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11:46:01

신무월의 무녀

신무월의 무녀
神無月の巫女
Kannazuki No Miko: Destiny of Shrine Maiden
파일:神無月の巫女_壱.jpg
장르 전기, 학원, 백합, 거대로봇
작가 카이샤쿠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카도카와 서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문화사
파일:미국 국기.svg Tokyopop
연재처 월간 소년 에이스
레이블 카도카와 코믹스 A
연재 기간 2004년 5월호 ~ 2005년 6월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2권 (2005. 06. 25.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권 (2007. 10. 15. 完)
파일:미국 국기.svg 2권 (2016. 02. 23. 完)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특징5. 등장인물
5.1. 무녀5.2. 오로치 무리5.3. 주변 인물
6. 설정7. 미디어 믹스
7.1. 애니메이션
7.1.1. 음악
7.1.1.1. 주제가7.1.1.2. 삽입곡
7.1.2. 회차 목록7.1.3. 평가
7.2. 소설
7.2.1. 만화
8. 기타

[clearfix]

1. 개요

거대로봇을 소재로 한 일본의 학원· 백합 만화. 작가는 《 강철천사 쿠루미》로 유명한 카이샤쿠.

2. 줄거리

「달에는 다 썩어버린 기둥이 있어… 모든 것은 거기에서 시작됐지…」

과거 천지를 뒤덮는 싸움 끝에 야마타노오로치를 봉인한 ‘태양’과 ‘달’의 무녀가 있었다. 그리고 현대…

오랜 봉인을 둘러싸고 또다시 신화의 악몽이 깨어난다! 무녀의 증표를 가진 쿠르스가와 히메코와 히메미야 치카네, 그리고 오오가미 소마. 그 세 명의 소년소녀에게 세계의 운명이 맡겨졌다!!

3. 발매 현황

월간 소년 에이스에서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연재되었으며 단행본은 카도카와 코믹스 A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전 2권 완결.

한국어판도 학산문화사를 통해 정식으로 발매됐는데, 아쉽게도 일본 신화와 관련된 부분의 번역 센스는 좋지 못한 편이다. 적 캐릭터 집단의 이름이 오로치 무리(オロチ衆)이기 때문에 만화를 보는 내내 왕뱀이라는 단어를 볼 수 있다. 마지막 최종 보스 로봇인 야마타노오로치(신무월의 무녀)가 등장할 때 대문짝만하게 적힌 왕 여덞 뱀 갈래를 보면 정신이 혼미해진다. 국내 절판 상태로 중고를 구하는 수밖에 없다.

4. 특징

파일:HIHnyUX.jpg

두 소녀의 감정적 교류와 비극적인 숙명을 다룬 백합 장르를 기본삼아 남주인공 캐릭터를 추가해 삼각관계를 형성한 애증극으로, 여기에 거대로봇 윤회전생이라는 요소까지 포함시킨 순애 작품이다.

'신무월(神無月)'은 일어로 '칸나즈키'라 독음하며, 일본 전역의 들이 이즈모로 회의를 하러 가서 일본에서 신이 사라지는 달이라는 의미. 음력 10월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며, 현재는 양력 10월도 같이 가리킨다.[1] 그래서 10월의 무녀라고 번역한 곳도 있는데, 제목에 걸맞게 달의 무녀와 태양의 무녀의 윤회와 관련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또한 야마타노오로치 설화를 차용했다. 삼종신기중 하나인 아마노무라쿠모노츠루기도 등장.

백합물로 굉장히 유명하지만, 단순 미소녀 백합물은 아니고 로봇들이 비중있게 나오는 메카닉물이다. 애니판 메카닉 디자인은 상당히 공을 들인 흔적이 있기도 한데, 만화판 1권의 작가 코멘트에는 로봇물이라고 써있지만 2권에는 백합물이라고 써있다. 이 컨셉은 나중에 나온 쿄시로와 영원의 하늘에서도 이어진다.본격 GL과 HL의 처절한 치정싸움 만화

사실 전체적인 플롯은 BL물의 성반전물의 성격이 짙다. 답답할 정도의 히메코는 BL에서 흔히 보이는 수의 포지션이라고 볼 수 있다. 백합물을 많이 본 사람은 알겠지만 백합물에서는 이정도로 수동적인 캐릭터 찾기가 힘들지만 BL에선 진짜 흔하다. 그리고 사랑해서 강간한다는 건 BL물에선 제법 많이보이는 전개. 만화판이 15세 판정으로 끝난 건 여성향으로 봐서 그런 걸지도

여담으로 '히메가미의 무녀'도 네이버에서 한창 번역되어 연재될 때나 이 문서의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이 작품을 사랑하는 열성적인 팬들의 마음이 아직까지도 식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신무월의 무녀 이후로 등장하는 백합 작품의 대부분이 심리묘사에 있어서 이 작품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사람도 더러 있을 정도이다. 사실 이 작품, 그리고 같은 해에 방영했던 마이 히메 이후로는 여성 간의 사랑과 그 험난함을 제대로 묘사한 애니메이션은 없다시피 하다.[2]

