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1 16:08:18

아산만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가로림만 · 감천만 · 강진만 · 경기만 · 고성만 · 고현성만 · 곰소만 · 광양만 · 동도만 · 동한만 · 락원만 · 마산만 · 명주만 · 보성만 · 사천만 · 서한만 · 수영만 · 순천만 · 아산만 · 양산만 · 영일만 · 영흥만 · 오리만 · 울산만 · 웅기만 · 자란만 · 천수만 · 하청만 · 학동만 · 함평만 · 해주만 · 행안만
아시아
가고시마만 · 가우룽만 · 깜라인만 · 네무로만 · 다롄만 · 도야마만 · 도쿄만 · 료리만 · 마이즈루만 · 만나르만 · 무쓰만 · 미카와만 · 벳푸만 · 벵골만 · 보하이만 · 붕로만 · 사가미만 · 사할린스키만 · 센다이만 · 수에즈만 · 스루가만 · 시마바라만 · 아니바만 · 아리아케해 · 아바차만 · 아소만 · 아카데미만 · 아카바만 · 야쓰시로해 · 오사카만 · 오만만 · 오비만 · 와카사만 · 우치우라만 · 우츠카야만 · 이세만 · 자오저우만 · 츤드라와시만 · 카라보가스볼만 · 캄바트만 · 타이만 · 토미니만 · 통킹만 · 투구르스키만 · 페르시아만 · 하카타만 · 할롱만 · 히로시마만
유럽
그단스크만 · 돌라르트 · 리가만 · 리옹만 · 메클렌부르크만 · 모어캠만 · 보트니아만 · 비보르크만 · 비스케이만 · 오네가만 · 제이드만 · 킬만 · 타간로크만 · 포메라니아만 · 핀란드만
아프리카
가베스만 · 기니만 · 델라고아만 · 뤼데리츠만 · 린디만 · 만자만 · 메나이만 · 베넹만 · 비아프라만 · 살다냐만 · 소드와나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랍만 · 아부키르만 · 아카바만 · 알고아만 · 알렉산더만 · 암바스만 · 야우리만 · 오만만 · 움진토만 · 위남만 · 컨셉션만 · 타주라만 · 탕헤르만 · 테이블만 · 포울만 · 폴스만 · 한만
북아메리카
갤버스턴만 · 과카나야보만 · 관타나모만 · 그랜트트레버스만 · 글레이셔만 · 내러갠싯만 · 뉴섀객만 · 뉴욕만 · 니코야만 · 다리엔만 · 돌체만 · 리투야만 · 매사추세츠만 · 메인만 · 멕시코만 · 모바일만 · 몬터레이만 · 바타바노만 · 배핀만 · 버자드만 · 브리스틀만 · 샌프란시스코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슈피리어만 · 아문센만 · 알래스카만 · 어퍼뉴욕만 · 온두라스만 · 웅가바만 · 자메이카만 · 제임스만 · 조지아만 · 찰뢰르만 · 체서피크만 · 칼리포르니아만 · 캄페체만 · 코치노스만 · 키위노만 · 테르미노스라군 · 테우안테펙만 · 파나마만 · 파리만 · 펀디만 · 퓨젓사운드만 · 프로비셔만 · 허드슨만 · 화이트피쉬만
남아메리카
과나바라만 · 과나케로스만 · 델카르네로만 · 로마스만 · 마라호만 · 만사만 · 몬테비데오만 · 베네수엘라만 · 산페드로만 · 상마르코스만 · 상호세만 · 아라우코만 · 아라우퀜 · 엔세나다데과필라쿠이 · 옌데가이아만 · 오넬리만 · 울라이아만 · 이누틸 만 · 인스워스만 · 카울린만 · 칼레타조라 · 코랄만 · 콘셉시온만 · 쿡만 · 통고이만 · 트리부가만 · 페냐스만 · 포제션만 · 푸니우일
오세아니아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로벅만 · 보터니만 · 저비스만 · 조지프보나파르트만 · 진주만 · 카펀테리아만 · 쿨라만 · 파푸아만 · 포트 필립만 · 포트잭슨만
남극
굴드만 · 로스해 · 마거리트만 · 포사도프스키만 · 해럴드만 }}}}}}}}}
아산만
Asan Bay | 牙山灣
파일:아산만1.png
1. 개요2. 상세 내용

[clearfix]

1. 개요

아산만은 경기도 평택시 충청남도 아산시, 당진시 사이에 있는 이다.

