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2 23:28:44

샘브레이

샴브레이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egrstyle.files.wordpress.com/intro4.jpg
파일:external/egrstyle.files.wordpress.com/intro3.jpg

1. 개요2. 명칭3. 상세

[clearfix]

1. 개요

Chambray / Cambric / Batiste

샘브레이는 프랑스에서 유래한 고운 밀도의 천으로 된 옷감이며 해군 수병의 피복 중에서 파란색으로 염색한 샘브레이 옷감으로 만든 셔츠를 가르키는 용어이기도 하다.

2. 명칭

대한민국 해군의 정식 명칭은 해상병전투복(상)이지만 이런 용어들이 으레 그렇듯이 현실에서도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고 그냥 샘브레이라고 부른다.

어원은 프랑스의 외르(l'Eure)강 연안의 지방인 샹브레(Chambray). 영어에서는 캠브릭(Cambric) 또는 버티스트(Batiste)라고 한다. 처음에는 리넨이었으나 나중에 으로 짠 천의 형태로 바뀌었는데, 이름에 동네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 동네에서 이 천이 생산되었기 때문이다.

국내는 해군 보급품으로서는 샘브레이, 패션 아이템으로서는 "샴브레이"라는 표기가 주로 통용되고 있다. 유튜브에선 군사 유튜버면 샘, 패션 유튜버면 샴을 쓰는 식. 실제로 무신사에서 샘브레이로 검색하면 샴브레이로 자동으로 바꿔준다.

3. 상세

직조법이 간단하고 천이 가벼워서 다용도로 많이 쓰였고, 1920년대부터 미합중국 해군에서 기관병과 근무자용 작업복으로 지급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나라의 해군복의 재질로도 많이 쓰였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는 아예 비슷한 재질을 사용한 해군 작업복 상의를 지칭하는 일반명사로 굳혀졌다. 대한민국 해군에서 상의를 샘브레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미 해군에서 부르던 용어를 그대로 따라 쓴 것. 같이 입는 남색 바지는 덩거리로 불린다. 이 둘을 세트로 줄여서 샘당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2022년 5월까지 군사경찰, 화생방, 수송 등의 육상직별 일부를 제외한 모든 수병들에게 전투복 대신 지급되었으며, 근무복도 겸한다. 고속정 승조원의 경우 신분에 따라 해상병전투복, 근무복 등을 지급받긴 하는데 이와 별도로 실무배치 후 남색 커버올 형태의 고속정복과 고속정화를 따로 지급받고 이걸 입으면서 함정생활을 했었다. 일반 전투복은 신병 훈련 기간에만 입고, 실무배치 후 3개월 경과시 전역 피복으로 개인이 신청한다.

하늘색 내지는 연파랑색이라는 큰 틀만 있을 뿐 정확하게 정해진 색상코드가 없어서 색깔이 이래저래 바뀌는 옷이기도 한데, 당장 이 항목 안에서도 샘브레이마다 색깔이 미묘하게 다 다르다.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에도 연하늘색[1]이었다가 파스텔 블루였다가 하는 식으로 변경이 있어 왔다. 가장 최근의 변경은 연하늘색에서 현행 파스텔 블루로 바뀐 2007년 01월 입대자(해군신병 527기)의 초도보급분부터이며, 이 때부터 동/하계용이 나뉘어 지급됐다.

2021년 1월부터 순차적으로 먼저 장교 부사관에게 NWU를 본떠 만든 함상전투복이 보급되기 시작했다가 2021년 5월 17일 입대자(해군신병 675기)부터 해상근무하는 수병들에게만 지급되었고 2022년 1월 3일 입대자(해군신병 680기)부터 함상전투복으로 완전히 바뀌면서 2022년 3월 28일 입대자(해군신병 682기)에게 마지막으로 지급됐고, 2023년 11월 27일 682기가 전역하고도 단기간 혼착기를 두다가, 2024년 01월 01일 혼착기간 종료로 완전 폐지했다.

패션에도 영향을 지대하게 미치는 것이 군복이니만큼 샘브레이 역시 패션계에 영향을 미쳤는데, 흔히 샴브레이 셔츠라고 부르는 셔츠가 바로 이거다. 겉보기에는 데님 셔츠와 비슷하지만, 직조 방식이 샘브레이는 평직이고 데님은 능직으로 좀 다른 데다 착용감도 대체로 데님보다 좀 더 가볍고 시원한 편이다. 데님이 훨씬 메이저하지만 이것도 그 자체로서 나름대로 인기를 얻는 편이다.

덩거리까지 합쳐서, 네모바지 스폰지밥에 등장하는 집게사장의 복제가 이것을 모티브로 한다.


[1] 2004년 입대자들은 이 색상으로 지급 받았다. 파스텔 블루로 바뀌면서 짬의 상징이 되어 물려받으며 입곤해 2010년대까지 볼수 있었다.