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1:05:02

아폴로 10호


{{{#!wiki style="margin:0px;margin-top:-10px;margin-bottom:-10px;padding:0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2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3><tablealign=center> 파일:아폴로 계획 미션 패치.svg }}} {{{#!wiki style="padding: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3><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external/www.nasa.gov/338804main_07-lg.jpg
아폴로 7호
파일:external/dic.academic.ru/Apollo-8-patch.png
아폴로 8호
파일:external/www.nasa.gov/338798main_09-lg.jpg
아폴로 9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Apollo-10-LOGO.png
아폴로 10호
파일:external/www.nasa.gov/s69-34875_0.jpg
아폴로 11호
파일:external/www.nasa.gov/s69-52336.jpg
아폴로 12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Apollo_13-insignia.png
아폴로 13호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516261d87607816690f6f4764a95688.png
아폴로 14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Apollo_15-insignia.png
아폴로 15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Apollo-16-LOGO.png
아폴로 16호
파일:external/spaceflight.nasa.gov/s72-49079.jpg
아폴로 17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50px-ASTP_patch.png
ASTP
취소된 아폴로 미션들 스카이랩 }}}}}}}}}
아폴로 10호
APOLLO 1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3px-Apollo-10-LOGO.png
아폴로 10호 미션 패치
이름 아폴로 10호
호출부호 사령선: CM-106, 찰리 브라운
달 착륙선: LM-4, 스누피
발사일 1969년 5월 18일
16시 49분 0초 UTC
케네디 우주센터, 플로리다 LC 39B
귀환일 1969년 5월 26일
16시 52분 23초 UTC
달궤도 시간 2일 13시간 37분 23초
미션 기간 8일, 03분 23초
원월점 316.7 km
근월점 111.1 km
우주선 사령선 - 찰리 브라운(Charlie Brown)
달착륙선 - 스누피(Snoopy)
사령관(CDR) 토머스 스태퍼드[1]
사령선 조종사(CMP) 존 영[2]
달착륙선 조종사(LMP) 유진 서넌[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8px-The_Apollo_10_Prime_Crew_-_GPN-2000-001163.jpg
아폴로 10호의 승무원들
왼쪽부터 유진 서넌, 토머스 스태퍼드, 존 영 순이다.

1. 개요2. 과정3. 기타
3.1. 아폴로 똥 사건3.2. 괴전파 수신 사건3.3. 가장 빠른 속도를 기록한 유인 우주선

[clearfix]

1. 개요

아폴로 10호는 아폴로 계획의 네번째 유인 우주선 미션으로, 사령선과 달 착륙선의 달 궤도상의 테스트를 진행한 임무였다. 아폴로 11호 임무를 위한 최종 리허설의 의미를 지닌 중요한 단계였다. 아폴로 10호는 아폴로 11호의 리허설에 해당하는 미션으로 달착륙 및 달에서의 이륙을 제외한 모든 미션이 수행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pollo_10_Prime_Crew_-_GPN-2000-001501.jpg
발사 전 포즈를 취하는 아폴로 10호의 승무원. 왼쪽으로부터 서넌, 영, 스태퍼드
사령선 찰리 브라운과 달 착륙선 스누피의 이름은 만화 < 피너츠>에서 따왔다. 아폴로 10호의 선장이던 토머스 스태포드는 당시 달 주위를 돌아다니며(snoop around) 후속기의 착륙과 관련된 최종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어야 한다는 점을 두고 " 달착륙선을 스누피라고 하고, 사령선을 찰리 브라운이라 부르는게 어떰?"이라고 제안한 것이 받아들여 졌기 때문.
In May 1969, Apollo 10 astronauts traveled to the Moon for a final checkout before lunar landings on later missions. Because the mission required the lunar module to skim the Moon’s surface to within 50,000 feet and “snoop around” scouting the Apollo 11 landing site, the crew named the lunar module Snoopy. The command module was named Charlie Brown, Snoopy’s loyal owner.
1969년 5월, 아폴로 10호 우주인들은 달 착륙 전 마지막 점검을 위한 미션을 진행했습니다. 이 임무는 달 착륙선이 달 표면을 50,000 피트 이내로 스쳐 지나가도록(snoop around) 하고 아폴로 11호의 착륙 지점을 정찰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승무원들은 달 착륙선을 스누피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사령부의 이름은 스누피의 친절한 주인공이던 찰리 브라운이라 붙여졌습니다.[4]
NASA. 아폴로 10호 이후 50주년을 맞이한 NASA와 피넛의 콜라보레이션
참고로 아폴로 10호 당시 달 착륙선인 스누피가 달 사령선인 찰리 브라운과의 도킹을 성공적으로 마치자, 당시 휴스턴 관제센터에서는 찰리 브라운을 향해 "명중이야! 찰리 브라운!"이라며 키스를 하는 스누피의 모습이 스크린에 뜨는 이스터 에그가 있었다고 한다. ## 이와 관련된 다큐멘터리로 Apple TV+ peanuts in space가 있다.