2. 상세 내용

경기도 남서부와 충청남도 북서부의 자연적인 경계 역할을 하며,[1] 북서쪽으로 경기만과 이어진다. 아산만 일대는 국내에서 조수간만의 차가 가장 큰 곳으로, 최대 6~10m의 차이가 날 정도이다. 안성천 삽교천이 모두 이 만으로 흘러들며, 두 하천 모두 하구에 방조제가 설치되어 있다. 각 방조제 내용은 각 하천 문서 참조.

1970년대에 방조제가 들어서기 이전에는 어업과 양식 기능을 수행하던 일반적인 서해안 어촌의 풍경이었다고 한다. 그러다 1974년 안성천하류에 아산만 방조제, 1979년 삽교천 하류에 삽교천 방조제가 각각 지어졌는데, 이는 농지의 염해[2]를 막고 농경지를 간척하며 덤으로 농업용수까지 확보하려는 목적이다.

당시 아산만 연안은 수도권과 매우 가까웠으면서도 이후 경기도의 수도권 개발 규제를 피할 수 있고, 중국과 가까운 수출 거점인 평택·당진항이 건설되어 산업적으로도 풍부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현재 이 지역은 국내에서 손 꼽힐 정도의 대규모 공업지역 중 하나로 국가산단 포승지구, 원정지구, 고대지구, 우정지구, 당진 제철소 그 외에도 수 많은 일반산업단지 등이 밀집해 있다. 이 지역의 산업벨트를 묶어서 아산만권, 아산만 광역권이라고도 한다.[3]

겨울이 되면 해기차로 경기만에서 서서히 생겨난 구름대가 아산만 등지에서 눈구름대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따금씩 강한 수렴효과로 천안, 아산에 폭설을 내리기도 하며, 강하면 차령산맥 반대편 지역인 청주, 세종, 공주, 대전까지도 강한 눈발을 날린다. 강도는 보통은 초록색 에코(시간당1cm)정도이고 간혹 더욱 강하게 발달하는 경우도 있어 가끔씩 대설특보나 예비특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아산만에서 발생한 눈구름대가 아니더라도 보통 눈구름이 발생하면 아산만에서 발달, 혹은 세력 유지를 하면서 유입이 되기 때문에 눈이 상대적으로 많이 내리게 된다.

아산만방조제 안쪽의 하천 수역을 아산호라고 칭하는데, 이 명칭을 두고 아산시 평택시 간에서 논란이 많았다. 역시 지역에서 임의로 부여한 명칭이다보니 상관없으나 실제 명칭 논쟁 자체는 아산시가 아닌 평택시가 더 비일비재하다. 평택시 측에서는 '아산호'가 아닌 '평택호'라고 달리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오페르트의 기록에는 아산만을 '프린스 제롬 만'(Prince Jerome Gulf)이라 부르고 있다.

청일전쟁(1894~95)의 주 무대였다.
[1] 수도권과 충청도의 경계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한반도 남부와 중부의 경계 역할을 한다. [2] 상술했듯 이 곳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매우 큰 곳이라 바닷물이 강을 역류해 농지가 있는 내륙방향으로 깊숙히 스며들어 농사를 망치는 일이 흔했다. [3] 넓은 의미에서 아산만 및 남양만 연안인 화성시 일부와 서산시 일부, 그 배후 기초자치단체인 예산군, 천안시까지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