5. 등장인물

5.1. 무녀

5.2. 오로치 무리

5.3. 주변 인물

6. 설정

6.1. 메카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무월의 무녀/메카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미디어 믹스

7.1. 애니메이션

신무월의 무녀 (2004)
神無月の巫女
Destiny of the Shrine Maiden
파일:717Oy+nC8dL._RI_.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카이샤쿠(介錯)
원작 협력 TNK
애니메이션 제작
감독 야나기사와 테츠야
시리즈 구성 우에타케 스미오(植竹須美男)
캐릭터 디자인 후지이 마키(藤井まき)
총 작화감독
메카닉 디자인 무라타 고로(村田護郎)
디자인 웍스 시오카와 타카시(塩川貴史)
총 메카 작화감독
미술 감독 야스하라 미노루(安原 稔)
색채 설계 키무라 사토코(木村聡子)
촬영 감독 사이토 아키히로(齋藤昭裕)
편집 사쿠라이 타카시(櫻井 崇)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악 쿠보타 미나(窪田ミナ)
프로듀서 히다카 이사오(日高 功)
카와세 코헤이(川瀬浩平)
제작 프로듀서 나카가와 시노부(中川 忍)
제작 신무월의 무녀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04. 10. 02. ~ 2004. 12. 18.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치바 테레비 / (토) 00: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이씨앗TV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TV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어 2004년 10월에 방영되었다. 감독은 야나기사와 테츠야. 한국에서는 QOOK TV에서 일본어 더빙으로 서비스하고 있었으나, 2013년 11월 18일부로 서비스 종료되었다. 미국에서는 영어로 더빙되어 방영되었다.

7.1.1. 음악

7.1.1.1. 주제가
오프닝과 엔딩, 삽입곡 모두 가수는 KOTOKO로 꽤 인기가 높다.
7.1.1.1.1. OP
OP
Re-sublimity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KOTOKO
작사
작곡 타카세 카즈야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야나기사와 테츠야
연출
작화감독 후지이 마키(藤井まき)
메카 작화감독 시오카와 타카시(塩川貴史)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1.1.1.2. ED
ED
Agony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KOTOKO
작사
작곡 나카자와 토모유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일러스트 후지이 마키(藤井まき)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한 장의 일러스트만으로 편집해서 만든 영상이 특징으로, 이른바 '백합 구도'로서 수많은 패러디가 이루어질 정도의 인기를 끌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gony 문서
번 문단을
신무월의 무녀의 엔딩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2. 삽입곡
삽입곡
Suppuration -core-[7]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KOTOKO
작사
작곡 타카세 카즈야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1.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메카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常世の国
불로불사의 나라
우에타케 스미오
(植竹須美男)
야나기사와 테츠야 야나기사와 테츠야 카와구치 리에
(川口理恵)
시오카와 타카시
(塩川貴史)
2004.10.02.
제2화 重なる日月
겹치는 해와 달
쿠라모토 호다카
(藏本穂高)
키타노 유키히로 후쿠시마 히데키
(福島秀機)
2004.10.09.
제3화 秘恋貝
비련의 조개
一分寸僚安 미야케 유이치로
(三宅雄一郎)
모리마에 카즈야
(森前和也)
모리타 타케시 2004.10.16.
제4화 思い賜うや
사랑의 방향
하나다 줏키 타카노 히로시
(鷹野 大)
에가미 키요시
(江上 潔)
나카지마 요시코
(中島美子)
시오카와 타카시 2004.10.23.
제5화 夜闇を越えて
밤의 어둠 너머로
우에타케 스미오 미나미 야스히로
(南 康宏)
니시야마 아키히코
(西山明樹彦)
이시바시 유키코
(石橋有希子)
니시이 마사노리
(西井正典)
2004.10.30.
제6화 日溜まりの君
양지의 그대
하나다 줏키 후쿠시마 이치조
(福島一三)
미즈노 켄타로
(水野健太郎)
아카오 료타로
(赤尾良太郎)
- 2004.11.06.
제7화 恋獄に降る雨
연옥에 내리는 비
우에타케 스미오 타카노 히로시
야나기사와 테츠야
나가사와 카즈히로
(長澤和宏)
카와구치 리에 시오카와 타카시 2004.11.13.
제8화 銀月の嵐
은월의 폭풍
나카무라 노리유키
(中村憲由)
나가모리 요시히로
(長森佳容)
2004.11.20.
제9화 黄泉比良坂へ
요모츠히라사카[8]
쿠보 타로
(久保太郎)
우치다 요리히사
(内田順久)
T・T・B 2004.11.27.
제10화 愛と死の招待状
사랑과 죽음의 초대장
타카노 히로시 닛타 요시카타
(新田義方)
사쿠라이 마사아키
(櫻井正明)
시오카와 타카시 2004.12.04.
제11화 剣の舞踏会
검의 무도회
코데라 카츠유키
(こでらかつゆき)
후쿠모토 키요시
(福本 潔)
타나카 모토키 2004.12.11.
제12화 神無月の巫女
신무월의 무녀
야나기사와 테츠야 후지이 마키
(藤井まき)
시오카와 타카시 2004.12.18.