2. 과정

탑승한 우주비행사는 모두 제미니 시절부터 활동한 베테랑들로, 토머스 스태퍼드(사령관), 존 영(사령선 조종사), 유진 서넌(달착륙선 조종사)이다. 사령선 조종사 존 영은 아폴로 16호, 달 착륙선 조종사였던 서넌은 아폴로 계획의 마지막 미션이었던 아폴로 17호의 사령관을 맡았다. 스태퍼드는 문레이스가 끝난 뒤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프로젝트 아폴로 측 사령관이 되었고, 영은 우주왕복선 개발사의 핵심이 되어 STS-1 사령관으로도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된다.

1969년 5월 26일에 발사 된 아폴로 10호는 달궤도에 도착 이후, 톰 스태포드와 유진 서넌이 탄 달 착륙선 스누피가 고도 15.6km까지 내려려가 고요의 바다에 있는 아폴로 11호의 착륙 예정 지점을 조사했다. 이때 달과의 거리가 엄청나게 가까운 것을 볼수가 있는데, NASA에서도 아폴로 10호를 그냥 달에 착륙시키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당시 달착륙선이 아직 완전한 상태로 개발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은 실현될 수 없었다. NASA에서는 아폴로 10호의 우주비행사들이 최초의 달착륙 기록을 차지하기 위해 지시를 어기고 달에 착륙하는 경우가 일어날까 진지하게 우려하기도 했고, 혹시 모를 착륙을 방지하기 위해 달 착륙선의 연료를 적게 주입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Apollo_10_earthrise.jpg
아폴로 10호에서 바라본 지구
조사를 모두 마친 달 착륙선 스누피는 다시 올라와서 사령선 찰리 브라운에 도킹했다. 이때 달 착륙선이 재상승을 위해 하강단을 분리하였을때 예상치 못한 회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는 실수로 발생한 문제로 회전을 멈추지 못하였다면 달 착륙선은 지면과 충돌했을 것이다.[5]

또, 아폴로 10호에는 또 하나의 세계 최초의 기록이 있다. 즉, 우주 공간에서의 컬러 텔레비전에 의한 생중계 방송이다. 사령선은 런던의 사이언스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달 착륙선은 태양 주회 궤도상에 있기 위해 우주 공간에 내보내진 모든 아폴로 달 착륙선 속에서 유일한 완전한 모습을 남기고 있다. 아폴로 5호, 9호, 13호의 달 착륙선은 지구 대기권에 돌입할 때 소실되어 버렸고, 아폴로 11호의 상승단은 달 궤도에 머무른 후, 달 표면에 추락했다. 또, 아폴로 12호에서 아폴로 17호까지(13호를 제외한다)의 상승단은 달에 인공적인 지진을 일으키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달표면에 추락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Apollo_10_Helicopter_Recovery_-_GPN-2000-001143.jpg
구조되는 아폴로 10호

