 없어서 못하겠다는 상황. 거기에 백성운수 37, 70, 370번 등이 멀쩡히 잘 다니면서 대체하고 있기에 딱히 필요하지도 않다.

5. 역 목록

아래의 역 등급은 폐선 직전 당시의 등급이다.
안성선 역 목록
기점거리(km) 역명 등급 분기노선
0 천 안 天 安 보통역 경부선
장항선
천안직결선
2.4 신 부 新 富 임시승강장
7.0 석 교 石 橋 무배치간이역
9.7 성 거 聖 居 무배치간이역
14.1 입 장 笠 場 무배치간이역
19.7 고 지 古 池 무배치간이역
22.9 미 양 薇 陽 무배치간이역
28.4 안 성 安 城 배치간이역
29.6 안성읍내 安城邑內 무배치간이역
36.4 마 전 麻 田 무배치간이역
41.7 삼 죽 三 竹 무배치간이역
44.6 용 월 龍 月 무배치간이역
47.0 죽 산 竹 山 보통역
48.0 죽산읍내 竹山邑內 무배치간이역
51.2 매 산 梅 山 무배치간이역
55.9 주 천 注 川 보통역
59.8 행 죽 行 竹 무배치간이역
63.3 대 서 大 西 무배치간이역
69.8 장호원 長湖院 보통역

6. 기타

7. 관련 문서


[1] 조선경남철도의 '경남'은 경상남도의 줄임말 慶南이 아니라 '경'기도 '남'부(京南). 경남여객의 작명과 비슷한 형태이다. [2] 그 당시 기준으로도 넉넉 잡아 한두시간이였다. [3] 경부고속도로로는 안성IC 평택시 안성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어, 안성 시내로 가려면 결국 38번 국도를 이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