7.1.3. 평가

기본적으로 동성애를 다룬 백합 작품이고 마리미떼와 함께 백합 장르의 획을 그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에 걸맞게 짜임새 있는 설정, 섬세한 심리 묘사가 포함된 작품이지만,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은 마리미떼와는 달리 노골적인 성애를 다루었기에 일반 시청자들에게 호불호가 극심한 평가를 받았다.

하물며 많은 시청자가 해당 작품을 소마를 주인공으로 한 노말물로 착각하는 경우가 빈번했기에, 이들 시청자들에게는 아직까지도 백합 NTR을 당한 작품으로 평가하며 극심한 혐오를 드러내기도 한다.

방영 당시 전투신에 있어서는 오로치 무리 일행이 단번에 전멸당하고, 백합물 최초로 강간 소재를 사용하는 등 여러모로 충격과 공포를 불러일으키며 시대를 앞서간 작품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강간 소재의 경우 이후 10년이 지났음에도 TVA에서 이와 같은 성별 불문한 강간 장면은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앞서 갔다.[9]

또한 위 같은 반향을 일으키며 묻혔지만, 의외로 로봇물 자체로도 나쁘지 않은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7.2. 소설

2010년 9월부터는 '히메가미의 무녀 ~천의 꽃만화경~(姫神の巫女〜千ノ華万華鏡〜)'라는 웹소설이 연재되었다. 이 쪽은 세계구급 스케일이 아니라 소소한 스케일이고, 캐릭터들의 성이 바뀌었지만 이름은 그대로이다. 소마가 적 비슷한 것으로 나와서 백합 팬들이 좋아하고 있다는 듯. 작품마다 히메코와 치카네가 처한 상황이 다르므로 의미는 없지만 굳이 따지자면 절대소녀성역 암네시안이 윤회의 끝이므로 히메가미의 무녀는 신무월의 무녀와 절대소녀성역 암네시안 사이의 이야기가 된다. 마지막 클라이맥스에서 연재 중지가 되어 팬들을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약 2년간 연재 중지를 하다가 2014년 10월 신무월의 무녀 10주년에 연재를 재개하여 완결되섰다. 전백합인이 울었다 번역링크

7.2.1. 만화

2020년 7월부터 '히메가미의 무녀 ~천의 꽃만화경~'을 원작으로 한 코믹스판 '히메가미의 무녀(姫神の巫女)'이 ' 전격 마오우'를 통해 연재되었다.

8. 기타



[1] 때문에 이즈모 지방(시마네 현) 한정으로 칸나즈키가 아닌 카미아리즈키(神在月)라고 한다. [2] 시문이 제법 등장인물들의 내면을 고찰하긴 했지만 그 작품은 애초에 여자밖에 안 태어나는 세계관이라서 퀴어물적인 묘사라고 보기 어렵다. 근친을 했던 자매는 있었지만 [3] 헌데 성우가 여자라서 목소리가 고등학생인 소마보다도 더 어리게 느껴진다(...). 애니판에서는 대학생이라는 게 언급되지 않았는데 유키히토가 대학생이라는 걸 안 상태에서 보면 누가 더 어린지 헷갈릴 정도로 위화감이 든다. [4] 예를 들면 1화에서 출현한 오로치로봇을 보고 놀라고 있는 카즈키의 옆에 서서 뭔가 아는 것처럼 눈을 가늘게 떴다. [5] 여담으로 만화한정으로 소마는 오로치의 머리 중에서 혼자서만 파괴충동을 제어 못하고 제정신을 잃은 자격미달의 머리이다. 제정신을 되찾고 오로치들과의 싸움에서 승승장구했던 건 순전히 태양의 무녀인 히메코의 가호를 받았기 때문. 치카네가 히메코와 동격인 달의 무녀의 힘을 각성하자 일방적으로 처발렸다. [6] 오죽했으면 오로치인 소마 혼자만 목숨까지 걸어가면서 이리 구르고 저리 구르며 싸우다 오로치까지 물리치면서 지구까지 구하지만 정작 오로치를 물리쳐서 지구를 구해야할 무녀 2명은 사랑타령만 한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이다. [7] Re-sublimity 앨범에도 수록되어 있다. [8] 일본 신화에서 저승과 현세의 경계에 있다는 언덕. [9] 강간 미수나 원하지는 않지만 어쩔 수 없이 관계를 갖는 정도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