3. 기타

3.1. 아폴로 똥 사건

아폴로 10호에서 벌어진 대화내용을 녹음한 녹취본에 따르면 우주선 내에서 미처 처리를 못한 누군가의 이 둥둥 떠다니는 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다.(임무시간 05:13:29:44) 승무원 3명 모두 자신이 한 짓이 아니라고 극구 부인했다. 결국 그 똥을 치우긴 했는데, 불과 몇 분 뒤(임무시간 05:13:38:29) 스태퍼드가 또 하나의 똥이 공중을 떠다니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로 진정한 의미의 아폴로 계획 음모론.[6]

파일:attachment/apollo10txt.jpg

▲ 처음 발견된 시점에서의 녹취록 일부. 저런 골때리는 녹취록에 기밀(Confidential)이 박혀 있었다는 게 엽기라면 엽기.[7]

아폴로 우주선에는 화장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볼일을 보려면 비닐 주머니를 몸에 붙인 후 배설물을 회수해야 한다. 똥이 떠다녔다는 소리는 누군가가 주머니를 제대로 단속하지 못했다는 뜻이지만, 누가 그런 실수를 했는지는 아마도 영원히 밝혀지지 않을 것이다.[8]

3.2. 괴전파 수신 사건

우주공간에서 1시간 동안 알 수 없는 음악도 들었다고 한다. 밝혀진 바로는 사령선과 착륙선에서 나오는 라디오 전파끼리 부딪히면서 생기는 잡음이었다고 한다. 사실 음모론에 끼일 이유가 없는 것이, 이 현상이 일어난 후 10분 뒤에 존 영은 두 함체의 주파수끼리의 간섭으로 생기는 소리 같다고 추측해냈고 이게 사실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O4uf6UjRTI

3.3. 가장 빠른 속도를 기록한 유인 우주선

1969년 5월 26일 지구로부터의 순간 상대 속도 기준으로 39,896 km/h까지 기록했다. 이는 지금까지 만들어진 모든 유인 우주선 중 가장 빠른 기록. 이는 여러 단위로 환산해보면 11.1 km/s, 24,790 mph, 음속의 약 32배, 광속의 0.0037%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참고로 무인 우주선의 경우에는 더 빠른 기록들을 세웠는데 몇가지를 소개하자면 아래와 같다.
[1] CDR백업 고든 쿠퍼 [2] CMP백업 돈 아이즐리 [3] LMP백업 에드거 미첼 [4] 당시 탐사선에 타고 있던 존 영의 별명이 찰리 브라운이기도 했다. [5] 재미있는 일화로, 이때 놀란 유진 서넌이 욕을 하는것이 생중계 되었는데, 이 외에도 아폴로 10호 승무원들이 하도 욕을 하는 바람에 추후 미션에서는 욕설이 생중계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욕설에 제한을 뒀다고 한다. [6] 이 사건이 빵 사건에 비유되곤 하는데, 존 영은 아폴로 10호 이전에 제미니 3호에서 샌드위치를 몰래 반입했다가 무중력 공간에서 구름떼를 이룬 부스러기 때문에 들켜 NASA 측에게 혼쭐이 난 사건을 일으킨 전력이 있다. [7] 참고로 위 이미지에서 CONFIDENTIAL 글자 위에 펜으로 그어놓은 것은 기밀해제를 의미한다. 사실 저 녹취록만이 기밀이였던 것은 아니고 모든 녹취록이 기밀이였다. 기밀이 해제되면서 저 녹취록의 일부가 나오게 된 것. [8] 더러운건 더러운거대로 문제이긴 하지만 그 이전에 똥의 물질이 떠다니다가 우주선의 기체에 들어가 잘못하면 결함을 일으킬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다 싶이 빵가루 좀 떠다닌것 가지고도 상부에서 그렇게 갈굼당했는데 그것보다 더 크고 심지어 액체가 함유된 배변(...)이 우주선안에서 날라다닌다고 한다면 관련자는 엄청난 갈굼의 대상이자 우주역사에 평생남을 흑역사를 만드는 셈일테니... [9] 1976년 4월 17일에 기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